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병마첨절제사” 에 대한 검색결과 2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8)

사전(112)

  • (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使 병마첨사(兵馬僉使) 첨사(僉使), 첨절제사(僉節制使)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시대 조선시대 윤훈표 종삼품 [정의] 조선...
    동의어병마첨사(兵馬僉使) | 관련어첨사(僉使), 첨절제사(僉節制使)
  • 동관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방의 요새였으며, 동관소천(潼關小川)이 있어서 두만강으로 흘러 들어가는데 이 강나루를 동관도(潼關渡)라 하였다. 동관진은 성 주위가 2,982척, 높이가 9척이며, 영(使營)이 있어 첨절제사 1인이 주둔하였다. 이곳에는 또한 동관...
    이칭별칭수주(愁州)
  • 황여일(黃汝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1598년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가서 마테오 리치(Matteo Ricci)의 감수를 받아 세계 지도를 제작하였다. 1601년 예천군수(醴泉郡守)가 되고, 1611년 길주목사(吉州牧使), 1615년 4월 동래부사가 되었다. 1617년에는 동래진(東萊鎭...
    유형분류인물
  • 육절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강원도 횡성군 공근면 매곡리에 있는 정려각. [내용] 정면 4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건물.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65호. 임진왜란 때 진주성에서 전사한 진주목사 겸 진주진 서예원(徐禮元)과 그의 처에게 1...
    연계항목육절려(六節閭)
  • 신경기(申景沂)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 같은 해 9월 15일 오사카에서 소통사(小通事) 한 사람을 대동한 채 이진경(李眞卿)과 함께 선래군관(先來軍官)이 되어 장계(狀啓)를 가지고 먼저 돌아가 보고하였다. 1626년 고령(高領) (使)가 되었다. 『承政院日記』; 李景稷,『扶...
    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126)

  • 1773년 첨사행산산진(僉使行蒜山鎭使) 임재대(任載大) 보장(報狀) 초(抄)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보장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보장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544년 김연(金緣)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44년(中宗39) 에 중종 이 김연 을 경주진 으로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75695 B075695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20年 1月 20日_013 ○兵曹啓曰, 昌原府使·仁川府使之防禦使履歷, 德山郡守之邊地履歷, 竝勿施, 復舊例施行。 仁川則依東萊·德源例事, 減省廳別單, 判下矣。 昌原鎭使嶺南水軍防禦使, 改以金海鎭管昌原兵馬...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589년 이계정(李繼鄭)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589년(선조22)7월 7일에 선조가 원주이씨 이계정을 어모장군행동관진로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해남 영산사
  • 1659년 김수발(金粹發)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59년(현종원년)12월 27일에 현종이 밀양김씨 김수발을 어모장군행볼하진로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영암 밀양김씨 김상회

주제어사전(7)

  • / 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 도의 병마절도사 관하에 있던 종3품 무관직. 거진의 장이다. 이들은 양계의 경직겸차하는 독진(獨鎭)의 (使)를 제외하고는 모두가 목사(牧使)나 도호부사(都護府使)와 같이 격이 높은 수령이 겸하였으므로 문관으로 무관직을 겸대한 존재였다

  • 김정운 / 金鼎運 [종교·철학/유학]

    1677년(숙종 3)∼1735년(영조 11). 조선 중기의 문신. 조부는 문정공 김경여, 부친은 청주진를 지낸 통훈대부 김창석, 생부는 청주목사 김명석이다. 호조정랑을 거쳐 합천군수를 역임하였다. 이인좌의 난 때 반란군이 합천, 삼가 등지를 장악하자 의병을

  • 중직대부 / 中直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교·상례·편수관·대호군·부사··수군첨절제사·병마우후 등이 있다.

  • 중훈대부 / 中訓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부사··수군첨절제사·병마우후 등이 있다.

  • 황여일 / 黃汝一 [종교·철학/유학]

    1556(명종 11)∼? 조선 중기의 문신. 황세충의 증손, 할아버지는 황연, 아버지는 황응징이다. 1576년(선조 9)에 진사가 되고 1585년 개종계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588년 검열, 예천군수, 길주목사, 동래진를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조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