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병마절제사” 에 대한 검색결과 14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2)

사전(9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정3품 수령이 겸대(兼帶)한 서반(西班) 관직. [내용] 조선 초기 양계(兩界)에는 군익도(軍翼道)가 편성되어 있었고, 그 군사책임자 직함이 도병마사‧도절제사‧ 등으로 일정하지 않던 것을 1415년(태종 15) ...
  • (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使 도병마사(都兵馬使), 병마단련사(兵馬團鍊使), 병마사(兵馬使), 부윤(府尹)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윤훈표 정삼품 [정...
    관련어도병마사(都兵馬使), 병마단련사(兵馬團鍊使), 병마사(兵馬使), 부윤(府尹)
  • 유용생(柳龍生)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동북면도절제사 겸 화령부윤(和寧府尹)으로 있을 때 왜구(倭寇)를 포획하는 데 공이 컸다. 1404년 경상도도절제사 및 경상도로 있을 때에도 왜구퇴치에 큰 공을 세웠다. 1406년 1월 경상도 내이포(乃而浦) 수군만호(水軍萬戶) 신식(辛息)이 관할하는 천호 이...
    유형분류인물
  • 박인길(朴寅吉)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와 함께 3명을 체포하였다. 1421년 8월 17일 장연진(長淵鎭使)로 임명되었으며, 같은 해 10월 26일 강계(江界使)가 되었다. 1425년 2월 24일에 사망하였다.   『太宗實錄』; 『世宗實錄』 한국고전번역원,...
    유형분류인물
  • 연소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영양군 영양읍 감천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누정. [내용] 칠원현감 겸 진주진관를 지낸 오시준(吳時俊)이 지은 정자이다. 오시준이 1562년(명종 17) 무과에 장원으로 등제하여 1584년(선조 17)

고서·고문서(48)

  • 형자관(邢自寬)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국왕이 형자관(邢自寬)을 하양현감(河陽縣監) (使)에 임명하는 내용으로 발급한 문서이다. 하양현은 현재 경상북도 경산시에 해당한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화순군 진주형씨 형군철가
  • 형군철(邢君哲)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국왕이 형군철(邢君哲)을 정3품인 통훈대부 강계도호부사 겸 (通訓大夫 江界都護府使 兼 使)에 임명하는 내용으로 발급한 문서이다. 강계는 현재 북한 자강도의 도청소재지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화순군 진주형씨 형군철가
  • 1864년 김홍원(金弘遠) 추증교지(追贈敎旨)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이 교지는 1864년에 증 가선대부 병조참판 겸 동지 의금부사 오위도총부 부총관 행 통정대부 나주목사 나주진를 역임하였던 김홍원을 자헌대부 호조판서 겸 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총관에 추증하면서 발급한 것이다. 추증한 이유는 충절이 뛰어났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부안 우동 세덕각
  • 33777 B033777 남산 南山 산악 大東地誌 권4 경상도 慶州 _ ... 年置使營于府以節制使兼府尹十七年移營于蔚山 世祖十二年置鎭管十邑內東萊今爲獨鎭宣祖二十五年置左道觀察使營翌年移于星州詳大邱(邑號)金城月城俱新羅都城號樂浪高麗成宗所定○隋唐書俱云新羅漢樂浪地金鰲蚊川(官...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二年自金山移置按廉使營于府 本朝 太祖元年移營于尙州 太宗十五年置使營于府以節制使兼府尹十七年移營于蔚山 世祖十二年置鎭管十邑內東萊今爲獨鎭宣祖二十五年置左道觀察使營翌年移于星州詳大邱(邑號)金城月城俱新羅都城號樂浪高麗成宗所定○隋唐書俱云新羅漢樂浪地金鰲蚊川(官員)府尹兼慶州鎭使一...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6)

  • / 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3품 수령이 겸대한 서반 관직. 조선 초기 양계에는 군익도(軍翼道)가 편성되어 있었고, 그 군사책임자 직함이 도병마사·도절제사· 등으로 일정하지 않던 것을 1415년(태종 15) 로 통일하였다. ≪경국대전≫의 규정에서는 경주와 전주의 부

  • 절제사 / 節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지방에 파견되던 관직. 병마도절제사는 1466년(세조 12) 병마절도사로, 수군도절제사는 1420년(세종 2) 수군도안무처치사로 직함이 변경, 1466년 수군절도사로 각각 개칭되었다. 2품 수장(守將)으로서 변방에 파견되던 는 1455년 전국을 군

  • 결송유취 / 決訟類聚 [역사/조선시대사]

    수군절도사 김태정, 승의랑수전라도도사 심우정, 통정대부수전주부윤전주진관 남언경, 조산대부행전주부판관전주진관병마절제도위 최몽신(嘉善大夫全羅道觀察使兼兵馬水軍節度使 金泰廷, 承議郎守全羅道都事 沈友正, 通政大夫守全州府尹全州鎭管使 南彦經, 朝散大夫行全州府判官全州

  • 방어진 / 方魚津 [지리/인문지리]

    이곳을 군사기지로 삼았다. 조선시대에는 부근 일대가 국가 경영의 목장으로 이용되었고, 천내봉수(川內烽燧)는 남쪽의 가리산(加里山)과 북쪽의 남목천봉수(南木川烽燧)를 이어주면서 동해안을 따라 올라갔다. 울산에 경상좌도영(慶尙左道使營)이 있었기 때문에 군사

  • 동진 / 東津 [지리/인문지리]

    6) 유포석보(柳浦石堡)를 두어 가 다스리게 하였으며 유포면(柳浦面)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895년(고종 32) 강동면으로 개명하여 울산군에 속하였으나, 1962년 울산시가 생기면서 울주군 관할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