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보령 외연도 상록수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4)
- 외연도의상록수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외연도리에 있는 상록수림. [내용] 천연기념물 제136호. 면적 32,727㎡. 상록수림은 마을 뒷면의 능선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앙에 서낭당이 있다. 이 상록수림 외곽의 식생은 크게 황폐되어 있으나연계항목외연도의상록수림(外煙島의常綠樹林)
- 외연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986) 외연도 외연도 보령 외연도 상록수림...
- 보령시(충청남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6호)이 있다. 오천면에 외연도의 상록수림(천연기념물 제136호), 보령장현리귀학송(保寧長峴里歸鶴松, 충청남도 기념물 제159호)이 있다. [교육‧문화] 조선시대 교육기관으로는 남포향교‧보령향교‧오천향교‧화암서원 등이 있다. 남포향교...
- 외연열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면 모두가 무인도이다. 외연도에는 초등학교 1개교가 있으며 온화한 기후로 동백나무와 후박나무가 자생하고 있으며, 후박나무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136호로 지정되어 있다. 오도는 오동나무가 많은 데서 이름이 유래된 도서로, 면적은 약 0.5㎢이며, 해안선...
주제어사전(2)
-
보령 외연도 상록수림 / 保寧 外煙島 常綠樹林 [과학/식물]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외연도리에 있는 상록수림. 천연기념물 제136호. 면적 32,727㎡. 상록수림은 마을 뒷면의 능선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앙에 서낭당이 있다. 이 상록수림 외곽의 식생은 크게 황폐되어 있으나 이 숲은 원상에 가깝게 보존되고 있는 것은 서낭당이
-
때죽나무 / Styrax japonicus Sieb. et Zucc. [과학/식물]
때죽나무과 때죽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소교목. 중부 이남에 분포하며, 산지 계곡과 수변부에 분포하는 특성이 있다. 노가나무 또는 족나무로도 불린다. 원산지는 한국, 중국, 일본, 필리핀이다. 지름은 15∼20㎝이며, 높이는 10m이다. 보령 외연도 상록수림(천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