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보리밥”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1)
사전(47)
- 보리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였다. 이 시기를 보릿고개라 하며 보리가 익을 때까지 산과 들을 헤매며 나무껍질이나 나물을 캐어다 연명을 하였다. 보리가 익을락 말락 하면 덜 여문 곡식을 쪄서 식량으로 삼기 시작하였다. 보리밥은 열무김치나 고추장에 비벼 먹거나 풋고추를 된장에 찍어 함께 먹으...
- 열무김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열무김치와는 달리 돌확에다 씨를 뺀 붉은 고추와 생강ㆍ마늘을 함께 넣고 간다. 거의 갈아졌을 때 밥을 섞고 다시 죽같이 갈아서 절여놓은 열무와 버무리고 실고추ㆍ통깨를 뿌려서 항아리에 담는다. 한여름 내내 담가 먹어도 싫증이 나지 않으며, 국수를 말아먹거나 보리밥...
- 맥반(麥飯)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맥반 맥반 麥飯 보리밥 생활 풍속식생활/음식 음식 대한민국 조선 차경희 보리[麥], 멥쌀[粳米], 물[水] 상시 [정의] 보리만으로 밥을 짓거나 보리에 쌀을 섞어 지은 밥.
- 대맥(大麥)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였지만, 보리밥을 짓는 주재료로 가장 많이 쓰였다. 왕실에서는 보리나 밀을 재배하는 농민에게 맥세(麥稅)를 부가하여 생산을 관리했다. 보리는 밀과 함께 5월에 종묘에 천신(薦新)으로 올려졌다. [내용 및 특징] 보리는 지중해 연안에서 야생종이 시작되어 세계 각...상위어맥(麥) | 관련어교맥(蕎麥), 소맥(小麥)
- 서응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연구하였으며, 특히 『대학』과 『중용』에 주력하였다. 또한, 「정전론(井田論)」을 지어 전제의 개선에 관한 의견을 내놓았으며, 간성군수가 되어서는 성긴 베옷을 입고 4월에는 보리밥으로 백성과 생활을 같이하는 등의 선정을 베풀었다. 저서로는 『경당유고』 4권 2책...이칭별칭 여심(汝心)| 경당(絅堂)
고서·고문서(51)
- 작은아버지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 유씨, 어머니, 김씨, 녀동생, 남편, 김씨, 찾자는, 동생, 사진, 5년전, 목적, 사업, 돕음, 유씨, 남조선, 보리밥정욱군대표표제어작은아버지 | 성씨유
- 떠나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 가슴, 안고, 숨막히는, 년륜, 새겼, 고국, 부모님, 계심, 아버지, 리씨, 오빠, 69세, 남동생, 60세, 이국, 수모, 삶, 지조, 버리지, 않았, 고향, 보리밥, 정든, 초가집대표표제어떠나 | 성씨정
- 주로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 유지, 내외, 중국, 와서, 큰아들, 낞은후, 고향, 한번, 이름, 중국, 지었습, 지금, 형들, 75세이상, 동생들, 70세이하, 부모, 세상, 떳으리라, 어렸을때, 생활, 구차, 부친, 놀기, 술, 좋아, 음식, 보리밥대표표제어주로 | 성씨지
- ○휘(煇)와 함께 여막을 지켰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고 있음을 알았다. ○저녁때 학금(鶴今)이 보리밥을 지어서 가지고 왔기에 저녁 상식(上食)을 대신하여 올렸다. ○송충이가 소나무를 다 죽이는데 구제할 방도가 없다. 初四日丁亥, 晴陰。 初四日丁亥, 晴陰。 ○與煇共守廬。○爓奴來傳問信, 答送之。仍知其赤子患喘。○夕,...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전두환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중국, 흑룡강성, 거주, 한국, 민족, 리별, 이국, 땅, 48년, 세월, 사이, 고향, 친척, 일제, 폭개, 된장, 보리밥, 가난, 연로, 어먼임, 처, 고향, 안해, 상처, 어먼임, 78세, 1956년, 별세, 다시, 자식, 하나, 12년전, 홀애비, 자식대표표제어전두환 | 성씨김
구술자료(30)
- 봄 보리밥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의 자택에서 이야기가 이루어져서 주로 질문하고 대화하다가 이야기가 떠오르면 이야기를 채록하는 형식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제 보자는 서예선생님을 했을 정도로 어느정도 한문에대한 지식이 있었고 사전에 구비문학이 어떤 것인가를 조사해 보는등 조사에 적극적이었 다...조사일시2011. 3. 12 (토) | 조사장소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반계 2리 여재봉 자택 | 제보자여재봉
- 보리밥 팔진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옆에서 듣고만 있던 제보자에게 청하여 들은 것이다. 시장하면 반찬이 없어도 밥 맛이 있게 마련이라는 줄거리다. 녹음을 하기 전에 조금 시작해 버린 것을 다시 처음부터 구술하도록 해서 녹음했다.*조사일시1984-08-23 | 조사장소경상남도 울주군 두동면 | 제보자안판주
- 보리밥을 먹어도 글은 좋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이야기와 같은 상황에서 이어서 구연하였다.조사일시2011.04.24 | 조사장소충남 태안군 안면읍 승언리1구 동아하이츠 빌라 | 제보자이휘생
- 보리밥 짓기가 쉬운 줄 아는 영감 길들이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전날 조사자들이 마을회관에서 잘 잤는지에 대해 이야기하는 도중에 구연을 시작했다.조사일시2010. 2. 27(토) | 조사장소경상북도 포항시 청하면 신흥리 마을회관 | 제보자박분남
- 전라북도 완주군_1. 호미 2. 만두리 3. 쌈싸기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서산에, 해는 지고, 월출 동녕에, 달이, 돋아오네, 어서 바삐, 지심으을 매고, 각기 집으로 돌아를 가세 3. “무주영감은 곤달래 쌈으로, 정월 대보름 해우 쌈으로, 오뉴월이 보리밥에 상추 쌈으로 우 - “ 1. (미)솔라도레미`솔‘라`도` 1. 미`를 퇴성, 또녹음지역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소농리 | 녹음날짜1989.5.15
신문·잡지(13)
- 조국과인민을위하여_1951_0115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땅땅 언 보리밥에 한 덩어리의 소곰을 주었고 물은 1주일에 10명단 한 그릇식 주었으므로 오줌을 먹는 일이 보통이였고 고문 형식은 각종 방법이 다 적용되였는데, 수십명이 달려들어 때리다 때릴 곳이 없으면 심지여 손바닥까지 벌리게 하여 때렸다. 50세 되는 한동무는 리...대표표제어조국과인민을위하여_1951_0115_02 | 책임주필홍수일
- 농민_1930_01_0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보리밥된장 일소생 40 한시역(漢詩譯) 40 사보 41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0
- 조선출판경찰월보 100호 중앙시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다. 초근목피… 그러나 그 맛을 아는 자 또는 먹어 본 자는 과연 몇 명이나 되는지? 농촌을 지도할 임무를 지닌 자도 마을에서 숙소를 얻어 기회를 교묘하게 기피할 뿐. 농촌에서는 고급요리인 보리밥 기타가 싫고, 고등요리 흰쌀밥도 싫어서 빵과 통조림을 들고 돌아다닌다....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100호 중앙시보 | 출판물명중앙시보(中央時報) 제75호
- 해방일보_1951_0217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러나 인민군대는 국방군 포로들을 죽이기는커녕 인민군대군관과 똑같은 대우를 하고 있다. 군관이 쌈밤을 먹으며 우리들도 쌈밥을 먹고 군관이 보리밥을 먹으면 우리들도 보리밥을 먹고 있다. 우리들은 하나도 자유를 속박당하지 않고 있다. 우리들은 외출을 자율히하며 식사를 우리맘...대표표제어해방일보_1951_0217_04
- 우리들_1966_01_0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정우식 52 보리밥 박성환 58 언덕을 넘으며 이경남 58 59쪽까지 정직한 흙 강...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6
주제어사전(10)
-
보리밥 / [생활/식생활]
쌀에 보리를 섞어 짓거나 보리만으로 지은 밥. 보리는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설화에 나타나고 있고, ≪삼국사기≫ 신라본기에는 보리가 풍년이 들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백제의 군창지에서도 보리가 출토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삼국시대에 이미 서민들의 중요한 주식이었음을 추측할
-
보리밥나무 / Longleaf Elaeagnus [과학/식물]
보리수나무과 보리수나무속에 속하는 상록 관목 또는 덩굴나무. 보리밥나무는 보리수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관목으로 한국, 중국, 일본, 타이완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황해도 이남의 바다 주변 산지에서 자라며, 서해안은 대청도, 동해안은 울릉도까지 분포한다. 사람 키 높이
-
남해 미조리 상록수림 / 南海 彌助里 常綠樹林 [과학/식물]
魚付林: 고기떼를 유도할 목적으로 물가에 나무를 심어 이룬 숲)의 구실도 하고 있다. 숲에서 자라는 상록수종에는 후박나무·육박나무·생달나무·무룬나무·감탕나무·식나무·비쭈기나무·돈나무·사스레피나무·광나무·모밀잣밤나무·보리밥나무·모람·자금우·송악 등이 있다.
-
서응순 / 徐應淳 [종교·철학/유학]
베옷을 입고 4월에는 보리밥으로 백성과 생활을 같이하는 등의 선정을 베풀었다. 저서로는《경당유고》4권 2책이 있다.
-
보령 외연도 상록수림 / 保寧 外煙島 常綠樹林 [과학/식물]
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숲을 구성하고 있는 상록활엽수종에는 후박나무·동백나무·식나무·보리밥나무·먼나무·무룬나무·돈나무·자금우·붉가시나무·개산초나무·마삭나무·황칠나무 등이 있으며, 담쟁이덩굴·국화으아리·방기·사위질빵·계요등·칡·왕머루·청미래덩굴·노박덩굴·댕댕이덩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