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보궐” 에 대한 검색결과 6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20)

사전(14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전기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의 관직. [내용] 목종(穆宗) 때 이미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의 관속으로 좌(左)과 우(右)이 두어져 있었으며, 문종관제에서는 정원이 좌‧우 각1인, 품계는 정6품이었다. 중서문하성...
    이칭별칭성랑(省郎)|간관(諫官)|사간(司諫)|보간(補諫)|헌납(獻納)
  • TD_E2_D_0716 관직 麗制, 門下省, 左右, 封駁 百官志 D_19_02_19 대동운부군옥 19권 2장 19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9권 2장 1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간원(司諫院), 헌납(獻納)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고려~조선시대 고려~조선시대 송웅섭 고려 목종대 1401년(태종 1) 문하부 낭사 정오품 [정의]...
    관련어사간원(司諫院), 헌납(獻納)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전기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의 관직. [내용] 성종 때 이미 좌(左)과 짝지어 설치되어 있었으며, 1061년(문종 15) 내사문하성이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으로 되자 그 속관으로 존속하였다. 그 뒤 예종 때 우사간으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초기 문하부에 소속된 종5품 관직. [내용] 1392년(태조 1) 문무관제를 정비할 때 문하부에 소속되었다가 1401년(태종 1)에 우헌납(右獻納)으로 바뀌었다. 그 뒤 1460년(세조 6)에 폐지되었다가 1463년에 다시 헌납이라 ...

논문(1)

고서·고문서(444)

  • 4873 중국 필기 우회담총 001 기타 友會談叢 上 相國呂公端任 與一供奉官被命同往高麗 旣達其國 宣朝命畢 以風信未便 在高麗將及半年 未幾 風便回楫 王加等贈遺奇珍異貨 盈載而歸 先是 供奉者以公所得置之船底 己之所得在公物上 慮水氣見過也 公亦不問措置...
    국가중국 | 서명우회담총 | 왕대기타  
  • 伊尹旣復政厥辟,將告歸,乃陳戒于德曰:“嗚呼!天難諶,命靡常。常厥德,位。厥德靡常,九有以亡。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590 梅氏書平 卷三 ITKC_MP_0597A_0590_010_0020 伊尹旣復政厥辟,將告歸,乃陳戒于德曰:“嗚呼!天難諶,命靡常。常厥德,位。厥德靡常,九有以亡。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
    권차명梅氏書平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嗚呼!夙夜罔或不勤。不矜細行,終累大德,爲山九仞,功虧一簣。允迪玆,生民居,惟乃世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590 梅氏書平 卷三 ITKC_MP_0597A_0590_090_0030 嗚呼!夙夜罔或不勤。不矜細行,終累大德,爲山九仞,功虧一簣。允迪玆,生民居,惟乃世王。”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
    권차명梅氏書平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隊伍名也,米布實也。實之旣收,名又奚詰?名之將詰,民受其毒,故善修軍者不修,善簽丁者不簽。査虛覈故,責代者,吏之利也。良牧不爲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280 牧民心書 卷八 ITKC_MP_0597A_1280_030_0020 隊伍名也,米布實也。實之旣收,名又奚詰?名之將詰,民受其毒,故善修軍者不修,善簽丁者不簽。査虛覈故,責代者,吏之利也。良牧不爲也。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권차명牧民心書 卷八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6979 B016979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肅宗實錄正誤 二年(1676) 三月 숙종실록정오_10203002_001 ○甲申 / 下敎曰:○頃覽江華府各鎭堡軍器, 則箭竹零星。 脫有緩急, 臨陣對敵之用, 不出乎矢石, 此實國家之隱憂。 內弓房箭竹, 幾至累萬, 除出箭竹一百...
    출처전거肅宗實錄補闕正誤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2)

  • 김상현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최근 근황 출생 및 성장과정, 정치입문 1965년 선거 서대문구 출마와 당선 1967년 전국구 의원 당선 1960년대 전국구 공천방식과 계파정치 유진산 등 보스정치인의 면모 및 당시 정치 행태 당시 5.16세력에 대한 정보 1963년 대선과 67년 6.8선거 3선
    분야정치‧법제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정당정치
  • [조사자 : 뭐 저기 선거 비슷하게?] 네. 선거. 시장이 국회의원한다고 사표를 냈어요. [조사자 : 지자체 쪽에서는 어제 말씀하셨듯이 애매하다고.] 지자체에서는 애매하곤. 지자체에서는 모든지 한계가 있죠. 지차제 로서 해주는. 그리고 이런 걸 원 그어도 중앙
    조사지역경북 문경 | 조사일2012년 3월 10일

기초학문(2)

  • 말레이시아 선거정치와 정치변동: 2008년 총선 이후 선거정국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황인원, 게재일 : 2011
    51937 황인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전북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1 말레이시아 선거정치와 정치변동: 2008년 총선 이후 선거정국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말레이시아 선거권위주의체제의 변화 가능성: 13대 총선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황인원, 게재일 : 2014
    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22605&local_id=10047567 말레이시아 선거정치구도 재편의 정치발전적 함의: 2008년 총선 이후 선거 정국 및 13대 총선 분석을 중심으로 https: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18)

  •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유가(瑜伽) 1 瑜伽 유가 유통서지 瑜伽 5 景師 二百十紙 大小乘經律論記目錄(七寺古逸經典硏究叢書 第六卷,
    대표표제어유가보궐(瑜伽補闕) 1 | 대표서명瑜伽補闕 | 한글서명유가보궐 | 서지형태유통서지
  •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유가(瑜伽) 2 瑜伽 유가 유통서지 瑜伽 2 八十一紙 大小乘經律論記目錄(七寺古逸經典硏究叢書 第六卷, 1998)...
    대표표제어유가보궐(瑜伽補闕) 2 | 대표서명瑜伽補闕 | 한글서명유가보궐 | 서지형태유통서지
  •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유가(瑜伽) 3 瑜伽 유가 유통서지 瑜伽 11 景法師 四百卌紙 大小乘經律論記目錄(七寺古逸經典硏究叢書 第六卷...
    대표표제어유가보궐(瑜伽補闕) 3 | 대표서명瑜伽補闕 | 한글서명유가보궐 | 서지형태유통서지
  • 유식동이장(唯識同異章)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유식동이장(唯識同異章) 唯識同異章 유식동이장 유통서지 唯識同異章 2 東大寺 一切經論律章疏集(七寺古逸經典硏究叢書...
    대표표제어유식동이보궐장(唯識同異補闕章) | 대표서명唯識同異補闕章 | 한글서명유식동이보궐장 | 서지형태유통서지
  • 대승의림(大乘義林)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대승의림(大乘義林) 大乘義林 대승의림 유통서지 大乘義林 1 一切經論律章疏集(七寺古逸經典硏究叢書 第六卷, 1998)...
    대표표제어대승의림보궐(大乘義林補闕) | 대표서명大乘義林補闕 | 한글서명대승의림보궐 | 서지형태유통서지

멀티미디어(1)

  • 국회소식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당시 국회의 동정을 보여 주는 영상이다. 5월 2일에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의장 선거를 통해 곽상훈 의원이 민의원의장으로 선출되는 과정, 그리고 경찰중립화법안 기초 특별위원회 구성에 관한 결의안 처리 과정을 영상으로 보여주고 있다.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0년 5월 1일 | 제작공보처

기타자료(3)

  • 교육위원선거의건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위원선거의건 교육위원선거의건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문서
    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김천시의회의장 | 사료철명회의록
  • 국비장학생 선발에 대하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국비장학생 선발에 대하여 국비장학생 선발에 대하여 교육 문헌 교육행정 중앙교육행정
    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문교부장관 | 사료철명문교월보
  • 교육위원회위원선거에대한건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위원회위원선거에대한건 교육위원회위원선거에대한건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사료철명회의록(면의회)

주제어사전(10)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전기 중서문하성의 관직. 목종 때 이미 내사문하성의 관속으로 좌과 우이 두어져 있었으며, 문종관제에서는 정원이 좌·우 각1인, 품계는 정6품이었다. 예종 때 사간으로 고쳐졌다가 뒤에 다시 보간으로 개칭되었다. 1298년(충렬왕 24)에 충선왕이 즉위하여

  • / 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문하부에 소속된 종5품 관직. 1392년(태조 1) 문무관제를 정비할 때 문하부에 소속되었다가 1401년(태종 1)에 우헌납으로 바뀌었다. 그 뒤 1460년(세조 6)에 폐지되었다가 1463년에 다시 헌납이라 칭하여 이후 법제화되었다.

  • 보간 / 補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정6품 관직. 정원은 좌·우 각 1인. 고려 초기의 이 예종 때 사간으로 바뀌었다가 뒤에 다시 개칭된 것이다. 1298년(충렬왕 24) 충선왕에 의하여 관제가 개편될 때 사간으로 환원되면서 없어졌다.

  • 좌보간 / 左補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중기 중서문하성의 정6품 관직. 정원은 1인. 고려 전기의 좌(左)이 예종 때 좌사간(左司諫)으로 고쳐졌다가 뒤에 다시 개칭된 것이다. 중서문하성의 낭사를 구성하는 간관으로서 간쟁·봉박 등에 참여하였다. 1298년(충렬왕 24) 다시 좌사간으로 개칭되었

  • 헌납 / 獻納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사간원의 정5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392년(태조 1)의 관제신정 때에 문하부의 관속으로 정5품의 이 좌·우 각 1인씩 설치, 1401년(태종 1) 태종의 관제개혁에 따라 문하부의 간쟁기능과 이를 담당한 관원을 분리하여 사간원으로 독립하면서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