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보리수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
사전(19)
- 보리수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보리수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 [내용] 학명은 Elaeagnus umbellata THUNB. 이다. 높이는 4m에 이르고 밑에서 여러 개의 줄기가 올라와 큰 둥치를 형성한다. 잎과 줄기에는 비늘같은 은백색 털이 있으며 전국의 산과...
- 영광칠산도의괭이갈매기‧노랑부리백로및저어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게 경사진 지형으로 7개의 섬 중에서 2개의 섬은 암초로 해조류가 없고 나머지 5개 섬도 상층부에만 식생이 자라고 있는데, 주요 식생은 예덕나무‧보리수나무‧사철나무‧명아주‧비쑥‧자리공‧갈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섬의 정상부에는 3∼4m 정도의 예덕나무‧보리수나...
- 난도괭이갈매기번식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원추리‧참쑥‧사철쑥‧산씀바귀‧소리쟁이‧개밀‧갯기름나물 등 초본과 딱총나무‧동백나무‧보리수나무 등 관목도 산재하나 대부분이 암반으로 형성되어 있어 괭이갈매기가 번식할 수 있는 알맞은 곳이다. 괭이갈매기는 주로 암벽에서 번식하는데, 때로는 정상과 그 주변에서도 산란...연계항목난도괭이갈매기번식지(卵島괭이갈매기繁殖地)
- 고성북평리찰피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매가 가을에 익는다. 불교도들은 이나무를 흔히 보리수나무라고 부른다. 이 나무 앞에는 옛날부터 스님들이 앉아서 참선수도하던 넓적한 돌들이 놓여 있는데 하도 오랫동안 사용했기 때문에 스님들이 앉았던 자리가 움푹 하여 빗물이 고일 정도이다.연계항목고성북평리찰피나무(固城北坪里찰피나무)
- 합천 봉계리 유적_SN16303 [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 | 충북대학교].04'' N 128° 1' 22.09'' E 35.613899 128.022802 종실분석 신석기중기 N N N N N N N N N N,A 도토리◎(27),가래,가래편◎,왕보리수나무1,살구또는매실1,가래류파편...대표표제어합천 봉계리 유적_SN16303 | 지역경상도 | 시기신석기중기
구술자료(1)
- 금망둑어 쁠라부텅(2)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자 가지나무가 자랐다. 남자의 다른 아내가 가지나무를 뽑아버리자 으아이가 떨어진 가지씨를 심어서 그 자리에 보리수나무가 자랐다. 어느 날 왕이 그 보리수나무를 궁으로 옮기려 하였으나 뽑히지 않았다. 왕은 보리수나무가 으아이 손길이 닿게 뽑히는 걸 보고 으아이를 왕비로국가태국 | 제보자와닛차진시리와닛 [태국, 여, 1990년생, 유학 5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주제어사전(3)
-
보리수나무 / Elaeagnus umbellata THUNB. [과학/식물]
보리수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 높이는 4m에 이르고 밑에서 여러 개의 줄기가 올라와 큰 둥치를 형성한다. 잎과 줄기에는 비늘같은 은백색 털이 있으며 전국의 산과 들에 분포하며 수직적으로는 높이 1,200m 이하에 자란다. 뿌리에 질소 고정균이 있어서 척박한 땅
-
보리밥나무 / Longleaf Elaeagnus [과학/식물]
보리수나무과 보리수나무속에 속하는 상록 관목 또는 덩굴나무. 보리밥나무는 보리수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관목으로 한국, 중국, 일본, 타이완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황해도 이남의 바다 주변 산지에서 자라며, 서해안은 대청도, 동해안은 울릉도까지 분포한다. 사람 키 높이
-
길상초 / 吉祥草 [과학/식물]
백합과에 속하는 상록의 여러해살이 풀. 길상초(吉祥草)는 석가세존(釋迦世尊)이 보리수나무 아래에서 득도할 때 방석처럼 깔고 앉았던 풀로 ‘길하고 상서롭다’ 라고 여겨 붙은 이름이다. 또는 이 풀을 석가세존께 바친 이가 길상동자(吉祥童子)라는 데서 비롯되었다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