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병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95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68)
사전(805)
- 병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장선으로 중용되기에 이른 군선이다. 조선 후기 수군에 있어서 군선 편제의 단위는 전선(또는 귀선) 1척, 병선 1척, 사후선 2척이나, 방선 1척, 병선 1척, 사후선 2척, 또는 전선 1척, 방선 1척, 병선 1척, 사후선 2척 등으로서, 병선은 각 수군에서...
- 병선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후기의 무장선(武裝船).정의조선 후기의 무장선(武裝船).[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byeongseon | MR표기pyŏngs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안백령(安白齡)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이방(二房) 복선(卜船) 소속의 병선색(兵船色)으로서 사행에 참여하였다. 南玉,『日觀記』 국립중앙도서관 (http://www.nl.go.kr/nl/index.jsp) 병선색(兵船色...유형분류인물
- 유성재(劉聖再)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일방(一房) 기선(騎船) 소속의 병선색(兵船色)으로서 사행에 참여하였다. 南玉,『日觀記』 국립중앙도서관 (http://www.nl.go.kr/nl/index.jsp) 병선색(兵船...유형분류인물
- 오계빙(吳季聘)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이방(二房) 기선(騎船) 소속의 병선색(兵船色)으로서 사행에 참여하였다. 南玉,『日觀記』 국립중앙도서관 (http://www.nl.go.kr/nl/index.jsp) 병선색(兵...유형분류인물
단행본(5)
- 도자기로 보는 조선왕실문화 [왕실문화 대중총서 발간 | 고려대학교]저자 : 방병선...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6.11.30유형단행본
- 한국어 인과관계 표현 연구 [동북아 지역연구 속의 한국학 교육자와 차세대 육성 및 대만 내 한국학 연구 정립 사업 | 국립정치대학교]저자 : 박병선 ... | 출판사 : 瑞蘭國際有限公司 | 출판일 : 20210927유형단행본모든 언어에서 하나의 텍스트가 제대로 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일관된 맥락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그러한 기능을 갖추기 위해서는 접속 표현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어에서도 접속 표현이 매우 발달해 있고 특히 어미를 중심으로 다양한 형식으로 나타난다. 다양한 의미 관...
- 針對臺灣韓語教育的韓語語言學概論與語言學用語解說 [동북아 지역연구 속의 한국학 교육자와 차세대 육성 및 대만 내 한국학 연구 정립 사업 | 국립정치대학교]저자 : 朴炳善 ... | 출판사 : 瑞蘭國際有限公司 | 출판일 : 20221230유형단행본중화권 한국어학습자들이 한국어학을 접할 때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중국어로 한국어학의 여러 분야를 소개하였다. 특히 대만 지역의 한국어학 전공자가 대만의 한국어교육 환경을 더 잘 이해하고 한국어학 이론 공부에 도움이 되도록 한국어학 여러 분야의 개론 내용과 한국어학 용...
- 한국 전통시대의 토목문명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 ]저자 : 권오영, 심광주, 홍보식, 성정용, 이영철, ... | 출판사 : 도서출판 들녘 | 출판일 : 20191129토목은 인류 문명의 발달을 보여주는 분명한 증거이다. 경주의 거대한 왕릉, 서울의 한양 도성, 김제 벽골제 등 오래된 토목구조물은 한국 전통시대 과학문명사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대상이다. 하지만 그동안 이들에 대해 역사적, 사회적 맥락에 대한 조명은 많았지만 과학기술...
- 충청지역 재지사족의 학문과 활동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저자 :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 출판사 :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 출판일 : 2014.12.28분야생활 | 유형단행본세기 公州牧의 재정구조와 民役廳의 운영 임술민란기 省齋 柳重敎의 三政論 崔益鉉의 定山 移住와 泰仁義兵 勉庵 崔益鉉 家의 古文書 考察 淵齋 宋秉璿家 所藏 文獻의 性格
고서·고문서(2,539)
- 강화병선(江華兵船)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5021 B015021 강화병선 江華兵船 군사교통 世宗實錄 六年(1424) 春正月 세종실록_10601011_002 國都, 地濱大海, 漢江經其南, 碧瀾在其西, 不待疏鑿, 而漕運之利, 亦旣自通矣。 臣伏見, 朝廷易換馬價輸轉, 軍額不下萬餘名, 轉輸之勞、贏糧之費, 難以(偏)...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송병선상언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宋秉璿이 高宗에게 올린 上분야문학 | 유형문헌
- 淞翁以病還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60 詩集 卷六 ITKC_MP_0597A_0060_020_0380 淞翁以病還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권차명詩集 卷六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종(從) 병선(秉善)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종(從) 병선(秉善)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구술자료(7)
- 인병선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월남민 생애구술자료 인병선 인병선 역사 인물 현대 평남 용강군 구술자료 - 북한에서 보낸 유년 시절 - 1946구술자인병선 | 직업문화재청 전문위원 | 지역평안도
- 은혜 갚은 병선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2009년 2월 10일 정선읍 애산2리 노인회관에서 전숙자를 만나 정선아라리를 위주로 채록하는 과정에서, 그의 가창능력이 탁월함을 알고 다 음날 전숙자의 집에서 재조사를 하기로 약속했다. 평소 그가 담배를 즐긴다는 사실을 알고 담배 한 보루를 사서 그의 집을 방문했...조사일시2009. 2. 11(수) | 조사장소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봉양9리 5-32번지 전숙자 자택 | 제보자전숙자
- 충청남도 금산군_얼카 산이냐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4_031 충남 충청남도 금산군 충청남도 금산군_얼카 산이냐 얼카 산이냐 아시 논매기소리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선원2리 (가덕리 더덕골) 1987.4.14 素87-4-14①B (메)양봉석 (받)조병철, 김병용, 김병선, 양낙성 양봉석(1915년생. 남. 토민.녹음지역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선원2리 (가덕리 더덕골) | 녹음날짜1987.4.14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충청남도 서천군_네로구나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4_186 충남 충청남도 서천군 충청남도 서천군_네로구나 네로구나 위 - 네로구나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 가양리 1987.4.2 素87-4-2-2A 최병선 최병선(1922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긴 입말형 ‘위’소리의 결합형 멕받형식(선후창) 위 - 아 - 하녹음지역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 가양리 | 녹음날짜1987.4.2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 충청남도 금산군_방애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4_033 충남 충청남도 금산군 충청남도 금산군_방애소리 방애소리 1.느린 방애 2.자진 방애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선원2리 (가덕리 더덕골) 1987.4.14 素87-4-14①A (메)양봉석 (받)조병철, 김병용, 김병선, 명규태, 양낙성, 이희곤 양봉석(1녹음지역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선원2리 (가덕리 더덕골) | 녹음날짜1987.4.14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기초학문(49)
- 연재 송병선의 학맥과 작품세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337597 한국연구재단 어문연구학회 2003 연재 송병선의 학맥과 작품세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유형논문 | 게재일2003
- ‘華東唱酬集’ 연구-편찬자 金秉善과 자료의 梗槪 소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영진, 게재일 : 201354680 김영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연구원 2013 ‘華東唱酬集’ 연구-편찬자 金秉善과 자료의 梗槪 소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유형논문 | 게재일2013
- 19세기 조선 유학사 정리 작업에 대한 연구 - 宋秉璿의 성찰적 조선유학사 정리 작업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성희, 게재일 : 201347004 정성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유학연구소 2013 19세기 조선 유학사 정리 작업에 대한 연구 - 宋秉璿의 성찰적 조선유학사 정리 작업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여성 주체성을 통한 도미니카공화국의 국가정체성 탐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송병선, 게재일 : 201710771 송병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2017 여성 주체성을 통한 도미니카공화국의 국가정체성 탐색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유형논문 | 게재일2017
- 과학에서의 권위와 반과학으로서의 권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홍병선, 게재일 : 200508948 홍병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05 과학에서의 권위와 반과학으로서의 권위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278)
- 加平兵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거월이십삼일에 의병몃명이 가평군 읍즁에 돌입얏다가 즉시 다른곳으로 향얏 일병이 그뒤를라와셔군민가에 츙화야 륙십여호가몰소얏다더라게재일1907년 10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日兵旋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에 일본션 병졸 이쳔명이 인쳔항에셔 어용션 이쳑을타고 귀국엿다고 인쳔감리가 졍부로 보고엿더라게재일1906년 3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義兵宣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홍쥬에셔 압샹 의병을 일본 군법회의소에셔 삼작일에 션고엿는데 안병슈씨는 금옥륙월 리연화 안봉 최경죠삼씨는 팔십 김시남씨는 오십에쳐엿다더라게재일1906년 8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徵兵還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쳔산릉시에 종로 평양병뎡 팔명을 불너 올엿더니 임의 쳔릉이 퇴뎡이 되엿는고로 작일에 그병뎡들을 편뎐으로 불너들여 로문시고 초팔일에 모다 평양으로 려보라신 쳐분이 나리셧다더라게재일1903년 1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派兵還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제쥬에 민요건이 다 무고로 강화 진위 참령 윤쳘규씨가 파송엿든 강화 병뎡과 슈원병뎡 이명을 령솔하고 도라온지라 금일의 그 병뎡을 대안문안으로 부르샤 연죠케 신다더라게재일1901년 6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85)
- 김병선;金炳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0378 북한 함남 永生高等普通學校 3-08 校友會報 제3호 1937―10―07 172면 1. 동창회명부;1) 영생학교 졸업생;(13) 제13회(1924년) 김병선;金炳善 金山상점;함흥부 황금...학교소재지역함남 | 학교명永生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전병선;全秉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6680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校友 제1호 1926―04―30 152면 전병선;全秉善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배병선;裵秉璇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6694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校友 제1호 1926―04―30 152면 배병선;裵秉璇 김천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병선;金炳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7136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21면 김병선;金炳善 제3회 1928년 3월 25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임병선;林炳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0246 남한 경성 경복중학교 소화19년 4월 현재 동창회 회원명부 1944 139면 임병선;林炳漩 경북 경산군 하양면 금락동 제18회 1943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복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8)
-
한국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구술자료 아카이브 구축사업 | 김병선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08 | 국내 | 경기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구술자료 아카이브 구축사업 | 김병선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1 | 국내 | 경기
-
한국학 토대자료 디지털화 및 공유체계 구축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김병선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구술자료 아카이브 구축사업 | 김병선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
스페인어권 특화 한국학 교재개발 - 비판적, 비교적, 통합적 접근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민원정 | Pontificia Universidad Catolica de Chile (Pontifical Catholic University of Chile) | 2011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81)
-
병선 / 兵船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의 무장선. 조선 후기 수군에 있어서 군선 편제의 단위는 전선(또는 귀선) 1척, 병선 1척, 사후선 2척이나, 방선 1척, 병선 1척, 사후선 2척, 또는 전선 1척, 방선 1척, 병선 1척, 사후선 2척 등으로서, 병선은 각 수군에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경
-
송병선 / 宋秉璿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순국지사(1836∼1905). 송시열의 9세손으로 1884년 의제변개가 단행되자 반대해 상소했다. 1905년 11월 일제가 을사조약을 강제 체결하고 국권을 박탈하자 청토흉적소를 올리고 상경해 을사조약 반대운동을 전개하려 했으나 납치되어 대전으로 호송되
-
최병선 / 崔秉善 [역사/근대사]
1886-1943년. 독립운동가. 일명 동선(東善)·병선(炳善). 평안북도 정주 출신. 1919년 3·1운동 때 고향 정주에서 만세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가 잡혀 8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1920년 1월 출옥과 동시에 상해(上海)로 망명하여 공동조계에 거주하면서
-
송병선상언 / 宋秉璿上言 [정치·법제/법제·행정]
1882년 7월에 송병선이 고종에게 올린 상언.
-
송병선가의대부고신 / 宋秉璿嘉義大夫告身 [정치·법제/법제·행정]
1886년 3월에 송병선을 가의대부로 임명하는 고신. 가의대부 관계는 당상관 종이품이다. 연호 왼쪽에는 고신의 발급사유가 "고종이 친림하여 춘계방 선온하실 때 시강원찬선으로 참여하여 가자받은 것"임을 기록한 것이다. 2품 이상의 문관에게 발급되는 관교, 국왕의 명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