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보원고” 에 대한 검색결과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千手道場)을 베풀면서, 이 때 덕천고(德泉庫)‧연덕궁(延德宮)‧영화궁(永和宮)‧영복궁(永福宮)‧영흥궁(永興宮)과 함께 여기에 소속시켰다. 그리고 에는 별도로 해전고(解典庫)를 설치하여 재원을 보강하였다. 그 뒤 공민왕이 죽은 뒤에 이곳에서 제사를 지냈으며,...
  • TD_F0_D_0037 경제 기타 紗羅, 綺絹, 準備色, 版圖郞, 庫匱 麗初 辛禑, 李蔓實 麗史 D_14_01_99 대동운부군옥 14권 1장 99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1장 9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해전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초기의 전당(典當)의 사무를 담당한 관서. [내용]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가 죽자 공민왕은 그의 명복을 비는 불사(佛事)를 위해 인희전(仁熙殿)에 천수도량(千手道場)을 설치하고 덕천고(德泉庫)‧()‧연덕궁(延德宮)‧영...
  • TD_N4_D_0080 綺絹 방직·직물 , 別監 辛禑, 李蔓實 麗史 D_16_01_50 대동운부군옥 16권 1장 5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6권 1장 5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2857 辛禑 인물 庫匱, 版圖郞, , 綺綃, 不得進 李蔓實 麗史 D_13_04_70 대동운부군옥 13권 4장 7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3권 4장 7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5)

  • , 차자보는, 옥편, 요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 2가, 무, 이씨, 서신왕래, 형, 홍씨, 도라가신, 서신왕래, 없으서, 소식, 알아달려고, 부탁, 저, 홍씨, 사촌동생, 1985년까지, 편지왕래, 지금, 편지, 소식, 없으서, 부탁, 외사촌...
    대표표제어문제풀이 | 성씨
  • 京畿道庄土文績_제85책 : 京畿道豊德郡德府所在庄土姜錫鎬提出圖書文績類 3. 嘉慶二十四年-己卯-三月日金應錫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권 0.666666666666667 전문 전문 133.32냥 내수사 金碩興 배접한 종이는 ‘朝鮮總督府月稿’라 기록된 문서임 19299_85.pdf
    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해서 주었다. ○목사가 꿩 7마리를 나누어주었다. 卄三日甲申, 晴, 風冷。 卄三日甲申, 晴, 風冷。 ○留堂。○州人持馬早到。早食而發。路見普明, 聞椹村得山奇。又逢安太居偕往。藥坐待城主行次之過, 遂尾行。行到泉藪傍隴上, 入見兩城主, 觀獵。驅猪逸去, 只獲一, 捕雉六十...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대금(貸金) 청구 소송(訴求)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邊欲捧이 亦無章程니 右錢倍利 合二千六百兩을 被告가 卽가 可기로 判決홈 隆熙二年 五月 八日 江華郡守署理 郡主事 黃翊周 융희2년 민제67호 판결서 원고 부내면(府內面) 국화동(菊花洞) 거주 함승원(咸承元) 44세 피고 장령면(張嶺面) 장동(長洞) 거주 전자천(...
    재판기관강화구재판소(江華區裁判所) | 판결일자3051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가옥 전셋돈(家貰錢)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孫允集 判決要旨 被告 崔德顯 趙奎七 孫允集은 原告訴求에 應만 理由가 無고 被告 張錫基 成票擔保 貰錢 當計 貳萬兩을 徵이 可 事 訴訟費用은 被告 張錫基의 擔當事 理由 原告의 主張은 質卞에 照야 認直事 此에 對야 被告 崔德顯은 崔九顯으로 爲兄弟間 而九...
    재판기관한성재판소(漢城裁判所) | 판결일자3078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신문·잡지(2)

  • 에 1차씩 위원회를 소집하였다. 위원회에서는 새로 발간된 벽보를 토의평가하고 중대장 및 정치부 중대장의 결심과 사업계획의 중심이 무엇인가를 파악한 다음 그 사업의 보장을 위한 내용으로 다음호의 중심과 방향을 토의 결정한다. 여기에 립각하여 벽는 이미 10일전에 분...
    대표표제어인민의아들_1952_0302_01 | 책임주필김학석
  • 극에 출연하는 김성열 하사는 저벽에 벽를 쓰던 손을 잠시 멈추고 마음과 같이 말하였다. "『국군』상관 놈이란 대부분 일본 장교 출신이다. 놈들은 병사들에겐 훈련만 있지 문화란 하등 관계없는 것이라고 떠벌이면서 『8굉1우』이나 『닥치는 곳마다 우리 차지다』등등의 말...
    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50_0623_03 | 책임주필한효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의 관청. 설치시기는 1369년(공민왕 19) 노국대장공주의 죽음으로 슬픔이 커진 공민왕이 신하들과 함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인희전에 천수도량을 베풀면서, 이 때 덕천고·연덕궁·영화궁·영복궁·영흥궁과 함께 여기에 소속시켰다. 그리고 에는 별도로 해전고를

  •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매병 / 粉靑沙器象嵌牡丹文梅甁 [예술·체육/공예]

    허리는 다시 급한 반전을 하여 굽에 이르고 있다.이와 같이 곡선의 변화가 심한 형태는 제작연대의 상한이 1369년인 청자 상감유연문 명 병(靑磁象嵌柳蓮文銘甁)과 하한이 1403년인 청자 상감유연문 덕천명 병(靑磁象嵌柳蓮文德泉銘甁) 그리고 분청 상감만자문 의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