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보원고” 에 대한 검색결과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

사전(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千手道場)을 베풀면서, 이 때 덕천고(德泉庫)‧연덕궁(延德宮)‧영화궁(永和宮)‧영복궁(永福宮)‧영흥궁(永興宮)과 함께 여기에 소속시켰다. 그리고 에는 별도로 해전고(解典庫)를 설치하여 재원을 보강하였다. 그 뒤 공민왕이 죽은 뒤에 이곳에서 제사를 지냈으며,...
  • TD_F0_D_0037 경제 기타 紗羅, 綺絹, 準備色, 版圖郞, 庫匱 麗初 辛禑, 李蔓實 麗史 D_14_01_99 대동운부군옥 14권 1장 99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1장 9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해전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초기의 전당(典當)의 사무를 담당한 관서. [내용]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가 죽자 공민왕은 그의 명복을 비는 불사(佛事)를 위해 인희전(仁熙殿)에 천수도량(千手道場)을 설치하고 덕천고(德泉庫)‧()‧연덕궁(延德宮)‧영...
  • TD_N4_D_0080 綺絹 방직·직물 , 別監 辛禑, 李蔓實 麗史 D_16_01_50 대동운부군옥 16권 1장 5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6권 1장 5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2857 辛禑 인물 庫匱, 版圖郞, , 綺綃, 不得進 李蔓實 麗史 D_13_04_70 대동운부군옥 13권 4장 7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3권 4장 7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5)

  • , 차자보는, 옥편, 요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 2가, 무, 이씨, 서신왕래, 형, 홍씨, 도라가신, 서신왕래, 없으서, 소식, 알아달려고, 부탁, 저, 홍씨, 사촌동생, 1985년까지, 편지왕래, 지금, 편지, 소식, 없으서, 부탁, 외사촌...
    대표표제어문제풀이 | 성씨
  • 京畿道庄土文績_제85책 : 京畿道豊德郡德府所在庄土姜錫鎬提出圖書文績類 3. 嘉慶二十四年-己卯-三月日金應錫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권 0.666666666666667 전문 전문 133.32냥 내수사 金碩興 배접한 종이는 ‘朝鮮總督府月稿’라 기록된 문서임 19299_85.pdf
    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해서 주었다. ○목사가 꿩 7마리를 나누어주었다. 卄三日甲申, 晴, 風冷。 卄三日甲申, 晴, 風冷。 ○留堂。○州人持馬早到。早食而發。路見普明, 聞椹村得山奇。又逢安太居偕往。藥坐待城主行次之過, 遂尾行。行到泉藪傍隴上, 入見兩城主, 觀獵。驅猪逸去, 只獲一, 捕雉六十...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대금(貸金) 청구 소송(訴求)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邊欲捧이 亦無章程니 右錢倍利 合二千六百兩을 被告가 卽가 可기로 判決홈 隆熙二年 五月 八日 江華郡守署理 郡主事 黃翊周 융희2년 민제67호 판결서 원고 부내면(府內面) 국화동(菊花洞) 거주 함승원(咸承元) 44세 피고 장령면(張嶺面) 장동(長洞) 거주 전자천(...
    재판기관강화구재판소(江華區裁判所) | 판결일자3051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가옥 전셋돈(家貰錢)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孫允集 判決要旨 被告 崔德顯 趙奎七 孫允集은 原告訴求에 應만 理由가 無고 被告 張錫基 成票擔保 貰錢 當計 貳萬兩을 徵이 可 事 訴訟費用은 被告 張錫基의 擔當事 理由 原告의 主張은 質卞에 照야 認直事 此에 對야 被告 崔德顯은 崔九顯으로 爲兄弟間 而九...
    재판기관한성재판소(漢城裁判所) | 판결일자3078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의 관청. 설치시기는 1369년(공민왕 19) 노국대장공주의 죽음으로 슬픔이 커진 공민왕이 신하들과 함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인희전에 천수도량을 베풀면서, 이 때 덕천고·연덕궁·영화궁·영복궁·영흥궁과 함께 여기에 소속시켰다. 그리고 에는 별도로 해전고를

  •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매병 / 粉靑沙器象嵌牡丹文梅甁 [예술·체육/공예]

    허리는 다시 급한 반전을 하여 굽에 이르고 있다.이와 같이 곡선의 변화가 심한 형태는 제작연대의 상한이 1369년인 청자 상감유연문 명 병(靑磁象嵌柳蓮文銘甁)과 하한이 1403년인 청자 상감유연문 덕천명 병(靑磁象嵌柳蓮文德泉銘甁) 그리고 분청 상감만자문 의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