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병마우후” 에 대한 검색결과 10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4)

사전(56)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각도의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를 보좌하는 종3품 외관직(外官職) 무관(武官) 벼슬.
    정의조선시대 각도의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를 보좌하는 종3품 외관직(外官職) 무관(武官) 벼슬.[한국고전용어사전] | 문광부표기byeongma uhu | MR표기pyŏngma uh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병우후(兵虞候), 아장(亞將) 병마도절제사도진무(兵馬都節制使都鎭撫),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수군(水軍) 우후(虞候)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시대 조선시대 윤훈표 ...
    동의어병우후(兵虞候), 아장(亞將) | 관련어병마도절제사도진무(兵馬都節制使都鎭撫),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수군(水軍) 우후(虞候)
  • 도진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南道)에서는 조선 세조초에 와서야 전직관료 중 무재가 있는 자를 뽑아 임명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양계 도절제사의 도진무에게만 녹봉을 지급하였다. 1466년(세조 12) ()로 개칭되었다. 「고려말(...
  • TD_L14_D_4358 鄭六乙 인물 武科, 咸吉道, 殉節, 漢城左尹 河東 李施愛, 汝昌 D_18_04_64 대동운부군옥 18권 4장 64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4장 6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성영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무신. [개설] 본관은 창녕(昌寧). 할아버지는 선교랑(宣敎郞) 세거(世琚)이고, 아버지는 진사 열(悅)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당시, 경상우도(慶尙右道)로 참전하여

고서·고문서(38)

  • 1842년 공충도(公忠道) 첩정(牒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해유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해유문서 | 현소장처구례 오미 문화유씨 운조루
  • 공충도(公忠道) 이(李) 첩정(牒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해유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해유문서 | 현소장처구례 오미 문화유씨 운조루
  • 1746년 제인장(諸仁章) 차첩(差帖)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746년에 겸중군이 하의도에 사는 한량 제인장을 병영의 친병좌부우사파총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차첩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차첩 | 현소장처목포 칠원제씨 제갈현우
  • 義禁府"平安道崔進河·評事洪璨,防禦諸事不謹措置,使賊再寇滿浦鎭管外叱恠及碧潼等處,搶殺人畜,其推鞫以啓."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성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68582 B068582 동래 東萊 정치행정 中宗實錄 五年(1510) 六月 중종실록_10506025_004 ○義禁府, 以慶尙左道李昐, 當充軍, 水軍虞候李思良, 當斬待時, 照律入啓。 傳曰: “南方城陷, 非思良等之罪也, 近日狃於昇平, 以致疎虞故也。 今此照律, 無乃...
    출처전거中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9)

  • / [정치·법제/법제·행정]

    각 도의 병마절도사를 보좌하는 종3품의 외관직 무관. 세조(世祖) 12년에 ()로 개칭되어 주진을 이루는 병영의 제2인자이다. 우후의 임무는 병사유고시에 도내의 군사전반을 다루는 외에도 수시로 제읍을 순행하면서 군사조치와 지방군 훈련, 그리고 군기의

  • 도진무 / 都鎭撫 [정치·법제/국방]

    전직관료 중 무재가 있는 자를 뽑아 임명하도록 하였다. 1466년(세조 12) 로 개칭되었다.

  • 수군우후 / 水軍虞候 [정치·법제/법제·행정]

    은 육군(陸軍)인 ()의 비슷하였다.

  • 박민웅 / 朴敏雄 [역사/조선시대사]

    1674(현종 15)∼1732(영조 8). 조선 후기의 무신. 할아버지는 부사 원진, 청주에서 살았다. 도량과 재간이 뛰어나고 활쏘기와 말타기에 능하여 소년 때부터 이름이 났다. 뒤에 장신 장붕익과 이봉상이 각각 국사로서 조정에 천거하였다. 충청겸창의사, 상주

  • 중직대부 / 中直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교·상례·편수관·대호군·부사·병마첨절제사·수군첨절제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