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병마녹사” 에 대한 검색결과 4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9)

사전(3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3인(5‧6품)과 함께 4인을 두었다. 『고려사(高麗史)』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의 국방회의기구인 도병마사(都兵馬使)에 소속된 관직.
    정의고려시대의 국방회의기구인 도병마사(都兵馬使)에 소속된 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Dobyeongma noksa | MR표기Tobyŏngma nok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병마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의 지방관직. [내용] 1042년(정종 8) 병마사제(兵馬使制)를 정비하면서 동서북면(東西北面)에 병마사(兵馬使) 1인(3품), 지병마사(知兵馬使) 1인(3품), 병마판관(兵馬判官) 3인(5‧6품), 그리고 (...
  • 병마판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의 지방관직. [내용] 정종(靖宗) 8년 병마사제(兵馬使制)를 정비하면서 동서북면(東西北面)에 병마사(兵馬使) 1인(3품), 지병마사(知兵馬使) 1인(3품), 병마부사(兵馬副使) 2인(4품), 그리고 (錄...
  • 장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신현의 누이이자 계완, 계진, 항선의 고모. (錄) 장공(張公)의 아내로 일찍 남편을 잃자 아들 장생을 데리고 친정으로 돌아와 가사를 돌보며산다. 신현과 최씨부인이 죽자 계진과 항선 남매를 보살피다가, 아들 장생이 장원급제하여원외랑을 제수받자 아들의 임지...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9)

  • 77313 B077313 동북면 東北面 정치행정 大東地誌 권10 함경도 德源 典故 溟口以禦東北海賊 十九年東女眞賊船十五艘侵東海至南海築沿邊城堡農場以振海賊之衝 三年海賊奪鎭溟兵船二艘而去文揚烈率兵船二十三艘至楸子島未詳大敗之斬九級焚其部落屋舍三十餘所斬二十級而還 四年鎭溟都部署...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4566 B014566 강도 江都 정치행정 高麗史 권106 列傳19 列傳19 李承休[*(李)衍宗] 李承休字休休京山府嘉利縣人少孤力學 高宗朝登第入頭陁山龜洞躬耕養母居十餘年安集使李深敦勸赴京李藏用柳璥薦補慶興府書記入爲都 三別抄之叛陷賊中脫走王所元宗大悅承休因獻策曰 待賊半...
    출처전거高麗史 권106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女眞行營兵馬判官御史申顯等以舟師擊賊斬二十級八月俊京等戰于咸英二州斬三十三級兵馬判官庾翼將軍宋忠神騎軍朴懷節等戰于吉州死之九月字之俊京擊賊于沙至嶺斬二十七級擒三人四年正月東界行營錄王思謹河景澤等與賊戰于咸州死之三月行營錄張文緯等戰于崇寧鎭斬三十八級行營兵馬判官許載金義元等戰于吉州關外斬三...
    서명東國兵鑑 | 저자문종(文宗, 朝鮮) 命編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東國歷代史略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點選壯勇 二月遼遣使來聘 二年[宋徽宗大觀元年○日皇堀河二年○西歷紀元後一千一百七年]夏六月大寒日氣如冬 冬十二月尹瓘等擊東女眞大破之築吉州等四城邊臣報女眞侵突邊城其酋長以瓘爲元帥吳延寵副之發兵十七萬以伐之瓘等進至其城下敵乘城拒戰矢下如雨諸軍不能前拓俊京突擊殺酋長數人於是瓘與左軍兵馬使金德珍...
    서명東國歷代史略 | 자료명睿宗文孝王
  • 東國歷代史略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四年○日皇後冷泉七年○西歷紀元後一千五十二年]春二月冊延德宮主李氏爲王妃子淵之女也 新築社稷壇於皇城西親行祀事 三月命太史金成澤撰十精曆李仁顯撰七曜曆韓爲行撰見行曆梁元虎撰遁甲曆金正撰大一曆 北蕃賊入寇圍淄潭驛金忠簡擊敗之 八年[宋仁宗至和元年○日皇後冷泉九年○西歷紀元後一千五十四年]春三月...
    서명東國歷代史略 | 자료명文宗仁孝王

주제어사전(3)

  • / 錄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의 지방관직. 정종 8년 병마사제(兵馬使制)를 정비하면서 동서북면에 병마사 1인(3품), 지병마사 1인(3품), 병마부사 2인(4품), 병마판관 3인(5·6품)과 함께 4인을 두었다.

  • 병마판관 / 兵馬判官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의 지방관직. 정종 8년 병마사제를 정비하면서 동서북면에 병마사 1인(3품), 지병마사 1인(3품), 병마부사 2인(4품), 그리고 4인과 함께 병마판관 3인(5·6품)을 두었다.

  • 내상 / 內廂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에 출정군 총사령부의 참모기구. 군령을 전달하고 군사 행정을 담당하였다. 5군 또는 3군으로 편성되는 출정군에서 총사령관인 중군병마원수나 중군병마사 아래에는 군기에 참여하는 막료로서 여러 명의 병마판관 및 , 남항업사, 도령·지유 등이 소속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