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보국숭록대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5)
사전(151)
- 정일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등급의 품계. [내용]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 7월 문산계(文散階)‧무산계(武散階)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1품 상계는 특진보국숭록대부, 하계는 보국숭록대부로 정하였다. 그런데 『경국대전』에는 특진보국숭록대...
- 보국숭록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정1품 하계(下階)의 품계.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 7월 문산계(文散階)‧무산계(武散階)가 제정될 때 문산계의 정1품 상계는 특진보국숭록대부, 정1품 하계는 보국숭록대부로 정하여졌다. → 문산계
- 상보국숭록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문산계는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와 보국숭록대부의 상하계로 구분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친‧의빈계는 상하의 구분 없이 상보국숭록대부만 사용되었는데, 이것은 조선 초기의 종친계인 현록대부(顯錄大夫)‧수록대부(綏祿大夫), 그리고 의빈계인 흥록대부(興祿大夫)‧...
-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보국숭록대부 보국숭록대부 輔國崇祿大夫 문산계(文散階)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안정윤 [정의] 문산계(文散階) 정1품의 하계(下階). [내용] 1392년(태조 1)관련어문산계(文散階)
- 정경부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종1품 작호(爵號). [내용] 문무관 정1품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의 적처(嫡妻)와 종1품 숭록대부(崇祿大夫)‧숭정대부(崇政大夫)의 적처를 봉작하여 통칭한 것이...
고서·고문서(52)
- 교지-정만석 위대광보국숭록대부 등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국제 및 왕실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1395년 강순룡(康舜龍)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395년(태조 4) 12월 22일에 태조가 강순룡을 특진보국숭록대부 함녕백에 봉하는 문서이다. 특진보국숭록대부은 동반 정1품에 해당하는 관계이고, 함녕백은 작위의 명칭이다. 문서의 발급 연도에 찍혀 있는 도장은 당시의 어보로서 ‘조선왕보(朝鮮王寶)’라고 새겨져 있...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1607년 황윤공(黃允恭)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607년 윤6월 8일에 국왕이 고 황윤공에게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좌의정겸영경연사을 추증하는 교지이다. 아들 황진의 공에 의해서 법전에 의해서 추증받은 것이다. 지난 1602년에 추증된 적이 있었는데, 1604년에 그의 아들이 선무원종공신으로 추록되면서 다시 1등급...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남원 대곡 장수황씨문중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6263 B076263 동래 東萊 정치행정 睿宗實錄 附錄 _ 纂修官 名單 亮經濟弘化佐理功臣大匡輔國崇祿大夫上黨府院君兼領經筵事兵曹判書 臣韓明澮。○監館事:○輸忠衛社協贊靖難佐翼純誠明亮經濟弘化佐理功臣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左議政兼領經筵事寧城府院君 臣崔恒。○知館事:○推忠定難翊戴純...출처전거睿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李熹公實錄資料 4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輔國崇祿大夫判宗正卿府事가 되었다는 내용과 왕세자 입학시 좌빈객으로 加資하는 일을 전교를 받았다는 내용으로 『李熹公辭令書』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5. 02. 02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신문·잡지(2)
- 십월 이십일호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죠셔샤 장례원경 윤용션을 명샤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졍부 의졍을 삼으시고 농상공부 대신 민병셕을 명샤 궁부 대신을 삼으시고 농샹공부 협판 민상호로 농샹공부 대신 셔리 무를 명 시다게재일1898년 10월 22일 | 기사분류관보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內重四郞 任學部次官 俵孫一 帝室會計審査局長李鳳來 命奉常司提調 宮內府協辦金珏鉉 命帝室會計審査局長 命宮內府次官 鶴原定吉 宮內府特進官沈相薰 贈正一品大匡輔國崇祿大夫領敦寧司事 以上八月九日 主殿院主事金準植 公立振威普通學校敎員尹大善 公立振威普通學校副敎員朴斗永 免本官 以上八月十日게재일1907년 8월 13일 | 기사분류관보
주제어사전(10)
-
보국숭록대부 / 輔國崇祿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1품 하계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 7월 문산계·무산계가 제정될 때 문산계의 정1품 상계는 특진보국숭록대부, 정1품 하계는 보국숭록대부로 정하여졌다.
-
상보국숭록대부 / 上輔國崇祿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1품 특정 문신의 품계. 국구(왕의 장인)·종친·의빈들에게만 주던 특수한 품계이다. ≪대전통편≫에 수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19세기에 와서 비로소 제정된 것으로 보인다.
-
대광보국숭록대부 / 大匡輔國崇祿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1품 상계 문관의 품계. 1392년(태조 1) 7월 관제를 새로 정할 때 고려시대의 특진보국삼중대광(特進輔國三重大匡)을 계승, 개편하여 특진보국숭록대부라 하였던 것을 뒤에 대광보국숭록대부로 개칭하였다. 1894년(고종 31) 7월 갑오경장 때 관질(官秩)
-
정경부인 / 貞敬夫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종1품 작호. 문무관 정1품 대광보국숭록대부·보국숭록대부의 적처와 종1품 숭록대부·숭정대부의 적처를 봉작하여 통칭한 것이다.
-
정일품 / 正一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등급의 품계. 1392년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1품 상계는 특진보국숭록대부, 하계는 보국숭록대부로 정하였다. 그런데 ≪경국대전≫에는 특진보국숭록대부는 대광보국숭록대부로 개칭되어 수록되었다. 1443년(세종 25)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