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보사공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2)
사전(31)
- 보사공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80년(숙종 6)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에 공을 세운 신하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내용] 병조판서 김석주(金錫胄)를 비롯해 주로 서인(西人)들에게 주어졌다. 서인 세력은 인조반정 이후 계속 집권...
- 보사공신(保社功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보사공신 보사공신 保社功臣 공신(功臣) 분충효의병기협모보사공신(奮忠效義炳幾協謨保社功臣), 분충효의병기보사공신(奮忠效義炳幾保社功臣), 분충효의보사공신(奮忠效義保社功臣) 허견(許堅)의 역모,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 정치인사/녹훈 개...상위어공신(功臣) | 하위어분충효의병기협모보사공신(奮忠效義炳幾協謨保社功臣), 분충효의병기보사공신(奮忠效義炳幾保社功臣), 분충효의보사공신(奮忠效義保社功臣) | 관련어허견(許堅)의 역모,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
- 이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세자궁) 강(講)에서 상으로 말을 하사받았다. 1680년 보사공신(保社功臣)으로 책록되어 회맹제(會盟祭)에 참여하였다. 그 뒤 여러 번 총관(摠管)을 역임한 뒤 병으로 사임하였다. 1689년 인현왕후(仁顯王后)가 폐위되자, 이를 반대하는 극간상소...이칭별칭 노백(魯伯)| 노주(鷺洲)|전평군(全坪君)
- 이광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精抄廳)에서 정원로(鄭元老)ㆍ강만철(姜萬鐵)을 데리고 승정원에 나아가 역모를 고변하게 하여 이른바 허견의 옥을 일으킴으로써 남인세력을 일망타진하는 데 공을 세웠다. 이로 인하여 보사공신(保社功臣) 3등에 추록되어 용계군(龍溪君)에 봉하여졌으며 이어 영변부사에 임명되었다...이칭별칭용계군(龍溪君)
- 이자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문하시중 판상서이부서(太保門下侍中判尙書吏部書)에 이르렀다. 그 뒤 추성좌세보사공신(推誠佐世保社功臣)에 봉해지고, 개부의동삼사 수태사 겸 중서령 감수국사 상주국 경원군개국공(開府儀同三司守太師兼中書令監修國史上柱國慶源郡開國公)이 되었으며 식읍 3,000호가 주어졌다. 문종의...이칭별칭 약충(若?)| 장화(章和)
고서·고문서(1)
- 복훈도감의궤(復勳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1694년 갑술환국으로 인해 서인이 재집권하게 되자, 1689년의 경신환국 당시 공신 녹훈이 취소되었던 보사공신을 복훈시키는 과정에 대한 의궤이다. 본래 보사공신은 1680년 경신환국 당시 정원로 및 복선군 이남에 대한 고변의 처리과정을 주도한 인물들에 대한 녹훈이었...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국립중앙박물관
주제어사전(2)
-
보사공신 / 保社功臣 [역사/조선시대사]
1680년(숙종 6) 경신대출척에 공을 세운 신하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김만기·김석주에게 1등공신을, 이입신에게 2등공신을, 남두북·정원로·박빈에게 3등공신을 내렸다. 이 중 정원로는 역모와 관련 있다고 하여 6월에 복주(伏誅)되어 삭훈되었다.
-
20공신회맹축 - 보사공신녹훈후 / 二十功臣會盟軸 - 保社功臣錄勳後 [역사/조선시대사]
1694년 갑술환국으로 재집권한 서인이 보사공신 회맹 때의 회맹문과 복훈 때의 축문 등을 모아 엮은 관찬서. 숙종대에 갑술환국(甲戌換局)으로 서인(西人)이 재집권하면서 보사공신(保社功臣) 중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파훈(罷勳)되었던 5명의 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