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병자호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35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48)
사전(1,914)
- 권극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광해군 13)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1622년에 영변의 수비에서 돌아와서는 벼슬길에 나가지 않았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났을 때, 천총이 되어 임금이 남한산성에 들어간 뒤에 중군(中軍)이 되었으나 정한 날짜까지 도착하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가...이칭별칭 이숙(?叔)
- 권익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진사로서 안동의 부현감이 되고 뒤에 감찰에 올랐다. 1636년 (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소현세자(昭顯世子)를 모시고 강화도에 들어갔는데, 그곳이 함락되고 적병이 세자를 해치려고 하자 돌벼루로 적병 여러 사람을 격살하고 크게 꾸짖다가 결국 살...이칭별칭 성길(成吉)
- 병자호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그들은 왕자와 대신 및 척화론을 주창하는 자를 압송하라는 최후 통첩을 보내왔으나 조선에서는 그들의 요구를 묵살했다. 이에 청나라는 조선에 재차 침입해왔는데 이것이 병자호란이다. [경과] 청태종은 몸소 전쟁에 나설 것을 결심하고 1636년 12월 1일에 청...
- 병자호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636년(인조 14) 12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청나라가 조선을 침입하여 일어난 전쟁정의1636년(인조 14) 12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청나라가 조선을 침입하여 일어난 전쟁 | 문광부표기Byeongja Horan | MR표기Pyŏngja Hor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병자호란(丙子胡亂)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병자호란 병자호란 丙子胡亂 남한출성(南漢出城), 강도함몰(江都陷沒), 강도순절(江都殉節) 정치군사·국방/전쟁 사건 대한민국 조선후기 조선후기 계승범 1636년(인조 15년) 12월 8일 평안북도...하위어남한출성(南漢出城), 강도함몰(江都陷沒), 강도순절(江都殉節)
논문(2)
- 한시에 나타난 강화 지역 역사의 문학적 형상화 -국난의 체험과 회고를 중심으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저자 : 주지영 | 게재정보 : 국제어문
- 전란을 기억하는 한 방식으로서의 ‘극적 표현’과 전란 서사의 의미 [류블랴나의 한국학 발전 방안 연구 - 신설과목 개설 및 교재 개발 (문학을 중심으로) | University of Ljubljana (University of Ljubljana)]저자 : 이민희 | 게재정보 : 국어국문학
고서·고문서(189)
- 1637년 김득남(金得男) 추증교지(追贈敎旨)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637년(인조15) 10월 24일에 인조가 병자호란 중에 전사한 고 김득남에게 자헌대부한성부판윤으로 추증하는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무안 광산김씨 모충사
- 1829년 김득남(金得男) 추증교지(追贈敎旨)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829년(순조29) 11월 초3일에 순조가 병자호란 중에 전사했던 고 김득남에게 그 충절이 뛰어났기 때문에 자헌대부한성부판윤으로 추증하는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무안 광산김씨 모충사
- 1657년 김명열(金命說) 고신(告身)2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이 교지는 1657년에 김명열을 통훈대부 행공조정랑에 임명하면서 발급한 것이다. 김명열은 김홍원의 아들로 병자호란에는 의병을 일으켜 북상하기도 하였으나 강화가 성립되어 그냥 돌아왔다.교지란 왕이 신하에게 관직 등을 내려줄때 그 증표로서 주는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부안 우동 세덕각
- 1662년 김명열(金命說) 고신(告身)1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이 교지는 1662년에 김명열을 통훈대부 행공조정랑에 임명하면서 발급한 것이다. 김명열은 김홍원의 아들로 병자호란에는 의병을 일으켜 북상하기도 하였으나 강화가 성립되어 그냥 돌아왔다. 교지는 왕이 신하에게 관직 등을 내려주면서 그 증표로 주는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부안 우동 세덕각
- 남한해위록(南漢解圍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일기는 석지형(石之珩, 1610~?)이 병자호란 당시 공부원외랑(工部員外郞)으로 인조(仁祖)를 호종하여 남한산성에 피신했을 때 겪은 일을 기록한 것이다. 이 일기는 금나라의 성립 역사에서부터 시작하여 1636년 12월 9일 청나라가 조선의 국경을 넘은 날과 이듬해...내용분류개인-생활-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기초학문(8)
- 丙子胡亂 패전의 정치적 파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한명기, 게재일 : 200309117 한명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3 丙子胡亂 패전의 정치적 파장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유형논문 | 게재일2003
- 병자호란의 문학적 형상화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337841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3 병자호란의 문학적 형상화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유형논문 | 게재일2003
- 병자호란 패전의 정치적 파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334700 한국연구재단 연세대 국학연구원 2003 병자호란 패전의 정치적 파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유형논문 | 게재일2003
- 병자호란에 대한 기억의 왜곡과 그 현재적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769661 한국연구재단 한국역사연구회 2017 병자호란에 대한 기억의 왜곡과 그 현재적 의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유형논문 | 게재일2017
- 병자호란 시기 조선인 포로문제에 대한 再論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한명기, 게재일 : 200828112 한명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문제연구소 2008 병자호란 시기 조선인 포로문제에 대한 再論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7)
- 김견익전(金堅益傳)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김견익전(金堅益傳)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서우(西友) 서우(西友)_15호 金堅益傳 1908. 02. 01. 인물고 367 1096~1099 편집부 대한제국 김견익(金堅益)에 대한 전기 김견익(金堅益), 병자호란, 임...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15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월간야담_1935_02_0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필자 10명 표기에 관해서는 검수회의 후 목록작성자에게 다시 보낼 지 검토할 것. 병자호란삽화 목구학인, 이경근 畵 62 칠수는갈앗으나 전영택, 이경근 畵...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5
- 신동아_1935_05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병자호란과 서양문화의 동점 백낙준 16 근세조선의 사회계급 (3) 김정실 24 입학시험문제의 재검토 오천석 30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5
- 신인문학_1935_0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활2년간 정규창 133 파일명 수정요 133~135 병상5년기 노자영 136 병자호란 김도태 145 파일분절 다시...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5
- 해방일보_1950_0721_02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망가고 오직 인민들만이 방어해 냈으며 병자호란 때도 왕공귀족들은 서울을 앞문으로 빠저 한강을 건너 도망가고 역시 인민들만이 적을 구축하기에 피를 흘렸다. 북한산 봉오리마다 4대문 문루마다 성 머리마다 한강나루터 마다 이 서울을 지키던, 그리고 이 서울에서 외적을 몰아내...대표표제어해방일보_1950_0721_02_01
멀티미디어(126)
- 국제질서와 조선 2주차. 임진란 발발과 초기 전황 3주차. 전세 역전과 소강 상태 4주차. 협상 결렬_ 재침_종전 5주차. 전쟁의 여파와 동아시아 국제질서 6주차. 17세기초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조선 7주차. 정묘호란 8주차. 병자호란 9주차. 남한산성의 고민 -조선왕강좌제목임진란_ 병자란과 동아시아 지역질서 | 강의자계승범 교수
- 국제질서와 조선 2주차. 임진란 발발과 초기 전황 3주차. 전세 역전과 소강 상태 4주차. 협상 결렬_ 재침_종전 5주차. 전쟁의 여파와 동아시아 국제질서 6주차. 17세기초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조선 7주차. 정묘호란 8주차. 병자호란 9주차. 남한산성의 고민 -조선왕강좌제목임진란_ 병자란과 동아시아 지역질서 | 강의자계승범 교수
- 국제질서와 조선 2주차. 임진란 발발과 초기 전황 3주차. 전세 역전과 소강 상태 4주차. 협상 결렬_ 재침_종전 5주차. 전쟁의 여파와 동아시아 국제질서 6주차. 17세기초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조선 7주차. 정묘호란 8주차. 병자호란 9주차. 남한산성의 고민 -조선왕강좌제목임진란_ 병자란과 동아시아 지역질서 | 강의자계승범 교수
- 기 속 다양한 세상을 만나보자 2주차. 일상적 시공간: <사씨남정기> : 선과 악, 욕망과 이념의 가족이야기 3주차. 역사적 시공간 (1) : <최척전> :17세기 동아시아 전란 속 국적을 초월한 인간애 4주차. 역사적 시공간 (2) : <박씨전> :병자호란으로 인한강좌제목한국 고전소설의 이야기 속 세상 | 강의자엄태웅교수
- 기 속 다양한 세상을 만나보자 2주차. 일상적 시공간: <사씨남정기> : 선과 악, 욕망과 이념의 가족이야기 3주차. 역사적 시공간 (1) : <최척전> :17세기 동아시아 전란 속 국적을 초월한 인간애 4주차. 역사적 시공간 (2) : <박씨전> :병자호란으로 인한강좌제목한국 고전소설의 이야기 속 세상 | 강의자엄태웅교수
기타자료(2)
- 신축대웅전 부지 내 발굴조사보고서 화순 개천사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여 전해지는 1597년 병자호란 당시의 소실과 어느 정도 관련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제3건물지는 적어도 병자호란 이전에 축조된 개천사의 건물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제1건물지는 여순사건(1984)와 6.25전쟁을 걸치면서 소실된 것으로 알려진 천...발행연도2002 | 발굴기관호남문화재연구원/대한불교조계종대천사 | 발굴지역전라남도
- 한계사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할 수 있다. 그 이후 고려시대에도 존속되었음은 물론 조선시대 초기를 거쳐 그 후기까지 꽤 번창을 누리며 존속했던 절로 추정된다. 현재 발굴된 기와의 명문으로 보아 정묘ㆍ병자호란으로 불에 탔거나 퇴락한 것을 그 3년 후인 1639년에 새로 중건하였음을 알겠고, 그 뒤...발행연도1985/03/31 | 발굴기관강원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강원도
연구과제(1)
-
간도 담론의 역사와 간도 문제의 식민화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배성준 | 한경대학교 | 2021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107)
-
병자호란 / 丙子胡亂 [정치·법제/국방]
선에 재차 침입해왔는데 이것이 병자호란이다.
-
정시교 / 鄭時僑 [종교·철학/유학]
1635∼1665. 조선 후기 유학자. 병자호란이 일어나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피난하자 호종하였다. 병자호란이 끝난 후에 호종의 공이 인정되어 관직이 내려졌으나 받지 않고 고향에서 처사의 삶을 살았다. 조정에서 직장에 제수하였으나 이 역시 받지 않았다.
-
강도몽유록 / 江都夢遊錄 [문학/한문학]
작자·연대 미상의 몽유록계 한문소설. 필사본. 『피생명몽록(皮生冥夢錄)』과 함께 묶여 있다. 병자호란 당시 강도(江都: 강화도)가 청(淸)의 군병에 의해 함락됨으로써 죽게 된 많은 여인의 원령(怨靈)이 주인공의 꿈에 나타나, 조정 대신과 강화 수비를 맡았던 관리들을
-
속환시 / 贖還市 [정치·법제/외교]
조선 중기 정묘·병자호란 때 후금( 뒤에 청으로 개칭)군에 포로로 잡혀간 조선인들을 금품을 주고 교환하던 일, 또는 그것이 행해지던 장소. 정묘호란 뒤에는 개시(開市)가 열리던 의주 건너편의 중강(中江)에서, 병자호란 뒤에는 청의 수도 심양(瀋陽) 교외에서 주로 행
-
강도일기 / 江都日記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 어한명이 병자호란 당시에 작성한 일기. 1책. 필사본.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봉림대군(鳳林大君)과 인평대군(麟平大君) 등은 강화로 피란하였는데, 이때 경기좌도 수운판관(京畿左道水運判官)이었던 필자가 갑곶진(甲串津)에서 강화까지 궁실을 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