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보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91)
사전(639)
- 보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고구려시대의 승려. [내용] 열반종의 개조. 자는 지법(智法). 평안도 용강현(龍岡縣) 출생. 항상 평양성에서 살았는데 산방(山方)의 노승이 강경(講經)하기를 간절히 청하므로 사양하다가 『열반경(涅槃經)』 40여권을 강하였다...이칭별칭 지법(智法)
- 보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종3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1392년(태조 1) 세자관속(世子官屬)을 정할 때 좌‧우보덕 각 1인을 두었고, 세종 때는 집현전의 관원이 겸직하도록 하였다. 1456년(세조 2) 집현전이 혁...
- 보덕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종3품 관직.정의조선시대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종3품 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bodeok | MR표기podŏ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보덕(輔德)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보덕 보덕 輔德 세자관속(世子官屬), 세자부(世子府),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황태자시강원(皇太子侍講院) 겸보덕(兼輔德), 우보덕(右輔德), 좌보덕(左輔德) 동궁아관(東宮衙官),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 황태자익위사(皇太子翊衛司)상위어세자관속(世子官屬), 세자부(世子府),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황태자시강원(皇太子侍講院) | 하위어겸보덕(兼輔德), 우보덕(右輔德), 좌보덕(左輔德) | 관련어동궁아관(東宮衙官),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 황태자익위사(皇太子翊衛司)
- 겸보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 이후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정3품 당상관직. [내용] 1392년(태조 1) 세자관속(世子官屬)을 정할 때 처음 좌‧우 보덕 각 1인을 두었고, 세종 때는 집현전의 관원이 겸직하게 되었다. 1...
단행본(1)
- 역주 장릉지 속편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김덕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1.04.20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2. 창절사 3. 민충사 4. 보덕사 《역주 장릉지보유》 1. 장릉 2. 청령포 3. 관풍헌 4. 자규루
고서·고문서(1,165)
- 보덕(補德)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가족/친족 | 형식분류고서-족보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보덕굴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4880 P-SDK-04880-P-A-08-06 P-SDK-04880-P-A-08-06-1 P-SDK-04880-P-A-08-06-2 보덕굴 普德窟 금강산 보덕굴의 모습이 인쇄된 엽서 조선금강산 내금강 최신4색판 봉투 있음. 8매 세트. ...자료명보덕굴 | 발행처京城日之出商行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보덕굴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4885 P-SDK-04885-P-A-05-02 P-SDK-04885-P-A-05-02-1 P-SDK-04885-P-A-05-02-2 보덕굴 普德窟 금강산 보덕암의 모습이 인쇄된 엽서 조선 금강산 내금강 봉투 있음. 5매 세트. 사제엽...자료명보덕굴 | 발행처京城日之出商行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보덕굴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4936 P-SDK-04936-P-A-08-05 P-SDK-04936-P-A-08-05-1 P-SDK-04936-P-A-08-05-2 보덕굴 Futoku kutsu, a very curious monastery supported by a copper...자료명보덕굴 | 발행처德田商店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보덕굴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2248 P-SDK-02248-P-A-08-07 P-SDK-02248-P-A-08-07-1 P-SDK-02248-P-A-08-07-2 보덕굴 普德窟 깊은 산속 바위 위에 지어진 보덕굴의 전경을 인쇄한 엽서 조선 금강산 내금강 최신 사색판 ...자료명보덕굴 | 발행처京城日之出商行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구술자료(9)
- 보덕사의 중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돌종[石鐘] 이야기가 명심보감에 있는 이야기가 아니냐고 묻자 제보자는, “명심보감에 있지요. 석장 얘기가 거 있지요.” 라고 답하고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계속했다. *조사일시1983-05-25 | 조사장소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 제보자엄기복
- 충청남도 연기군_1.아시매기소리 2.만물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4_249 충남 충청남도 연기군 충청남도 연기군_1.아시매기소리 2.만물소리 1.아시매기소리 2.만물소리 1.한마디 입말형 2. 올러가세 충청남도 연기군 전동면 보덕리2구 1989.1.18 素89-1-18②A 임공수, 이후낵 임공수(1914년 조치원읍 신녹음지역충청남도 연기군 전동면 보덕리2구 | 녹음날짜1989.1.18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 충청남도 연기군_대허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4_250 충남 충청남도 연기군 충청남도 연기군_대허리 대허리 충청남도 연기군 전동면 보덕리 1989.1.18 素89-1-18②A 이후낵 이후낵(1912년 공주군 장기면 신허리 출생.남.5세에 공주군 의당면 이주. 6세에 연기군 남면 입촌. 30여세이던 해방 전녹음지역충청남도 연기군 전동면 보덕리 | 녹음날짜1989.1.18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 충청남도 연기군_어 화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촌리, 전동면 보덕리,조치원읍 번암리에 분포하는 호미로 맬 때의 잦은소리에 해당한다.녹음지역충청남도 연기군 동면 내판5리 | 녹음날짜1993.12.7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 충청남도 연기군_오 하햐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호하 이 햐 미라(시)도 라(t4) (받): 내재4박 1마디. ♪ = 150 (세종 11)오 하햐 .jpg (세종 11)오 하햐 .mp3 연기군의 동면 내판2리,내판5리를 포함하여 서면 국촌리, 전동면 보덕리, 조치원읍 번암리에 분포하는녹음지역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읍 번암리 | 녹음날짜1989.1.18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기초학문(2)
- 新羅 神文王代 報德國民의 반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선여, 게재일 : 201351051 정선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호서사학회 2013 新羅 神文王代 報德國民의 반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일본근대의 니노미야 손토쿠(二宮尊德) 모범인물화와 報德社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우봉, 게재일 : 201353750 김우봉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13 일본근대의 니노미야 손토쿠(二宮尊德) 모범인물화와 報德社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41)
- 以惡報德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음력본월 십팔일에 양쥬 로원면 불동거 박성교집에 일인 약장 삼명이 약을팔나 단이다가 일야류슉를쳥 박셩교가 졍리에 각슈업셔 계란과 률등쇽과 셕반을 션즉 일인등이 환약아홉를쥬며무슈치더니그잇흔날아참에그환약갑을달나지라 약갑을물은즉 오량이라거늘 박 ...게재일1906년 10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大久保德治郞(大久保商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大久保德治郞(大久保商店) 원산 大久保德治郞 大久保商店 本町2 - - 철물(金物)상 판매 46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大久保德治郞(大久保商店)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철물(金物)상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 직산금광 보덕원의 집십여호를 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직산금광 보덕원의 집십여호를 일본 광군이 삿다더라게재일1900년 10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해동회고시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고시(二十一都懷古詩)」를 옮겨 싣고 주해를 붙인 글 고구려, 하구려(下句麗), 주필산(駐蹕山), 고연수(高延壽), 고혜진(高惠眞), 막리지(莫離支), 개소문(蓋蘇文), 규염객전(虯髥客傳), 보덕(報德), 검모잠(釼牟岑), 안순(安舜), 안승(安勝), 금마저(金馬渚)...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7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전의록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전의록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서우(西友) 서우(西友)_3호 傳疑錄 1907. 02. 01. 아동고사 64 195~196 편집부 대한제국 수서와 「금강산보덕암기」의 내용 가운데 의심나는 것을 기록한 글 수서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3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기타자료(34)
- 남보덕;南普德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2980 일본 東京 昭和女子藥學專門學校 회원명부 1937―07―05 45면 남보덕;南普德 조선 함경남도 원산부 광석동 25;目黑區鷹番町106 菖蒲방;조선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昭和女子藥學專門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유보덕;柳保德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4840 남한 전북 전주여자고등보통학교 2-45 전주여자고등보통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년~1945년 n.r. 16면 3. 1932년 3월 23일 제3회 졸업생 유보덕;柳保德 소화7년 3...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황보덕삼;皇甫德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9243 북한 평남 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학우회보 제1호 1923―01 17면 1. 본 신학교 졸업생 및 재학생 씨명;14) 제14회 졸업생 18인(1920년 추기) 황보덕삼;皇甫德三 평남 대동군 고...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황보덕삼;皇甫德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1040 북한 평남 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학우회보 제2호 1923―06―08 24면 2. 본교별 신학생 및 주일학교 강습생 씨명;1) 별신학생 씨명 황보덕삼;皇甫德三 평안남도 대동군 고평면 광타농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황보덕삼;皇甫德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황보덕삼;皇甫德三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朝鮮예수敎長老會神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30)
-
보덕 / 輔德 [정치·법제/법제·행정]
세자시강원의 종3품직. 태조(太祖) 1년에 ‘세자관속’을 설치할 때 고려의 제(制)에 따라 서연관직에는 각기 좌·우 2원을 두게 되었던 것이나, 예종(睿宗) 1년에 처음으로『경국대전』이 마련되었을 때에는 모두 1원으로 감축되어 좌·우의 칭호는 없어진 것이다.
-
보덕사 / 報德寺 [종교·철학/불교]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서원산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본사인 수덕사의 말사이다. 본래 옥양봉 남쪽 기슭에 있던 가야사를 승계하여 1871년에 창건하였다. 1951년 2월에는 비구니 수옥이 중창하였고, 1962년에는 비구니 종현이 증축하였다. 현존하는
-
영월고씨굴 / 寧越高氏窟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영월군 김삿갓면 진별리에 있는 석회동굴. 주변에는 장릉(莊陵)·보덕사(普德寺)를 비롯한 금강공원(金江公園)일대와 치악산·단양팔경 등과 더불어 관광동굴로서의 가치도 크다. 해마다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다. 연계 관광지로 살펴보면 고씨동굴→김삿갓유적지→내리계곡(2
-
정기안 / 鄭基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5∼1767). 1752년 동지사 겸 사은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보덕·승지를 거쳐 대사간이 되었고, 1766년 한성부우윤·지중추부사를 지냈다. 저서로《만모유고》가 있다.
-
김이안 / 金履安 [역사/조선시대사]
1722년(경종 2)∼1791년(정조 15). 조선 후기의 학자‧문신. 자는 원례(元禮), 호는 삼산재(三山齋), 본관은 안동(安東[新]),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1781년(정조 5) 충주목사를 지냈고, 1784년 지평(持平)‧보덕(輔德)‧찬선(贊善) 등을 거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