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보창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4)
- 보창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북계(北界)에 두었던 주진군(州鎭軍). [내용] 초군(抄軍)‧좌군‧우군과 함께 북계 주진군의 핵심을 이루었다. 경군(京軍)의 보승군(保勝軍), 동계(東界) 주진군의 영새군(寧塞軍) 등과 마찬가지로 보병 부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
- 보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양계(兩界)지방에 두어진 주진군(州鎭軍). [내용] 초군(抄軍)‧좌군‧우군‧보창군(保昌軍)‧영새군(寧塞軍)‧신기(神騎)‧백정(白丁) 등과 함께 주진군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신기‧백정과 마찬가지로 상비군이 아니었던 듯하며, 위급한...
- 북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化道)의 2개 도로로 나뉘어 있었다. 한편 서경과 안북대도호부는 물론 모든 주‧진‧현에는 지방군이 배치되어 있었다. 정용(精勇)‧초군(抄軍)‧좌군(左軍)‧우군(右軍)‧보창군(保昌軍) 등이 약 4만 명에 이르러 다른 어떤 지역보다도 규모가 훨씬 컸다. 고려...이칭별칭서북면|서북로|서북계
- 군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계의 주진군은 초군(抄軍:정용)‧좌군(左軍)‧우군(右軍) 및 보창군(保昌軍)‧영새군(寧塞軍) 등의 기간부대와 북계의 신기(神騎)‧보반(步班)‧백정대(白丁隊), 동계의 공장(工匠)‧전장(田匠)‧투화(投化)‧생천군(鉎川軍)‧사공대(沙工隊) 등의 예비군 성격의 군대로 나눌...
주제어사전(2)
-
보창군 / 保昌軍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북계에 두었던 주진군. 초군·좌군·우군과 함께 북계 주진군의 핵심을 이루었다. 경군의 보승군, 동계 주진군의 영새군 등과 마찬가지로 보병 부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사≫ 병지의 기록에 의하면 서경(평양)에는 보창잡군이라 하여 19대가 두어졌고, 그 밖에
-
보반 / 步班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양계지방에 두어진 주진군. 초군·좌군·우군·보창군·영새군·신기·백정 등과 함께 주진군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신기·백정과 마찬가지로 상비군이 아니었던 듯하며, 위급한 일이 있을 때 동원되는 예비부대로 추측된다. 따라서, 각 주·진에 거주하는 장정들로 이루어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