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별초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1)
사전(39)
- 별초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임금의 거둥 때에 어가(御駕)를 호위하기 위해 특별히 뽑은 군사. [내용] 별초(別抄)라고도 한다. 1637년(인조 15)에 설치하여 한산(閑散) 중에서 용맹하고 건장한 군사를 모집하여 말을 납입한 자로 임명하였다. 처음에...이칭별칭별초(別抄)
- 경주별초군의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202년(신종 5) 경주 의 별초군이 일으킨 반란. [내용] 별초군은 특별군대를 뜻하는데, 고려시대에는 별무반(別武班)‧야별초(夜別抄)‧삼별초(三別抄) 등의 특별군대의 조직이 많았다. ...
- 도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의 관직명. [내용] 전투부대의 실질적인 최고지휘관이다. 『고려사』에서 도령이 나타나는 곳은 전시(戰時)의 군사조직인 오군(五軍 : 中‧前‧後‧左‧右), 별초군(別抄軍), 양계(兩界)의 주진군(州鎭軍), 귀화한 여진인의 수령이다....
- 최충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났고, 경주에서는 별초군(別抄軍)이 난을 일으켰다. 이듬해에는 영주 부석사(浮石寺)와 대구 부인사(符仁寺)의 중들이 반란을 꾀하다가 잡혀 유배되었다. 1217년에는 흥왕사(興王寺)‧‧홍원사(弘圓寺)‧경복사(景福寺) 등의 중들이 최충헌을 살해하려다가 실패한 사건이 있었다...이칭별칭 경성(景成)|난(鸞)
- 왕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바쳤으며, 1273년에 김방경이 원나라 장수와 함께 탐라(제주도)에서 삼별초군(三別抄軍)을 평정하고 돌아올 때, 이들을 교외에서 맞이하였다. 1276년 종실의 먼 일가인 낭장(郎將) 왕연(王涓)의 노비를 빼앗아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에게 바쳤다. 1279년에...이칭별칭순(恂)
고서·고문서(9)
- 원고려기사_六月一日 承化公 以三別抄軍叛也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5820 중국 정서 원고려기사 (元 世祖) 122 원종(元宗) 11 1270 6 1 六月一日 承化公 以三別抄軍叛也 몽원특수관계, 사신왕래, 앞의 기사가 원 세조 지원 7년으로 편년되어 같은 해로 편년하였다. 원 세조 지...국가중국 | 서명원고려기사 | 왕대원종(元宗) 11
- 덕포첨사(德浦僉使)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0727 B050727 덕포첨사 德浦僉使 군사교통 輿地圖書 江都府誌 喬桐 官職 ... 摠二哨官五船將七旗牌官二十五捕盜官十五左右先鋒將二兵船監官一軍器監官四守城把摠一哨官四執事三假率軍官二十六別抄軍官二十五討捕軍官二十五都訓導六營吏五鎭撫十九知印七營奴一婢一軍牢二十三巡令手二十) 中軍...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十名掌樂院樂工奴一名保五名 司僕寺諸貟五十一名忠翊府忠翊衛三十七名 江都所送選武軍官三百一名 監營牙兵三百五十二名别抄軍官三十七名雜色七十七名跟随軍官三名鎮軍八十九名舘軍十二名各色匠人身役二百十六名 兵營鎮軍三百四十二名武學陞戶七十六名保一百五十二名随營牌陞户一百六十七名保三百四十七名馬兵陞戶三十五...출처전거黃海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兩道守臣狀本, ?已啓下, 故一一考見, 則直赴殿試水原府閑良韓道裕, 江華府別抄軍官鄭光福, 瑞山選武軍官朴聖彬, 金海別武士鄭光周, 信川鄕騎士朴興采, 黃州鄕騎士朴致魯, 松禾別武士李震福, 平壤閑良李奉天·田弘闢, 別武士金光西, 順安閑良金智檢, 安州閑良李益瓘, 義州閑良白亨璞, 江東閑...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 第一統統首驛保朴是哲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正兵得石曾祖卜天外祖正兵金卜男 本金海妻金召史年貳拾參庚申本蔚山父正兵禮宗伊祖良人禮立曾祖水軍而男外祖不知率母金召史 年伍拾捌乙酉等戶准 第四戶御營廳別抄軍官朴守敏年參拾柒丙午本密陽父通德郞祖通政大夫行金海都護府使金海鎭管僉節制 使兼金海鎭營將就文曾祖資憲大夫同知中樞府事繼叔外祖張應信本慶州妻良女...연도_면이름1702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十八大陽坊里
구술자료(1)
- 삼별초군과 망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이야기와 같은 상황에서 이어서 구연하였다.조사일시2011.04.24 | 조사장소충남 태안군 고남면 장곡리 381-2 | 제보자편완범
신문·잡지(1)
- 警報雪片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츙쥬관찰가 부로 보고기 관하 보은군슈 보고에 소위 의병삼십명이 쳥쥬 쳥쳔강등디로부터 본군 졍계화양동에와셔 두류다고 쳥풍군슈 보고에 챵의소에셔 본군공형의게 젼령고 별초군 오십명을 금월이십륙일로 츙쥬군 슈촌리 유진소로 령라니 엇더케지 민망다...게재일1905년 10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
- 진도 용장산성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삼별초군이 대몽항쟁의 근거지로 삼았던 산성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용장산성의 성벽 규모에 대해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비롯한 조선시대의 모든 지리지에는 둘레 38,741尺으로 밝히고 있다. 이를 영조척(營造尺, 31.24cm)으로 환산할 경우 12.1km, 포백척(46....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목포대학교박물관/진도군 | 발굴지역전라남도
주제어사전(2)
-
별초군 / 別抄軍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임금의 거둥 때에 어가를 호위하기 위해 특별히 뽑은 군사. 1637년(인조 15)에 설치하여 한산 중에서 용맹하고 건장한 군사를 모집하여 말을 납입한 자로 임명하였다. 별초는 6개월내에 시험한 궁술의 총점수를 합계하여 금군의 예에 따라 6월과 12월에 병조에
-
도령 / 都領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의 관직명. 전투부대의 실질적인 최고지휘관이다. ≪고려사≫에서 도령이 나타나는 곳은 전시의 군사조직인 오군, 별초군, 양계의 주진군, 귀화한 여진인의 수령이다. 이들 가운데 성격이나 활동이 가장 주목되는 것은 양계 주진군의 도령이었다. 양계 도령제의 성립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