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보우” 에 대한 검색결과 1,50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95)

사전(26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301(충렬왕 27)∼1382(우왕 8). 고려 말기의 승려. [개설] 본관은 홍주(洪州). 속성은 홍씨(洪氏). 첫 법명은 보허(普虛), 호는 태고(太古). 법명은 (). 홍주(洪州: 현재 충청남도 홍성) 출신.
    이칭별칭 태고(太古)| 원증(圓證)|보허(普虛)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09(중종 4)∼1565(명종 20). 조선 중기의 승려. [개설] 호는 허응(虛應) 또는 나암(懶庵). 법명은 (). 문정대비(文定大妃)의 외호 아래, 도첩제도(度牒制度)와 승과제도(僧科制度)를 부활시키는 등 억...
    이칭별칭 허응(虛應), 나암(懶庵)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연호 연호 중국(中國) 남송(南宋) 이종(理宗) 김가람 이범직 2009 중국-남송 이종 1253년~1258년(이종29~이종34) [정의] 중국(中國) 남송(南宋)의 이...
  • 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승려. [내용] 태조 때의 선승(禪僧)이다. 자세한 생애는 미상이며, 고려 후기의 고승 ()의 제자로 알려져 있다. 1397년(태조 6) 태조가 신덕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정릉(貞陵) 곁에 흥천사(興...
  • TD_E2_D_0190 左輔 관직 左右輔, 國相, 左輔, 右輔 高句麗, 百濟 多婁王, 屹于, 眞會 句史, 濟史 D_10_01_24 대동운부군옥 10권 1장 24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1장 2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1)

  • 저자 : 강경태(신라대학교 해외한국학지원센터 센터장), 전동진(신라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 출판사 : 세종출판사 | 출판일 : 2011.08.25
    분야교육 | 유형단행본
    제1장.세계 속의 한국 (1)세계화와 한국 (2)한국의 세계적 현대성과의 충돌 제2장.한국 사회변화의 주요 특징과 요인 (1)미국의 안산과 경제성장 (2)경

논문(1)

고서·고문서(1,167)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460 詩經講義 卷二 ITKC_MP_0597A_0460_030_005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
    권차명詩經講義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唐風 ()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HCBO_1:10:8:1 “鴇”, 非集木者, 縱曰取譬 譬: 국중본(가)에는 ‘比’로 되어 있다. , 恐不爲無理之說. 竊謂, 此與“鴻漸于木”相似, 謂漸就於林木而求食. 言鴇猶飛集求食, 而我“不能藝黍稷”也. HCBO_1:10:8:2 按, 《晉世家》: “曲沃莊伯聞鄂侯卒, 興...
    서명시경질서(詩經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論妖僧()疏【乙丑】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三 疏箚 一 11 論妖僧()疏【乙丑】 03_078_003.jpg 論妖僧()疏【乙丑】 伏以官守各有其職, 而誠激于中, 則不可拘於守職; 進言必有其時, 而害切於國, 則不可局於待時。 今臣不任言責, 則非可言之職; 殿下方居諒闇, 則非可言之時。 第以...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代(淸洪道)儒生論()疏【乙丑】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二 【拾遺】疏箚 52 代(淸洪道)儒生論()疏【乙丑】 40_065_010.jpg 代(淸洪道)儒生論()疏【乙丑】 伏以人君不以臣之不足取重而不採其言, 人臣不以君之必不容受而不盡其忠。 臣等, 蓽門堯竇之士, 至微至賤, 其言之不足取重也昭然。 而賊雨之可誅...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下巳三 予乃胤保 【梅云:“乃繼安天下之道。” ○朱子云:“嗣攝政事,王躬。” ○蔡云:“繼太保而往。”】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860 與猶堂全書補遺○尙書知遠錄 洌水 丁鏞 述 ITKC_MP_0597A_1860_060_0170 下巳三 予乃胤保 【梅云:“乃繼安天下之道。” ○朱子云:“嗣攝政事,王躬。” ○蔡云:“繼太保而往。”】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尙書知遠錄 洌水 丁鏞 述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9)

  • 부여 추양리 농악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E-043B.mp3 mp3 이보형 이 1911 남자 미상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서울대학교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농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보우
  • 방게류 2. 싸호 류 1, 2. 멕받형 (선후창) 1. 에히야 - 아아 - , 아 어 - 아 어어허이, 어허 - 엉게 에헤로 - , 오오옷네 2. 어 리 사 호 1. 방게 - 소리도, 일심 동녕이 허라 세 - 2. 보리 까마테 둘렀네/ 어서 매고 들어
    녹음지역전라북도 임실군 청웅면 구고리 양기 | 녹음날짜1989.6.2 | 가창방식1, 2. 멕받형 (선후창)
  • 2. 싸호 류 1, 2. 멕받형 (선후창) 1. 에헤야 - 하아 - 아아 - , 나으 - 어어흥게 에로 - , 오 – 다 2. 에 헤라 싸 호 1. 방게 - 소리도, 일심 동녕이 허라 세 - 2. 가면 가고 말면 말지 1. 솔라도레미(솔‘)
    녹음지역전라북도 임실군 신덕면 수천리 | 녹음날짜1989.6.2 | 가창방식1, 2. 멕받형 (선후창)
  • 깨비 몸 안에 들어가 바늘로 도깨비 내장을 찔러 물리치고 공주를 구했다. 그 뒤 잇슨보시는 평범한 성인 크기로 변했고 공주와 결혼하였다. 마츠다 타마미, 일본, 민담, 잇슨보시, 잇슨시, 일촌법사, 엄지동자, 엄지둥이, 작은 남자, 바늘, 도깨비, 제치, 공주,
    국가일본 | 제보자마츠다 타마미 [일본, 여, 1976년생, 결혼이주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복숭아 동자 모모타로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벌하러 갔다? 모모타로가 장군이었구나!] 지금도 AU라는 휴대폰 회사에 유명한 등장하는 CF를 많이 만들어요. 그 와중에 모모타로하고 우라시마타로하고 잇슨시, 킨타로, 우라시마 많이 나와요.
    국가일본 | 제보자마츠다 타마미 [일본, 여, 1976년생, 결혼이주 7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4)

  • 인식의 전환: 다르마끼르띠와 태고의 깨달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우제선, 게재일 : 2004
    33405 우제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보조사상연구원 2004 인식의 전환: 다르마끼르띠와 태고의 깨달음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외국인 투자자의 거래행태 및 정월성 비교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고봉찬, 게재일 : 2005
    18994 고봉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The Society for Financial Studies 2005 외국인 투자자의 거래행태 및 정월성 비교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조선건국 이후 17세기까지 불교 승려의 정치의식과 행동: 기화, , 휴정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부남철, 게재일 : 2015
    54261 부남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정치학회 2015 조선건국 이후 17세기까지 불교 승려의 정치의식과 행동: 기화, , 휴정의 사례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KOSPI200 선물시장과 내외국인의 투자성과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고봉찬, 게재일 : 2005
    aId=4b76f6dd1e7e1e76011ea5bfff9b7d62 외국인 투자자의 거래행태 및 정월성 비교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
    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42)

  • 제천공맹휴 교장의불경어문제기타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22) 학생 동맹휴학 문제 제천공맹휴 교장의불경어문제기타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26년 6월 17일 동아일보사 동아일보 기사/사설 1 이 글은 2926년 『동아일보』에 실린 것으로, 제천공보학보에서 일어난 교원배척문제와 교장...
    대표표제어제천공보우맹휴 교장의불경어문제기타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동아일보사 | 출처동아일보 | 키워드동맹휴학, 교원배척, 교장의 불량한 태도, 제천공보
  • 米國의大旋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미국아이오하쥬 근쳐에 큰 회리바이 닐어나셔 헤잇 모든물건을 쓸어갓 분명히 쥭은쥴 안쟈가 위션 이십명이라더라
    게재일1907년 8월 15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恩津葛麻面咸積坪畓四石十斗落連山東面鳥동...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恩津葛麻面咸積坪畓四石十斗落連山東面鳥동坪十六斗落同南面壯동坪二斗落文記을本月十九日에賷上京城타가到餠店譯塲遺失얏스니母論內外國人拾得고休紙施行홈 連山赤面居 閔善基告白
    게재일1905년 12월 27일 | 기사분류광고
  • 報請辨理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츙쳥남도 직군수 곽챤씨가 부로 보고기를 경셩우편국쟝 뎐즁랑의죠회졉즉 셩환에헌 관유토디의 건죠물은뎐쳬무소에셔 관뎡터이니 그 공를 츌급라 독촉니 샤죠판리라 얏다더라
    게재일1905년 6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協書調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통신원을 일인에게 위임라고 일공가 회의결을 독쵹야 삼쟉일 졍부에셔 회의결말은 이왕긔엿거니와 쟉일오후이시에 외부에셔 그됴약을 됴인엿데 뎐쳬 뎐화를 일인이유동야 확쟝되 관유디와 공갑도업시 임의수용되 궁부소유디단과 각릉원묘샤근디와
    게재일1905년 4월 3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2)

  • 한국불교철학자들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 고려시대 선종의 철학자들- 순지,이자현,담진,지눌,혜심,나옹, 8주차. 역사와 문화에 기여한 철학자들- 진표,도선,혜초,일연 9주차. 조선시대 불교 사상가들1- 무학,함허득통,김시습,,휴정,유정,선수 10주차. 조선시대 불교 사상가들2- 운봉대지,백암성총,백
  • 고려 조선의 불교 인물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대를 고민했던 인물들의 삶과 그들의 선구자적인 업적을 살펴봄으로서 한국불교를 이해할 수 있다. 1주차. 고려불교 어떻게 볼 것인가? 2주차. 화엄교학의 대표자 균여 3주차. 동아시아 불서의 확산, 의천 4주차. 한국선의 탄생, 지눌 5주차. 임제선의 태고, 나옹

기타자료(6)

  • (반공 웅변 원고) 트 피플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반공 웅변 원고) 트 피플 (반공 웅변 원고) 트 피플 교육 문헌 중등교육 학생생활 교육행정 교육이념
    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장현주 | 사료철명충북교육
  • 소설암지 및 화악리 절터 지표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6,원증국사 의 활동과 가평 소설암 우거 / V.북면 화악리 절터 1.조사지역의 역사적 변천 2.문헌검토 3.유적현황 4.조사유물 5.고찰 / VI.맺음말 현재 소설암터에는 민가가 한 채 있다. 민가의 바로 위쪽에는 2004년에 새로 세운 가건물이 있는데, 이...
    발행연도2004/08/29 | 발굴기관강원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기도
  • 22. Renovation of troop billets : 비망록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에 도착한다는 메시지 공지임. 한국에 8월 29일 도착 예정이며, 병력은 영국 군함 2척에 승선해서 도착함. 1척은 항공모함. 영국의 지휘관 마셜 처는 유엔군사령부 지휘부에서 이미 복무 중임. The 27th brigade, UK contingen...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G-3 section, Far East Command | 수신자Distribution
  • 존문사 겸 영객사가 발해 사신이 본국에 돌아간 사실을 보고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 (秋七月)廿一日甲戌 存問兼領渤海客使直講刈田安雄復命秦言 客徒 今月六日解纜歸蕃 大內記安倍淸行 去四月丁去職 故安雄獨歸奏事 依諒闇不喚客徒 自加賀國還蕃焉 (『日本三代實錄』 3 淸和紀)
    대표표제어존문사 겸 영객사가 발해 사신이 본국에 돌아간 사실을 보고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59년(己卯/신라 헌안왕 3/발해 건황 2/唐 大中 13/日本 天安 3, 貞觀 1)
  • 존문사 겸 영객사가 발해 사신이 본국에 돌아간 사실을 보고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007, 『日本古代史地名事典』, 雄山閣, 476쪽).으로부터 번국으로 돌려보냈던 것이다. (『日本三代實錄』 3 淸和紀) 【원문】 (秋七月)廿一日甲戌 存問兼領渤海客使直講刈田安雄復命秦言 客徒 今月六日解纜歸蕃 大內記安倍淸行 去四月丁去職 故安雄獨歸奏事 依諒闇不喚客徒 自加...
    대표표제어존문사 겸 영객사가 발해 사신이 본국에 돌아간 사실을 보고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59년(己卯/신라 헌안왕 3/발해 虔晃 2/唐 宣宗 大中 13/日本 文徳天皇 天安 3, 清和天皇 貞觀 1)

주제어사전(12)

  • / [종교·철학/불교]

    1509-1595. 조선시대의 승려. 15세에 금강산 마하연암에서 출가하였다. 훗날 정만종의 천거로 명종의 어머니 문정왕후와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는 고동안 배불정책으로 탄압을 받아왔던 불교를 진흥시키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선종과 교종을 다시 부활시켰고 승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 高陽太古寺圓證國師塔 [예술·체육/건축]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태고사에 있는 고려시대 승려 원증국사 의 유골을 봉안한 불탑.부도. 보물. 보물 제749호. 높이 4.0m. 고려 말에 활동하였던 원증국사 (, 1301∼1382)의 유골을 모신 묘탑(墓塔)으로, 무너져 있던 것을 최근에 복원하여 다시

  • 허응당집 / 虛應堂集 [언론·출판/출판]

    집부(集部) - 별집류(別集類) () 저, 태균(太均) 편, 영인본, 천리대학연구소, 1959, 2권 2책. 구성은 해제, 권상-하, 나암잡저(懶庵雜著)이다. 허응당 의 시, 법어 등을 실은 문집, 발문 뒷면에 부록으로 '나엄잡저(28장)'이 있고, 마지

  • 주의집람 / 奏議輯覽 [언어/언어/문자]

    명나라 초의 병부상서 우겸(于謙)의 『소공주의(少公奏議)』에서 어려운 어구를 가려서 주석한 책. 정식 서명은 ‘우공주의집람’인데, 권차(卷次)는 10권 12책(권3·4가 상·하로 분책)의 『소공주의』에 따랐으나, 장차는 연속되어 있다. 편자와 간행에 대한

  • 선시 / 禪詩 [문학/한문학]

    상어록 白雲和尙語錄』, ()의 『태고화상어록 太古和尙語錄』, 혜근(慧勤)의 『나옹화상가송 懶翁和尙歌頌』·『나옹화상어록 懶翁和尙語錄』을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