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병마수군절제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
사전(10)
- 절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는 1455년 전국을 군익도(軍翼道)로 편성한 이후로는 소멸되고 정3품의 거진장(巨鎭將)으로 수령이 겸하는 병마절제사‧병마수군절제사만이 남게 되었다. 高麗史 世宗實錄 世祖實錄 經國大典 韓國史-近世前期篇-(震...
- 도계진상(到界進上)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군절제사는 도계진상으로 백랍(白蠟) 24근을 진상하였다. 1828년(순조 28) 12월 15일 황해감사에 임명된 이익회(李翊會)는 1829년 1월 20일 황해감영에 도착하였다. 부임하자 곧바로 대전(大殿)·중궁전·세자궁에 ‘말린 꿩고기 건치(乾雉), 생합(生蛤)식해...상위어진상(進上), 물선진상(物膳進上), 진선(進膳) | 관련어물선(物膳), 과체진상(瓜遞進上), 예장(禮狀)
- 절제사(節制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절제사 절제사 節制使 도절제사(都節制使) 첨절제사(僉節制使) 병마수군절제사(兵馬水軍節制使), 병마절제사(兵馬節制使)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시대 조선시대 윤훈표 1466년(세조 12) ...상위어도절제사(都節制使) | 하위어첨절제사(僉節制使) | 관련어병마수군절제사(兵馬水軍節制使), 병마절제사(兵馬節制使)
- 제주목(濟州牧)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1인은 제주진의 병마수군절제사와 방어사를 겸하며, 판관 1인은 제주진의 병마수군절제도위와 교수, 감목관을 겸하였다. 역학 2원(한학 1, 왜학 1), 심약(審藥) 1인, 검률(檢律) 1인을 두어 실무를 맡게 했다. 『대전회통』에 따르면 제주는 국경 지방이자 해안 지...상위어전라도(全羅道) | 동의어탐라(耽羅), 탁라(乇羅), 탐모라(耽毛羅), 동영주(東瀛州) | 관련어제주군
- 외관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감 141인, 교수 72인, 참봉 2인(≪대전회통≫에는 7인), 훈도 262인, 심약 16인, 검률 9인, 역승 18인, 도승 7인 등이다. 한편, 지방의 무관직은 겸직을 제외하면 병마절도사 7인, 수군절도사 6인, 병마수군절제사 1인(전라도), 병마절제사 2인...
고서·고문서(19)
- 1841년 이원조(李源祚) 고신(告身)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841년 1월, 헌종이 이원조를 겸 제주진 병마수군절제사 전라도 수군방어사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제주진 병마수군절제사는 정3품 무관직이고 전라도 수군방어사 정2품 무관직이며 제주 목사의 겸직이다. 이원조는 영국의 약탈로 혼란스러운 제주도의 민심을 다스리기 위해 18...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대정(大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撫分掌防禦使 世宗十七年牧使崔海山時官府失火文跡盡爲燒燼 世祖十二年丙戌置鎭以兵馬水軍節制使兼牧使以判官兼監牧節制都尉 睿宗元年己丑復置牧使兼兵馬水軍節制使去戊戌兼全羅道水軍防禦使陞號以判官兼節制都尉兼監牧官)출처전거濟州邑誌2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정(大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十一年改爲兵馬水軍節制使兼牧使又置鎭管旌義大靜二邑明月浦一鎭 睿宗元年復置牧使後又兼防禦使 仁祖二十年減防禦使後復兼(邑號)瀛州(官員)牧使兼濟州鎭兵馬水軍節制使防禦使判官兼濟州鎭兵馬水軍節制都尉敎授監牧官各一員譯學二員漢學倭學審藥 檢律各一員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8 第八統統首鄭鶴赫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爾白本延日母劉召史年肆拾伍壬戌等癸卯戶口相准 第二戶 記官金成呂年參拾壹丙子本金海父業武命富祖通政自貞曾祖老職通政玉粒外祖業武金德汝本 慶州妻鄭姓年參拾丁丑本溫陽父通政守喬祖折衝將軍行法城鎭僉使渭島鎭管兵馬水軍節制使仁 昌曾祖折衝將軍行文城鎭僉使黃州鎭管兵馬水軍節制使得南外祖通政崔俊興本慶州率女...연도_면이름1786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十五路東里
- 4 第四統統首李思曾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嘉善大夫中樞府事萬赫祖老職通政大夫致敬曾祖老職通政大夫應光外祖嘉善 大夫同知中樞府事金白雲本慶州婢造今禮年拾捌壬辰婢萬辰年伍拾陸甲寅奴命石乙年伍拾 貳戊午等丙午戶口相准 第二戶 寡女鄭召史年參拾參丁丑本溫陽父通政秀喬祖折衝將軍行法城鎭僉使渭島鎭管兵馬水軍節制使仁昌曾 祖折衝將軍行文城鎭僉使黃州...연도_면이름1789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十三路北里
주제어사전(2)
-
병마수군절제사 / 兵馬水軍節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3품의 외관직 무관. 전라도의 제주진(濟州鎭)의 경우만이 해당되었다. 제주목(濟州牧)과 대정현(大靜縣), 정의현(旌義縣)의 3읍)으로 편성되었는데, 군사적으로는 제주목사를 육군과 수군을 겸찰하는 거진의 장으로서의 병마수군절제사(兵馬水軍節制使)로 삼아 제진
-
절제사 / 節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익도로 편성한 이후로는 소멸되고 정3품의 거진장으로 수령이 겸하는 병마절제사·병마수군절제사만이 남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