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보통학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0,8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0,729)
사전(1,573)
- 보통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06년 <보통학교령>에 따라 설치된 초등교육기관. [내용] 구한말 신학제의 제정에 따라 설치된 소학교(小學校)를 보통학교로 변경하였다. 을사조약에 따라 설치된 통감부는 각종 법령을 반포하고 우리 나라 교육에 관하여 통제를 가...
- 김천초등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남산동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연원 및 변천] 1907년 10월 12일에 사립 광홍보통학교(光興普通學校)로 설립되었다. 개화의 물결과 함께 신교육제도가 도입될 때 김천의 유지 석치업(石致業)‧이병재(李秉宰)‧...
- 양산초등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1911년 5월 1일 양산공립보통학교로 문을 열었다. 1987년 9월 1일에 양주국민학교가, 1994년 9월 1일에는 신기국민학교가 각각 분리하였다. 2000년에 경상남도 교육청 지정 특기 적...
- 남원용성초등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북도 남원시 동충동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연원 및 변천] 1906년 6월에 남원용성공립보통학교로 설립하여 이듬해 4월 개교하였다. 군수 박태영(朴泰永)이 교장으로 겸임되어 북재(北齋)를 가교사(假校舍)로 사용하다가 그
- 명덕초등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강원도 홍천군 남면 양덕원리 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연원 및 변천] 1919년 5월 10일 양덕원공립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받았으며, 1919년 5월 17일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단행본(1)
- 韓國學研究論文集(四)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저자 : ... | 출판사 : 中國文化大學華岡出版部 | 출판일 : 2015.12.유형단행본성훈 ‧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 대조 분석을 통해 베트남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의 문제점 탐구 및 교육 방안 - 팜티튀린 ‧ 日治初期教科書之綴字現象-以普通學校學徒用朝鮮語讀本為中心 - 吳忠信
고서·고문서(4,289)
- 普通学校修身書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普通学校修身書 巻一 普通学校修身書_巻一 1 조선총독부 1937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국립중앙도서관 일제강점기관찬독본 일본어 キミガヨ ハ チヨ ニ ヤチヨ ニ サザレイシ ノ イワオ ト ナリテ コケ ノ ムス マデ서명普通学校修身書 | 자료명1
- 普通学校修身書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普通学校修身書 巻一 普通学校修身書_巻一 モクロク 조선총독부 1937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국립중앙도서관 일제강점기관찬독본 일본어 一 ガッコウ 二 センセイ 三 オヤ ノ オン 四 キョウダイ 五 オテツダイ 六 ナカ ノ ヨ...서명普通学校修身書 | 자료명モクロク
- 普通学校修身書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普通学校修身書 巻一 普通学校修身書_巻一 一 ガッコウ 조선총독부 1937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국립중앙도서관 일제강점기관찬독본 일본어 그림서명普通学校修身書 | 자료명一 ガッコウ
- 普通学校修身書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普通学校修身書 巻一 普通学校修身書_巻一 二 センセイ 조선총독부 1937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국립중앙도서관 일제강점기관찬독본 일본어 그림서명普通学校修身書 | 자료명二 センセイ
- 普通学校修身書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普通学校修身書 巻一 普通学校修身書_巻一 三 オヤ ノ オン 조선총독부 1937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국립중앙도서관 일제강점기관찬독본 일본어 그림서명普通学校修身書 | 자료명三 オヤ ノ オン
구술자료(12)
- 류필립, 홍세호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류필립과 홍세호는 평양고등보통학교 동창임 - 류필립은 평양신학에 입학 이후 월남함 - 월남 이후 주한미국대사관에 취직 - 이후 미국으로 이민 - 홍세호는 조선종합대학에 입학 이후 월남함 - 월남 이후 방제회사 창업 - 이후 미국으로 이민 - 미국으로 이민 뒤에구술자류필립, 홍세호 | 직업도서관 사서 및 관장/상공회의소 이사장 | 지역평안도
- 김점곤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경상남도 합천이 본적이었지만 세력이 막강하여 소개되는 바람에 전라도 화순에서 태어남. 고향에 선교사가 많다 보니 수피아고녀, 숭일학교, 제중원 등이 있었음. 숭일학교, 경신학교 등 미션스쿨에 다님 1940년 이후 미션스쿨이 전부 폐교되어 광주제일보통학교로 편입됨.분야역사 | 유형인물 | 지역경기도 | 시대현대 | 테마현대사와 군
- 박윤진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향 지역의 제방공사, 신작로 공사, 장날 이야기 마을에서 실시된 산미증식계획 내선일체, 황민화 교육, 창씨개명 교복이 없던 보통학교 시절 학생생활시 일본인과 조선인의 관계 사범학교 출신들이 되는 특별강습소에 들어감 미주리호에서 일본 항복 조인식 가족이분야역사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현대사와 군
- 한두진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교(University of Utah), 을지병원, 재단법인 관악회, 진용동지회, 철도경찰, 평양고등보통학교, 평양고등보통학교 학생구락부, 풍정소학교, 향풍소학교, 한국병원, 홀리네임병원(Holy Name Medical Center), G-2, HID, Royal I구술자한두진 | 직업의사 | 지역불명
- 윤공희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성신학교, 성심대학교, 용정리, 우르바노대학교, 진남포시, 부산 가톨릭도서관, 부산포로수용소, 평양성모보통학교, 해성보통학교, 가톨릭(천주교), 가톨릭노동청년회(J.O.C.), 광주대교구, 광주민주항쟁, 나사로 마을, 국방부 2과, 서강대학교 예수회, 수습위원회, 정의구술자윤공희 | 직업주교 | 지역평안도
기초학문(24)
- [보통학교수신서]에 나타난 忠의 변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순전, 게재일 : 200723152 김순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일본문화학회 2007 [보통학교수신서]에 나타난 忠의 변용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조선총독부 발간 [여자고등보통학교수신서]의 여성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순전, 게재일 : 200712621 김순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07 조선총독부 발간 [여자고등보통학교수신서]의 여성상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유형논문 | 게재일2007
- 동화장치로서 [普通學校修身書]의 ‘祝祭日’ 서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순전, 게재일 : 200723117 김순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일본연구소 2007 동화장치로서 [普通學校修身書]의 ‘祝祭日’ 서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조선총독부 편찬 [보통학교수신서]에 나타난 '신체적 규율'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순전, 게재일 : 200723217 김순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일본어문학회 2007 조선총독부 편찬 [보통학교수신서]에 나타난 '신체적 규율'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유형논문 | 게재일2007
- 道德敎로서의 〈心學〉과 [普通學校修身書] 비교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623246 한국연구재단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06 道德敎로서의 〈心學〉과 [普通學校修身書] 비교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326)
- 민세안재홍전집 : 南岡遺骸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597 1930 6 6 1 1 安在鴻(무기명) 안재홍 南岡遺骸 신문 조선일보 사설 사회 직접자료 1권 五山高等普通學校, 保安法, 南岡 A19300606조선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普通敎育과 機會均等 問題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四年制普通學校 A19280325조선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힘의根源을떠나지말어라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456 1929 6 15 1 1 安在鴻 안재홍 農村指導에對한問題 힘의根源을떠나지말어라 잡지 신민 60호, 5권 6호 29~30쪽 설문 사회 직접자료 선집외 農村指導, 歸農運動, 高等普通學校, 智識靑...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普通学校 児童に絶好の果外讀本 (보통학교 아동에게 절호의 과외교과서)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기사명_원문普通学校 児童に絶好の果外讀本 | 기사명_한글보통학교 아동에게 절호의 과외교과서 | 게재일19280307 | 게재판무 | 게재면07 | 게재단4-7
- 敎育と社會生活 (교육과 사회생활)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기사명_원문敎育と社會生活 | 기사명_한글교육과 사회생활 | 게재일19270310 | 게재판석 | 게재면03 | 게재단1-5
기타자료(34,504)
- 공립보통학교 취학률 (1918) [한국 근대 전자역사지도 편찬 | 고려대학교]주제분류인구와 취락 / 교육 / 취학률 | 표현방식막대그래프
- 공립보통학교 취학률 (1933) [한국 근대 전자역사지도 편찬 | 고려대학교]주제분류인구와 취락 / 교육 / 취학률 | 표현방식파이도
- 부면별 보통학교 수 (1918) [한국 근대 전자역사지도 편찬 | 고려대학교]주제분류인구와 취락 / 교육 / 초등학교 | 표현방식단계구분도
- 부면별 보통학교 수 (1922) [한국 근대 전자역사지도 편찬 | 고려대학교]주제분류인구와 취락 / 교육 / 초등학교 | 표현방식단계구분도
- 부면별 보통학교 수 (1926) [한국 근대 전자역사지도 편찬 | 고려대학교]주제분류인구와 취락 / 교육 / 초등학교 | 표현방식단계구분도
주제어사전(146)
-
보통학교 / 普通學校 [교육/교육]
1906년 '보통학교령'에 따라 설치된 초등교육기관. 구한말 신학제의 제정에 따라 설치된 소학교를 보통학교로 변경하였다. 을사조약이후 통감부는 각종 법령을 반포하고 우리 나라 교육에 관하여 통제를 가하였다. 종래의 5-6년제 소학교를 4년으로 단축하고, 심상과와 고
-
고등보통학교 / 高等普通學校 [교육/교육]
1911년 8월에 공포된 '조선교육령'에 의하여 설치된 중등교육기관. 한말의 중학교를 이름을 바꿔 설치한 교육기관이다. 근대적 중학교의 설치는 1899년 4월에 공포된 '중학교관제'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1906년 일제의 통감부 설치에 따라, '공립학교관제'가 실시되
-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 / 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 [언어/언어/문자]
보통학교에서 사용할 교과서 편찬을 위하여 일제가 제정하고 공표한 한글맞춤법. 경술국치 뒤에 우리 나라의 보통학교에서 사용할 교과서를 편찬하기 위하여 조선총독부 학무국에서 위원을 선정하고, 1911년 7월부터 11월까지 5회의 회의를 거쳐 1912년 4월에 확정하여 공
-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대요 / 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大要 [언어/언어/문자]
1921년에 조선총독부가 개정한 한글 맞춤법. 1912년 4월에 확정하여 공표한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 이후에 이 맞춤법에 대한 개정 논의가 일어나서, 학무국에서 다시 위촉한 위원들의 토의를 거쳐 1921년 3월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대요(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大要)」를
-
교원양성소 / 敎員養成所 [교육/교육]
민족항일기와 광복 뒤에 교원의 급격한 수요증가를 충당하기 위해 임시로 설치, 운영된 교원양성기관. 1913년 3월 <경성고등보통학교부설 임시교원양성소규정>에 의거, 경성고등보통학교에 최초로 임시교원양성소가 부설되었다. 1부와 2부의 두 과정이 있었는데, 1부는 고등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