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별체아” 에 대한 검색결과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사역원(司譯院) 소속의 부경(赴京) 수행 역관. [내용] 역과 합격자 중에서 천거를 받은 뒤 시험을 통해 선발하였다. 당상(堂上) 17명, 한학우어(漢學偶語) 10명, 몽학(蒙學) 10명,...
  • 한학상통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우어(偶語) 1인 등 모두 9인이 역관으로 수행하였다. 이 중 상통사는 교회‧총민과 함께 역과(譯科) 출신자에 한하여 임명하였다. 『통문관지(通文館志)』 『육전조례(六典條例)』 「사역원(司譯院) 왜학(倭學)연구(硏究)...
  • 이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적어도 1458년 이전에는 성립된 것으로 생각되나『경국대전』에는 명문화되지 않은 것 같다. 세조 때는 정6품이었는데, 이때 도제조의 장계로 7품의 ()를 하나 더 준 것으로 되어 있다. 그 뒤 조선 후기에 오면『속대전』에 정원이 4인이고, 품계는 정6...
  • 교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를 권점(圈點)하여 임명하였다. 훈상당상(訓上堂上)과 당상(堂上)는 반드시 교회를 역임한 자를 임명하였으며, 교수와 훈도도 교회를 역임하도록 하여 역학(譯學)의 전문성을 중시하였다. 현재로서는 교회가 언제 설치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역과방목』에서 역...
  • 이마(理馬)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마 이마 理馬 사복시(司僕寺), 이마제연(理馬諸緣), (), 마정(馬政) 경제교통/마정|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조성운 사복시 [정의] 조선시대에 사복시에...
    관련어사복시(司僕寺), 이마제연(理馬諸緣), 별체아(別遞兒), 마정(馬政)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사역원 소속의 부경 수행 역관. 역과 합격자 중에서 천거를 받은 뒤 시험을 통해 선발하였다. 당상 17명, 한학우어 10명, 몽학 10명, 청학 10명이 있었는데 그 중 각 1명 정도가 사행에 참가할 수 있었다. 1602년(선조 35)

  • 한학상통사 / 漢學上通事 [정치·법제/법제·행정]

    物通事) 2인, 우어(偶語) 1인 등 모두 9인이 역관으로 수행하였다. 이 중 상통사는 교회·총민과 함께 역과출신자에 한하여 임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