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병꽃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8)
- 두류산고양나무군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지형은 험한 석회암지대로서 경사가 매우 급하다. [내용] 토양은 산림 밤색 토양이고 메흙이다. 주변에는 소나무‧잣나무‧참나무류‧단풍나무‧피나무‧층층나무‧고로쇠나무 및 박달나무 등의 큰 나무와 함박꽃나무‧병꽃나무‧진달래‧조팝나무 및 싸리 등의 관목이 자라고...
- 운무도바다새번식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섬에는 두 개의 봉우리가 있고 그 주변에는 6개의 작은 섬이 산재하며 섬의 북사면과 남사면은 절벽이다. 섬에는 싸리나무‧병꽃나무‧피나무‧소나무‧떡갈나무‧서어나무 등과 고사리‧속새를 비롯하여 초본식물들이 많이 자라고 있다. 번식지에서는 저어새‧괭이갈매기‧재갈매기‧...
- 양덕금수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지만 태백산맥을 타고 여기까지 올라온 것이다. 같이 자라고 있는 나무는 신갈나무‧피나무‧물푸레나무‧사시나무 등이다. 밑에는 싸리‧개암나무‧철쭉 및 병꽃나무 등이 자란다. 가장 큰 나무는 높이 22m, 가슴높이의 지름이 35㎝이다. 『북한천연기념물편람...
- 물건방조어부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쥐똥나무‧누리장나무‧붉나무‧보리수나무‧두릅나무‧병꽃나무‧화살나무 등이다. 그 사이에는 인동덩굴‧담쟁이덩굴‧새머루‧줄딸기‧청미래덩굴‧청가시덩굴‧댕댕이덩굴‧복분자딸기‧노박덩굴‧개머루‧송악 등의 덩굴식물이 자라고 있다. 19세기 말엽 이 숲의 일부를 벌채하였다...연계항목물건방조어부림(勿巾防潮魚付林)
- 함양상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복사나무‧윤노리나무‧콩배나무‧지귀나무‧조록싸리‧풀싸리‧참싸리‧싸리‧산초‧사람주나무‧붉나무‧개옻나무‧고추나무‧화살나무‧회잎나무‧보리수나무‧키버들‧능수버들‧갯버들‧진달래‧산수유나무‧노린재나무‧쪽동백나무‧쥐똥나무‧작살나무‧누리장나무‧병꽃나무‧백당나무 및 덜꿩나무 등이 차지...연계항목함양상림(咸陽上林)
주제어사전(3)
-
병꽃나무 / 甁─ [과학/식물]
인동과 병꽃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 나무의 지름은 2∼3㎝이며, 높이는 2∼3m이다. 괴산 송덕리 미선나무 자생지(천연기념물 제147호), 남해 물건리 방조어부림(천연기념물 제150호), 소백산 주목군락(천연기념물 제244호), 고흥 외나로도 상록수림(천연기
-
두류산고양나무군락 / 頭流山─群落 [과학/식물]
다. 토양은 산림 밤색 토양이고 메흙이다. 주변에는 소나무·잣나무·참나무류·단풍나무·피나무·층층나무·고로쇠나무 및 박달나무 등의 큰 나무와 함박꽃나무·병꽃나무·진달래·조팝나무 및 싸리 등의 관목이 자라고 있다. 회양나무는 상록관목 또는 작은 교목이며 키가 1∼2m이지만
-
운무도바다새번식지 / 운무도바다새번식지 [지리/인문지리]
은 섬이 산재하며 섬의 북사면과 남사면은 절벽이다. 섬에는 싸리나무·병꽃나무·피나무·소나무·떡갈나무·서어나무 등과 고사리·속새를 비롯하여 초본식물들이 많이 자라고 있다. 번식지에서는 저어새·괭이갈매기·재갈매기·노랑부리백로를 비롯하여 여러 종의 바다조류가 번식한다. 저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