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병마절도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남병영
- 박의장 경상좌도병마절도사 해유문서
- 북병영
- 우병영
- 좌병영
연구성과물(1,060)
사전(762)
- 병마절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되었다. 이에 따라 영진군이 없던 경기도(京畿道)에도 1458년 도관찰출척사 겸임의 병마도절제사를 두게 되었다. 이 병마도절제사를 1466년 병마절도사로 개칭한 것인데, 1467년에 내륙의 주요 방어 거점에 병마절도부사를 두었으나, 곧 혁파되었다. 146...
- 병마절도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각 도(道)의 군사적인 지휘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설치한 종2품 서반(西班) 관직.정의조선시대 각 도(道)의 군사적인 지휘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설치한 종2품 서반(西班) 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byeongma jeoldosa | MR표기pyŏngma chŏlto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충청도병마절도사영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 2가에 있는 조선 말기의 건물. [내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5호. 정면 3칸, 측면 2칸의 이익공 팔작지붕건물. 이 건물은 청주읍성 안에 있었던 충청도병마절도사영의 출입문이다. 병...연계항목충청도병마절도사영문(忠淸道兵馬節度使營門)
- 좌병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경상좌도 울산에 있었던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의 주둔 병영. [내용] 1407년(태종 7)의 행정구획시 경상도의 낙동강을 경계로 하여 낙동(洛東)과 낙서(洛西)로 나뉘었는데, 이를 각각 좌도와 우도로 삼았다. 이에 따라
- 남병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함경도 북청(北靑)에 설치되었던 병마절도사영(兵馬節度使營). [내용] 1466년(세조 12)에 처음 병마절도부사(兵馬節度副使)를 두었다가, 이듬해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겪은 뒤 병영으로 승격되었다. 남도 병영 혹은...이칭별칭남도병영
고서·고문서(292)
- 1657년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준호구(準戶口)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의성 아주신씨 오봉 가문‧호계 가문
- 1847년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관(關)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847년(헌종13) 10월에 병마절도사가 영장에게 박기상을 때리고 문권을 빼앗은 일로 인한 정소가 있어서 사건의 전말을 보고하라고 작성한 관문이다. 이 문서는 1847년신처붕 등 소지의 뒷면에 작성되었다.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관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관 | 현소장처영암 남평문씨 문창집
- 1833년 공충도병마절도사(公忠道兵馬節度使) 관(關)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해유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해유문서 | 현소장처구례 오미 문화유씨 운조루
- 1844년 전라도병마절도사(全羅道兵馬節度使) 관(關)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관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관 | 현소장처영암 장암 남평문씨
- 병신년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완문(完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이 문서는 경상좌병영의 병마절도사가 옥산서원 유생들의 요청으로 병영 소속 해부 조시원 등 6명을 획급해준다는 내용의 완문이다. 완문에서는 이들 해부의 수가 적은 까닭에 조시원, 은복, 김안 등 3명을 나누어 주기로 한 것에 의거하여 3명을 더 획급한 것이며, 서원에서...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완문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완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기타자료(6)
- 마산 합포성지 - 마산 합성동 73-10번지 주택신축부지내 시굴조사 보고서 -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와편은 표토 아래의 과거 주택이 설치된 층에서 부분적으로 수습되었다. 암키와와 수키와가 있다. 그 밖에 마름쇠도 출토되었다. 마산 합포성지는 조선전기의 경상도 우도병마절도사영성으로서 경상우도 육군의 최상위 지휘관인 병마절도사가 위치하던 곳이다. 조선의 중앙군은 세조...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 발굴지역경상남도
- 울산 병영성북문지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의 백자로, 이들은 18~19세기에 유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울산 병영성은 조선시대 경상좌도병마절도사영이 설치되었던 곳으로 현재는 도시화로 인해 옛 흔적이 거의 남아있지 않은 상태이다. 병영성은 19세기 중엽 경 남문 밖으로 성을 확장하여 시장, 연못 등 성 밖...발행연도2001 | 발굴기관울산광역시/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 발굴지역울산광역시
- 마산합포성지기초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지금의 합포성은 경상우도병마절도사영이 위치했던 곳이다. 본디 이 성은 사방에 옹문과 4성우(城隅), 황(隍)을 각각 구비한 구조였으나, 뒷날 훼손되고 현재는 북쪽 성벽 일부만 잔존하고 있다. 잔존부위와 문헌에 의하면, 성벽의 높이는 15척 정도이고 최고 성폭은 4m로,...발행연도1991 | 발굴기관동아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상남도
- 울산 병영성 진해루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적 조건은 내륙으로 통하는 길목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으며 동천과 태화강을 이용한 수운과 해운도 고려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병영성에 대한 여러 문헌기록을 종합하면 태종15년(A.D. 1415)에 울산군치소가 설치되었고, 태종17년에 석성으로 축조되어 경상좌도병마절도사영...발행연도2004 | 발굴기관(재)울산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울산광역시
- 울산 개운포성지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충실하게 자료제공이 될 것이다. 끝으로 울산광역시남구청과 우리 연구원에서 조사한 개운포영성은 경상좌도수군절도사영이 운영된 영성으로서 경상좌도병마절도사영과 함께 울산을 대표하는 성곽유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의 1차 조사에서도 정비복원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확보된 만큼...발행연도2004 | 발굴기관(재)울산발전연구원 문화재센터 | 발굴지역울산광역시
연구과제(1)
-
조선후기 무관직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정해은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9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61)
-
병마절도사 / 兵馬節度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 도의 군사적인 지휘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설치한 종2품 서반관직. ≪경국대전≫에는 겸병사 8인 외에 충청도·전라도·평안도와 경상좌도·경상우도, 함경남도·함경북도에 단병사를 각 1인씩 두도록 함으로써 경기도·강원도·황해도에는 겸병사만이 두어져 병사는 총 1
-
박의장 경상좌도병마절도사 해유문서 / 朴毅長 慶尙左道兵馬節度使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박의장 해유문서. 1600년(선조 33) 11월 일에 후임관이 경상도관찰사에게 첩정을 올렸고, 동년 11월 21일 경상도관찰사가 호조에 문서를 이관하였다. 박의장(朴毅長)은 세렴(世廉)의 아들이다. 임진왜란 때 크게 활약해 경주지역을 수호하였다. 전체적으로 문서의 결락
-
북병영 / 北兵營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함경도 경성에 설치되었던 병마절도사의 진영. 1400년(정종 2)에 함경도병마절도영으로 개설되었다가, 1467년(세조 13) 북청(北靑)에 남병영이 설치되면서 북도병마절도영으로 개칭되고 관할구역을 남병영과 분담하게 되었다. 북병영은 조선 초기 6진개척의 보
-
허계 / 許棨 [종교·철학/유학]
1798년(정조 22)∼1866년(고종 3). 조선 후기의 무신. 임 손자, 즙 아들이다. 1814년(순조 14) 천거로 선전관이 되고, 1815년 무과에 급제, 1835년(헌종 1) 경상좌도병마절도사, 1837년 함경남도병마절도사, 1841년 함경북도병마절도사·수
-
김경서 / 金景瑞 [종교·철학/유학]
1564(명종 19)∼1624(인조 2). 조선 중기의 무신. 일찍이 무과에 급제, 1588년(선조 21) 감찰이 되었으나 집안이 미천한 탓으로 파직되었다가,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다시 기용되었다. 전라도병마절도사, 정주목사, 평안도병마절도사를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