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보거주” 에 대한 검색결과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음관(蔭官) 추천자. [내용] 거주(擧主)라고도 하였다. 이는 중국 북송대의 보거법(保擧法)에서 유래한 것으로 조선시대에는 태조 때부터 시행되었고 태종 때 법제화되었다. 처음에는 문관 6품 이상, 무관 3품 이상만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과거응시자들의 신분보증인. [내용] 거자(擧子)라고도 하였다. 이들이 응시자들에게 써주는 보증서를 보단자(保單子)라 하였다. 과거응시자들 중에서 사조(四祖 : 증조부‧조부‧부‧외조부) 이내에 현관(顯官 : 동...
    이칭별칭거자보거주(擧子保擧主)
  • 보단자(保單子)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보단자 보단자 保單子 과거(科擧), 녹명(錄名), () 정치행정/문서·행정용어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태조~순종 김경숙 [정의] 조선시대 과거 시험 응시자의 신분을 보증하기 위하...
    관련어과거(科擧), 녹명(錄名), 보거주(保擧主)
  • 과장용정률(科場用情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구체적으로 보면 먼저 과거 시험장에 함부로 들어가는 자는 수군(水軍)으로 보내고 그 ()는 과거용정률로 논죄하도록 하였다. 또한 같은 시험 장소에서 단자를 중복으로 제출한 경우나 이름이 호적에 없는데도 정실로 허위 기록한 경우, 그리고 두 곳의 시험 장...
  • 사유(赦宥)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勿揀赦前)하도록 하였다. 17세기 초에는 과거 부정이 심해지자 과장(科場)에서 녹명(錄名)할 때에 외람되이 들어가는 자가 있으면 그 ()에 대해 물간사전(勿揀赦前)하도록 했고, 무과에서 활을 대신 쏘게 한 사람과 대신 쏜 사람, 조예·나장·조군·역일수,...
    동의어사면(赦免), 사사(肆赦), 사(赦), 유(宥) | 관련어물간사전(勿揀赦前), 대사(大赦), 상사(常赦), 곡사(曲赦)

고서·고문서(2)

  • 營在今日為略地戰兵他日地愈廣則隨地坐駐戰兵即為守兵遼東戰冲也騎地也故設騎兵而中前後左右五部每部三營三營之中以一參將領二遊擊各三營亦各以一參將領二遊擊軍中招降散叛為大遼東往時有降丁營為戰最力立兩營如漢都護典屬國之意曰平彛左營平彛右營各設遊擊一員又立招練一營以待各營兵缺發補名曰招練營以上除守堡守驛...
    출처전거『明實錄』 附錄 史語所藏鈔本崇禎長編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裙繋之槊上乘之而上僅乃得免會日暮夏問至奉夏主之母出走明日魏主入城獲夏王公卿校及婦女以萬數馬三十餘萬匹牛羊數千萬頭府庫珎器物不可勝計初夏世祖性豪侈築統萬城高十仞基厚三十步上廣十步宮墻高五仞其堅可以礪刀斧臺榭壯大皆彫鏤圖畫被以綺繡窮極文采魏主顧謂左右曰蕞爾國而用民如此欲不亡得乎)內懷恐懼故揚聲動衆...
    서명歷代兵要 | 저자정인지(鄭麟趾)‧유효통(兪孝通)‧이석형(李石亨)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주제어사전(1)

  • / [사회/사회구조]

    기 위한 연대보증의 의미도 있었다. 는 초기에는 경재소의 임원들이 될 수도 있었으나 후기에는 반드시 현직 관원들로써 세우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