[전체]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3)
- 언문철자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였는데, 개정논의가 일어나서 1921년 3월에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대요 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大要>로 개정하여 공표하였다. 개정된 맞춤법도 10년 가까이 시행되는 동안에 교육계와 사회에서 문제가 제기되어, 학무국에서 다시 재정의 기초안을 만들어서 전문가로 구성된...
- 조선어학연구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세운 철자법이 1912년 조선총독부에서 정한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과 비슷하여 보수적 구식표기의 인상을 주었다. 더구나 근거가 박약한 새 부호 등의 사용을 주장하는 면에서 언론과 대중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고질적‧파쟁적 전술이라는 일반사...
- 국어정서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서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 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을 제정, 발표하였다. 이 언문철자법의 제정에는 국문연구소의 연구위원이었던 어윤적(魚允迪)과 현은(玄檃)도 다른 한국학자 2명 및 일본학자 4명과 함께 참여하였으나, 그 내용은 대체로 19세기에 행하여지던 국어정서법의 전통...이칭별칭국어표기법
고서·고문서(1)
- 《朝鮮語辭典》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944) 등이 있다. 현은, 박이양, 어윤적 등은 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 활동한 인물들인데, 이중 현은과 어윤적은 대한제국 시기 국문연구소의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한일병합 후에는 조선총독부 학무국의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1912) 제정에 참여한 바 있다. 일본인 심사위...대표표제어《朝鮮語辭典》 해제 | 편저자조선총독부 | 권수1책
주제어사전(2)
-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 / 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 [언어/언어/문자]
표한 한글맞춤법으로, 『역대한국문법대계』 제3부 제8책에 수록되어 있다. 1912년 4월에 확정하여 공표한 이후에 이 맞춤법에 대한 개정 논의가 일어나서, 학무국에서 다시 위촉된 위원들의 토의를 거쳐 1921년 3월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대요(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大要)」를
-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대요 / 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大要 [언어/언어/문자]
1921년에 조선총독부가 개정한 한글 맞춤법. 1912년 4월에 확정하여 공표한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 이후에 이 맞춤법에 대한 개정 논의가 일어나서, 학무국에서 다시 위촉한 위원들의 토의를 거쳐 1921년 3월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대요(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大要)」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