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보은 상현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충북 군 외속리면 서원리에 있는 조선시대 서원. 충청북도 기념물 제43호.1549년 성제원을 중심으로 한 지방유림의 공의로 삼년성 안에 서원을 창건하였으며, 1610년 '상현'이라고 사액되었다.
    연계항목상현서원(象賢書院)
  • 향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등이 있다. 명륜당은 1871년(고종 8)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하게 된 ()의 강당을 옮겨 지은 것으로, 정면 5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된 목조와가이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10철(十哲), 송조4현(宋朝四賢), 우리나라...
    연계항목보은향교(보은향교)
  • 군(충청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峰後栗祠, 충청북도 기념물 제15호), 마로면 관기리의 고봉정사(孤峰精舍, 충청북도 기념물 제51호), 장안면 서원리의 (, 충청북도 기념물 제43호) 등이 보존되어 있다. 또한, 읍 종곡리에 모현암(慕賢庵), 산성리에 백봉사(柏峯祠), 회인면...
    이칭별칭매곡
  • 성운묘소및묘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평생을 학문에만 정진하였다. 시문에 뛰어났으며 은둔과 불교적 취향의 작품을 많이 남겼다. 저서로는 ≪대곡집≫이 있으며, ()에 배향되었다. 人物誌(忠淸北道, 1987) 전국문화유적총람 2(국립문화재연구소, 199...
    연계항목성운묘소및묘갈(成運墓所및墓碣)
  • 추옹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삼산흥학록」은 1720년 삼산현에 부임하여 그 고을 9개면의 훈장들과 ()에 모여 주희(朱熹)의 남강서원(南康書院)의 규제와 성제원(成悌元)과 조헌(趙憲)의 유제(遺制)에 따라 흥학절목(興學節目) 6조를 채택한 내용이다. ...

고서·고문서(2)

  • 추안급국안 : 계축년(1733, 영조 9) 이제동(李濟東) 신문기록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解 文字故只以字音告之矣其時貴興遭父喪中路聞訃徑還矣 今年二月間豆乙老味伊之言則渠與貴興同爲往來於江景 及京中云而貴興歸卽致▣故未及聞知其曲折是白乎旀且 南面漁巖洞李光國李光白二人及公衡之奴仲化金伊 己里金三名皆是矣身同黨是白遣通書濟東事段顯東言內 祭享時多士發論割名院簿一邊通文一邊呈...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19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한수재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충북 廟庭碑를 지을 사람은 김창협뿐이라는 주장의 내용이다. 答金仲和 (30) 김창협에게 답장한 편지이다. 최근 찾아오는 학우와 수작하거나 교정보는 일로 글읽기를 하지 못하는 상황이 한탄스럽다고 하고, 申愈와 成晩徵이 가능성 있는 사람이라는 내용이다....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 [교육/교육]

    충청북도 군 장안면 서원리에 있는 서원. 1549년(명종 4) 성제원(成悌元)을 중심으로 한 지방유림의 공의로 삼년성(三年城) 안에 서원을 창건하여 김정(金淨)을 봉안하고 삼년성서원이라 하였다. 1610년(광해군 2) ‘象賢(상현)’이라고 사액되었으며, 1672년

  • 향교 / 鄕校 [교육/교육]

    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하게 된 ()의 강당을 옮겨 지은 것으로, 정면 5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된 목조와가이다.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