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보공장군” 에 대한 검색결과 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1)

사전(1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종3품 하계(下階) 무신의 품계.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가 제정될 때 정하여졌다. 이러한 종3품관에게는 1438년에 정비된 녹과(祿科)에 의거하여 실직(實職)에 따라 일년에...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보의장군(保義將軍), 서반(西班)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안정윤 [정의] 서반(西班) 종3품의 하계(下階). [내용] 1392년(태조 1...
    관련어보의장군(保義將軍), 서반(西班)
  • 종삼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하계는 ()으로 정하였다. 그런데 무산계의 상계 보의장군은 뒤에 건공장군(建功將軍)으로 개칭되어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한편, 1443년(세종 25)에 종3품 종친계의 상계로는 보신대부(保信大夫), 하계로는 자신대부(資信大夫)가 신설되었다....
  • 숙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외명부(外命婦)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3품 당하 작호(爵號). [내용] 문무관 정3품의 당하관인 통훈대부(通訓大夫)‧어모장군(禦侮將軍)의 적처(嫡妻)와 종3품의 중직대부(中直大夫)‧중훈대부(中訓大夫)‧건공장군(建功將軍)‧...
  • 건공장군(建功將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건공장군 건공장군 建功將軍 종삼품(從三品) 대호군(大護軍), (), 보의장군(保義將軍), 훈련부정(訓鍊副正)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이선희 [정의] 무산계(武...
    상위어종삼품(從三品) | 관련어대호군(大護軍), 보공장군(保功將軍), 보의장군(保義將軍), 훈련부정(訓鍊副正)

고서·고문서(31)

  • 1606년 윤안중(尹安中)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06년8월에 선조가 해남에 사는 해남윤씨 윤안중을 행충좌위부사용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무안 여흥민씨 민종기
  • 1606년 윤안중(尹安中)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06년2월 25일에 선조가무과에 합격한 해남윤씨 윤안중을 훈련원습독관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이때의 관직은 나라의 경사로 인해 특별히 등급을 올려 제수한 것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무안 여흥민씨 민종기
  • 1397년 도응(都膺)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397년(태조 6) 12월 10일에 태조가 도응을 호용순위사섭대장군으로 임명하는 문서이다. 는 종3품 하계 무관에게 주던 품계이고, 호용순위사섭대장군은 도성 문의 경비를 담당하던 호용순위사의 섭대장군으로 정3품의 관직이다. 이전의 감문위가 호용순위사...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논산 관동 성주도씨 어필각
  • 1627년 윤안중(尹安中) 4남매 분재기(分財記)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27년3월 13일에 해남에 사는 전행훈련원습독윤안중이 4남매에게 노비를 나눠 주며 작성한 문서이다. 윤안중은 부인이 생전에 부릴 노비까지 포함하여 총 노 43구, 비 30구를 분집하였다.
    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무안 여흥민씨 민종기
  • 1584년 최호(崔湖)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584년에 12월에 선조가 최호를 행종성진관방원병마만호에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이다. 교지는 왕이 신하에게 관직, 관작, 시호, 자격, 토지 및 노비 등을 하사하면서 그 증표로 내려주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군산근대역사박물관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3품 하계 무신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가 제정될 때 정하여졌다. 이러한 종3품관에게는 1438년에 정비된 녹과에 의거하여 실직에 따라 일년에 네 차례에 걸쳐 모두 중미 10석, 조미(매갈아서 만든 쌀) 27

  • 숙인 / 淑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3품 당하 작호. 문무관 정3품의 당하관인 통훈대부(通訓大夫)·어모장군(禦侮將軍)의 적처(嫡妻)와 종3품의 중직대부(中直大夫)·중훈대부(中訓大夫)·건공장군(建功將軍)·()의 적처에게 내린 작호이다.

  • 종삼품 / 從三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6등급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가 제정될 때 문산계의 종3품 상계는 중직대부, 하계는 중훈대부로, 무산계의 상계는 보의장군, 하계는 으로 정하였다. 그런데 무산계의 상계 보의장군은 뒤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