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병학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
사전(17)
- 병학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없자 통일을 기하기 위해 만든 책이다. 발문에서는, ≪속병장도설≫이 체(體)이며 정(正)이며 경(經)이라면 ≪병학통≫은 체용지설(體用之說)이요 기정지비(奇正之備)요 경위지밀(經緯之密)이라 하였다. 이 책이 ≪병장도설≫과 ≪속병장도설≫을 집대성한 것임을 밝힌 것이...
- 병학통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776년 정조의 명령으로 편찬한 군사훈련 교범.정의1776년 정조의 명령으로 편찬한 군사훈련 교범.[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Byeonghaktong | MR표기Pyŏnghakt’o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병학통(兵學通)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병학통 병학통 兵學通 병서 한문 한국 조선 정조 성낙수 박종국 2016 장지항, 윤행임, 서명선 교서관 1776, 1785 2권 1책(63장) 목판본 병학통(兵學通) 규...
- 야조(夜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隆園展謁 至華城行宮 進饌于慈宮 仍行養老宴 上詣聖廟 拜于先聖 還至行宮 設科取人 翌日登將臺 親閱城操夜操 犒餉將士 當於十六日還宮 令整理所知悉[『정조실록』 19년 윤2월 1일] 『성조홀기(城操笏記)』 『병학통(兵學通)』 『병학지남(兵學指南)』관련어성조(城操), 수조(水操)
- 팔진법(八陣法)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이에 팔진법 등 고전적 진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현종대 『연기신편(演機新編)』의 편찬과 함께 『병학지남(兵學指南)』, 『병학통(兵學通)』 등 조선후기 병서에 팔진법이 수록되고 구체적으로 훈련된 것을 보면 이러한 양상을 잘 보여준다. [의의] 중국의 팔...관련어제갈량(諸葛亮), 팔진(八陣), 연진법(連陣法), 절강병법(浙江兵法)
고서·고문서(2)
- 跋兵學通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40 文集 卷十四 ITKC_MP_0597A_0140_020_0380 跋兵學通 정약용(丁若鏞) 序跋類|題跋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文集 卷十四 | 문체序跋類|題跋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擬漢趙充國謝金城命師之日,使問誰可將者 【丁未八月廿二日泮製比較 在家製 御考二下貳 四天】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雕棨貂冠,不數衛霍之勳貴。 龍鞱豹畧,思得孫吳之將才。 遂令伏櫪之蹤, 亦蒙詢蕘之渥。 □ 老當益壯, 出有師名。 周尙父之八十鷹揚,雖難企及。 程衛尉之三萬騎入,庶效掃淸。 榜 宋知濂二下 余受賞《兵學通》一件 洪祜淵三上 169 ~ 171쪽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연구과제(1)
-
조선시대 군사학사전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조혁상 | 홍익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
-
병학통 / 兵學通 [정치·법제/국방]
설≫이 체이며 정이며 경이라면 ≪병학통≫은 체용지설이요 기정지비요 경위지밀이라 하였다. 이 책이 ≪병장도설≫과 ≪속병장도설≫을 집대성한 것임을 밝힌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