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보천보전투” 에 대한 검색결과 7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2)

사전(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37년 6월 4일 항일유격대가 함경남도 갑산군 보천면 보천보(현재 북한의 행정구역상 양강도 보천군 보천읍)를 습격하여 승리했다는 전투. [내용] 북한의 주장에 따르면, 이 전투는 1937년 3월 서강회의에서 조선인민혁명군(동북항일연군)...
  • 재만한인조국광복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립하여 활동하였다. 이 단체가 일제 측에게 적발되기 시작한 계기는 1937년 6월에 발생한 함경남도 보천보(普天堡)전투에서 ‘한인조국광복회 목전 10대 강령’이라는 삐라가 뿌려지고, 1937년 9월부터 10월 사이에 에 가담하였다가 재차 지령을 받고 혜산읍(惠...
  • 백학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북한의 군인이자 정치관료. [개설] 본관은 평안남도 평원이다. 1918년 중국 남만주에서 태어났다. 1936년 동북항일연군에 들어가 빨치산으로 항일운동에 참가하였고, 1937년 보천보 전투에 참전하였다. 8‧15광복 후 194...
  • 서인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는 한편, 무장투쟁에도 참가하였다. 1937년 6월 를 계기로 탐문수사에 들어간 일제 경찰에, 10월경 제1차로 조직이 탄로되었을 때 검거되었다. ‘혜산사건’으로 알려진 이 사건으로 1941년 8월 함흥지방법원에서 사형을 선고받았다. 1943년 12월...
    이칭별칭서응진(徐應珍)
  • 오백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33년에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에서 항일유격대에 입대하여 항일시절의 대부분을 김일성(金日成)의 지휘 아래 활동하였다. 1937년 6월 김일성이 이끄는 동북항일연군 제1로군 제6사가 수행한 에 경위련(警衛連) 연장으로 참가하였다. ...

신문·잡지(3)

  • 33 렴상준 함남시 중앙리3구37번지 함남인민보사 함흥, 쏘련 대망의 함흥 『해방투쟁기념관』은 지난 5일 개관되었다. 이 『해방투쟁기념관』은 김일성장군실 애국투사실 쏘련군대실 민주건설실로써 되어있다. 김일성장군실 중앙에는 김일성장...
    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9_0607_03 | 책임주필렴상준
  • 년 6월 4일 54 김명호 개성시 개성신문사 신영철 보천보, 일제, 조선, 중국, 압록강, 장백산맥, 송화강. 쏘련, 미제, 아세아, 일본, 조국광복회, 조선인민군대 , 8·15 해방 지금으로부터 15년 전 6월 4일은 일...
    대표표제어개성신문_1952_0604_03 | 날짜1952년 6월 4일 | 책임주필김명호
  • 방동맹, 반일회, 반일부인단, 반일소년단, 혁명투사후원회, 민족통일민주주의전선, 로동신문 우리 민족의 절세의 애국자이시며 민족적 영웅이신 김일성 장군의 빨찌산부대는 지금으로부터 12년 전 6월달 초순에 갑산 보천보 전투(甲山)에서 당시 일제 정비하의 보천...
    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608_02 | 책임주필강길모

멀티미디어(60)

  • 북한의 정치와 사회_1주차_1차시
    [정체성의 정치와 공공외교의 한국학 | 인하대학교]
    시각 도상을 통해 만나본다. 그리고 북한 경제의 시장화와 그에 따른 북한 사회의 변화에 관한 내용과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본다. 1. 대중의 국민화 : 북한에 대한 이해와 북한 체제의 특성 2. 역사적 사실과 역사적 허구 3. 주체사상: 유일사상체제와 미학
    강좌제목북한의 정치와 사회 | 주차별강좌북한의 정치와 사회_1주차_1차시
  • 북한의 정치와 사회_1주차_2차시
    [정체성의 정치와 공공외교의 한국학 | 인하대학교]
    시각 도상을 통해 만나본다. 그리고 북한 경제의 시장화와 그에 따른 북한 사회의 변화에 관한 내용과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본다. 1. 대중의 국민화 : 북한에 대한 이해와 북한 체제의 특성 2. 역사적 사실과 역사적 허구 3. 주체사상: 유일사상체제와 미학
    강좌제목북한의 정치와 사회 | 주차별강좌북한의 정치와 사회_1주차_2차시
  • 북한의 정치와 사회_1주차_3차시
    [정체성의 정치와 공공외교의 한국학 | 인하대학교]
    시각 도상을 통해 만나본다. 그리고 북한 경제의 시장화와 그에 따른 북한 사회의 변화에 관한 내용과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본다. 1. 대중의 국민화 : 북한에 대한 이해와 북한 체제의 특성 2. 역사적 사실과 역사적 허구 3. 주체사상: 유일사상체제와 미학
    강좌제목북한의 정치와 사회 | 주차별강좌북한의 정치와 사회_1주차_3차시
  • 북한의 정치와 사회_1주차_4차시
    [정체성의 정치와 공공외교의 한국학 | 인하대학교]
    시각 도상을 통해 만나본다. 그리고 북한 경제의 시장화와 그에 따른 북한 사회의 변화에 관한 내용과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본다. 1. 대중의 국민화 : 북한에 대한 이해와 북한 체제의 특성 2. 역사적 사실과 역사적 허구 3. 주체사상: 유일사상체제와 미학
    강좌제목북한의 정치와 사회 | 주차별강좌북한의 정치와 사회_1주차_4차시
  • 북한의 정치와 사회_1주차_5차시
    [정체성의 정치와 공공외교의 한국학 | 인하대학교]
    시각 도상을 통해 만나본다. 그리고 북한 경제의 시장화와 그에 따른 북한 사회의 변화에 관한 내용과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본다. 1. 대중의 국민화 : 북한에 대한 이해와 북한 체제의 특성 2. 역사적 사실과 역사적 허구 3. 주체사상: 유일사상체제와 미학
    강좌제목북한의 정치와 사회 | 주차별강좌북한의 정치와 사회_1주차_5차시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북한]

    1937년 6월 4일 항일유격대가 함경남도 갑산군 보천면 보천보(현재 북한의 행정구역상 양강도 보천군 보천읍)를 습격하여 승리했다는 전투. 북한의 주장에 따르면, 이 전투는 1937년 3월 서강회의에서 조선인민혁명군(동북항일연군)이 국내진공작전을 펴기로 결정함에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