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병마절제도위” 에 대한 검색결과 2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2)

사전(92)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도위(都尉), 절제도위(節制都尉) 병마단련판관(兵馬團鍊判官), 제진(諸鎭), 현감(縣監), 현령(縣令)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윤훈표 14...
    동의어도위(都尉), 절제도위(節制都尉) | 관련어병마단련판관(兵馬團鍊判官), 제진(諸鎭), 현감(縣監), 현령(縣令)
  • 단련판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데, 대개 5‧6품의 수령이 이를 겸대하였다. 그 뒤 1466년(세조 12) 진관체제(鎭管體制)에 의하여 거진(巨鎭)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지역단위 군사조직의 말단으로 각 군현에 제진이 설치될 때 ()로 개칭되었다. 그리고 제진 가운데...
  • 절제도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각 도의 병마절도사 밑에 있던 종6품의 서반외관직(西班外官職). [내용] 제진(諸鎭)의 장(將)으로서 정식명칭은 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동반의 현령‧현감 등 수령이 겸대(兼帶)하였으며, 거읍(巨邑)은 종5품인 판관이
  • 박규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시주부사(宗簿寺主簿)ㆍ사직서령(社稷署令), 1831년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1839년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ㆍ양현고주부(養賢庫主簿), 1840년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1843년 이조좌랑(吏曹佐郞)ㆍ연원도찰방(連原道察訪), 1849년 ()...
    이칭별칭 취죽(翠竹)
  • 박응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터 무예를 닦아 1549년(명종 4) 무과에 급제, 우후(虞候)‧첨사(僉使) 등이 되었다가 사헌부감찰을 역임하였다. 1572년(선조 5) 대정현감이 되고 ()를 겸하였다. 4년간 임지에 있으면서 기강을 바로 세우고 흉년에 기민을 구제하며 세...
    이칭별칭 중수(仲綏)| 낙옹(樂翁)

고서·고문서(130)

  • 1857년 기정진(奇正鎭)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57년(철종8)3월에 기정진(奇正鎭)을 겸 나주진관무장(兼羅州鎭管茂長)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무장는 종6품의 관직으로, 나주진관에 소속되었으며, 무장현감이 겸임하였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장성 고산서원
  • 1826년 이원조(李源祚) 고신(告身)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26년 5월, 순조가 이원조를 홍주진관 결성 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이원조가 1826년 5월 24일에 結城 縣監에 임명됨에 따라 겸직으로 에 임명된 것이다. 는 무관 종6품 관직이며 결성은 홍주진관에 소속된 것으로 결성 ...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879년 정기상(鄭璣相) 호구단자(戶口單子)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홍문관교리통훈대부행언양현감겸경주진관를 지낸 정기상이 거창현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525년 김연(金緣)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25년(중종20) 병조 에서 왕명을 받아 김연 을 대구진관 로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1591년 황진(黃進) 고신(告身) 4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591년 7월 29일에 황진을 조봉대부 행동복현감으로 임명하는 교지이다. 같은 날 인근 순천진관에도 임명되었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남원 대곡 장수황씨문중

주제어사전(6)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6품의 외관직 무관. 각도 제진의 장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동반의 수령인 현령(縣令)과 현감(縣監)이 겸대하였다. 조선 건국초에 5·6품의 수령이 겸대하도록 되어 있었던 병마단련판관(兵馬團練判官)이 세조(世祖) 12년에 ()로 개칭된

  • 단련판관 / 團練判官 [정치·법제/국방]

    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제진이 설치될 때 로 개칭되었다. 그리고 제진 가운데 동첨절제사를 수령인 군수가 겸한 예와 같이, 또한 동반의 수령인 현령·현감이 겸하도록 하였다.

  • 박종신 / 朴宗臣 [종교·철학/유학]

    1754년(영조 30)~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박필철, 조부는 박사복이다. 부친 통훈대부 수원진관 박재원과 모친 조명원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동생은 박종유이다. 부인은 최수일의 딸이다. 1806년(순조 6) 이태순‧조양진‧한긍리 등과 함께 홍문

  • 결송유취 / 決訟類聚 [역사/조선시대사]

    수군절도사 김태정, 승의랑수전라도도사 심우정, 통정대부수전주부윤전주진관병마절제사 남언경, 조산대부행전주부판관전주진관 최몽신(嘉善大夫全羅道觀察使兼兵馬水軍節度使 金泰廷, 承議郎守全羅道都事 沈友正, 通政大夫守全州府尹全州鎭管兵馬節制使 南彦經, 朝散大夫行全州府判官全州

  • 고성이씨신도비 / 固城李氏神道碑 [예술·체육/서예]

    진입로 좌측에 있는 비각으로 보호되고 있다. 비는 앞면에 “有明朝鮮國 贈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 五衛都總府副摠管行通訓大夫靈山縣監大邱鎭管固城李公神道碑(유명조선국 증가선대부이조참판겸동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부총관행통훈대부령 산현감대구진관고성이공신도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