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보익공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
사전(25)
- 정옥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역임하였다. 이어 우참찬ㆍ예조판서ㆍ좌참찬을 거쳐 지돈녕부사가 되었다가 1544년 병조판서가 되어 국방 문제를 총괄하였다. 이듬해 명종 즉위와 더불어 형조판서가 되어 소윤에 가담, 대윤을 제거하는 데 협력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 3등에 책록되고 금천군(錦川君)에 봉해졌다...이칭별칭 가중(嘉中)| 월봉(月峰)| 공안(恭安)|금천군(錦川君)
- 정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년(인종 1) 경연시강관(經筵侍講官)ㆍ홍문관직제학을 역임한 뒤, 그 해(명종 즉위년) 명종의 왕위옹립의 공으로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그 뒤 좌부승지를 거쳤다. 1546년(명종 1) 을사사화가 일어나자 대윤 일파로 몰려 공신호와 관직을 삭탈당한 뒤...이칭별칭 중원(仲遠)
- 보익공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서 임백령(林百齡), 공조판서 허자(許磁) 등이 좌의정 유관(柳灌), 이조판서 유인숙(柳仁淑), 형조판서 윤임(尹任) 등을 반역죄로 몰아 사사(賜死)한 뒤, 이에 공을 세운 위의 4명과 입시했던 상신‧추관‧내신 등 29인을 보익공신으로 책봉하였다. 1등은 ‘추성...이칭별칭위사공신
- 김광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거쳐, 1543년 국왕의 특명으로 전한에서 강원도관찰사에 임명되었다. 이어 대사간이 되고, 명종이 즉위하자 소윤(小尹)의 한 사람으로서 을사사화를 일으켜 추성위사홍제보익공신(推誠衛社弘濟保翼功臣) 2등으로 상락군(上洛君)에 책봉되고, 대사헌으로 승진하였다. 그 뒤...이칭별칭 숙예(叔藝)|상락군(上洛君)
- 삭위훈(削僞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삭위훈 삭위훈 削僞勳 보익공신(保翼功臣), 위사공신(衛社功臣) 정치정치운영/정쟁·정론 사건 대한민국 조선 김돈 1577년(선조 10) 보익공신(保翼功臣), 위사공신(衛社功臣) [정의...관련어보익공신(保翼功臣), 위사공신(衛社功臣)
고서·고문서(1)
- ○대립(大立) 공(公)이 왔기에, 술을 대접해 보냈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고, 안함(安馠)과 나는 공신(功臣)에서 삭적(削籍)되었다고 한다. 공신에서 ∼ 되었다고 한다. : 이문건은 1545년 9월 6일 推誠衛社保翼功臣右承旨로 추대되었다. (명종실록 즉위년 9월 6일) 받은 지 7일 뒤인 오늘 삭적된 것이다. ○예조(禮曹)에서《십칠사...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주제어사전(2)
-
보익공신 / 保翼功臣 [정치·법제/법제·행정]
1546년(명종 1) 을사사화의 결과 그 논공 행상에서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을사사화로 공을 세운 29인을 보익공신으로 책봉하였다. 1등은 ‘추성위사협찬홍제보익공신’이라 하여 정순붕·이기·임백령·허자 등 4인, 2등은 ‘추성위사홍
-
윤인경 / 尹仁鏡 [종교·철학/유학]
조좌랑·병조좌랑·사간원정언을 거쳐 1511년(중종 6) 장악원첨정에 이르렀다. 추성위사홍제보익공신 1등에 책록되고 파성부원군에 봉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