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병인박해” 에 대한 검색결과 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9)

사전(4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째는 1871년으로 이어져 도합 8,000여 명 이상의 순교자를 내었다. 1868년의 세번째를 무진사옥, 1871년의 네번째를 신미사옥이라고 부르기도 하나 대원군에 의해 계속 추진된 것이므로 에 포함시키는 것이 통례이다. 따라서 는 병인년(丙寅年)...
    이칭별칭병인사옥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866년(고종 3)부터 1871년까지 계속되었던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천주교 박해
    정의1866년(고종 3)부터 1871년까지 계속되었던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천주교 박해 | 문광부표기Byeongin Bakhae | MR표기Pyŏngin Pakha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갈매못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영보리 에 있는 천주교 순교사적지. [내용] 전래 초기에 천주교인들의 신앙 활동이 매우 활발하였던 내포(內浦)지방의 연못이다. 1866년의 때,
  • 치명일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66년(고종 3)의 천주교인 박해로 목숨을 잃은 순교자들의 명단과 그 약전을 수록한 책. [내용] 162면. 1895년에 간행된 이 책은 조선교구의 제8대 교구장으로 임명된 주교 뮈텔(Mutel, G. C. M.)이 189...
  • 김면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들 앞에서 지난날의 잘못을 씻는 길은 오직 순교로 구원을 받는 길밖에 없다고 공언하고 다닐 만큼 열성적으로 전교에 힘썼다. 1866년 의 기미가 보이자 이를 막고자 고심하던 중, 때마침 러시아가 남진야욕을 드러내어 우리나라 북부국경을 자주 침...
    이칭별칭토마스|면호(冕浩)|계호

고서·고문서(31)

  • 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조선 개방 시도 에 따른 프랑스의 조선 침공(병인양요) 관련 청국과 프랑스가 교환한 서신 전달 웬 호이앙(Wên-hoiang), 파오(P...
    대표표제어조선 개방 시도 | 발신자웬 호이앙(Wên-hoiang), 파오(Pao), 퉁(Tung), 충룬(Ch’ung-lun), 헹치(Hêng-ch’i), 슈(Hsü) 장관 | 수신자레퓨에스 | 발신지베이징 | 수신지베이징
  • 에 대한 대응으로 프랑스는 군함을 파견하겠음을 청국 총리아문에 통지함 , 병인양요, 벨로네(Henri de Bellonet), 궁친왕(恭親王) 1866년 11월 20일 베를린 외무부에서 수신한 보고서의 첨부문서 프랑스어 원문 포함
    대표표제어조선 개방 시도 | 발신자벨로네 | 수신자궁친왕 | 발신지베이징 | 수신지베이징
  • 주한 영국공사와 가토 고문의 협정 체결 소문에 관한 건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대의 실패 레퓨에스 비스마르크 1867.01.07 베이징 베를린 No 1 No. 252 독일어 보고서 청국 정부가 프랑스가 교환한 서신을 청국 주재 외교관들에게 회람한 행위에 대한 항의. 청국이 를 조장했다는 벨로네의 주장...
    대표표제어주한 영국공사와 가토 고문의 협정 체결 소문에 관한 건 | 발신자레퓨에스 | 수신자비스마르크 | 발신지베이징 | 수신지베를린
  • 서신 벨로네는 청국의 중재 및 조사 제안을 거부하고, 로 인해 프랑스의 조선 침공이 정당하다고 주장함. , 병인양요,로즈(Pierre-Gustave Roze), 프랑스 함대 1866년 11월 20일 베를린 외무부에서 수신한 보고서의 첨부문서 ...
    대표표제어조선 개방 시도 | 발신자벨로네 | 수신자궁친왕 | 발신지베이징 | 수신지베이징
  • 서신 청국이 에 따른 프랑스의 조선 침공(병인양요) 관련 청국과 프랑스가 교환한 서신을 청국 주재 외교관들에게 전달한 행위에 대한 항의 , 병인양요, 벨로네(Henri de Bellonet), 궁친왕(恭親王) 1866년 12월 1일 베를린...
    대표표제어조선 개방 시도 | 발신자벨로네 | 수신자궁친왕 | 발신지베이징 | 수신지베이징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천주교]

    1866년부터 1873년 사이 천주교에 대한 대박해. 이 박해는 네 차례에 걸쳐서 행해졌는데, 대원군의 주도로 진행되었다. 대원군은 원래 천주교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이었으나, 러시아의 남하정책 때문에 박해하게 되었다. 순교자들에 대해 기록한 자료로는 뮈텔(M

  • 갈매못 / 갈매못 [종교·철학/천주교]

    천주교의 순교 유적지. 충청남도 보령군 오천면 영보리에 있다. 1866년 때 조선교구의 제5대 교구장이었던 다블뤼(Daveluy) 주교와 오매트르(Aumaitre), 위앵(Huin) 신부, 그리고 황석두와 장주기 등 5명이 처형당한 곳이다. 이들의 유해는 현

  • 남종삼 / 南鍾三 [종교·철학/천주교]

    조선 후기의 천주교인·순교자(1817∼1866). 러시아 세력이 밀려들자 프랑스 선교사의 도움으로 영·프 동맹을 맺어 러시아를 저지시키는 계책을 흥선대원군에게 건의하여 천주교를 공인받으려다가, 도리어 로 순교하였다. 1968년 시복되었고, 1984년 성인품

  • 김병학 / 金炳學 [종교·철학/유학]

    급제하여 관직에 나갔다. 곧이어 대사헌·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1866년 때 천주교의 탄압을 적극적으로 주장하였다. 1875년 영돈녕부사가 되어 조일수호조약 체결에 극렬하게 반대하였다. 1879년 영의정 이최응 등과 함께 연차를 올려 인천의 개항을 반대하였다.

  • 새남터 / 새남터 [지리/인문지리]

    한국인 신부이었던 김대건(金大建)과 현석문(玄錫文) 등 신자들이, 1866년 때 베르뇌(Berneux, S.F.)와 도리(Dorie, P.H.) 등 5명의 서양인 신부들과 정의배(丁義培)·우세영(禹世英) 등 많은 한국인 신자들이 이곳에서 군문효수에 처하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