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별제” 에 대한 검색결과 1,19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54)

사전(449)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공조, 형조, 와서, 군기시, 예빈시 등 30개 중앙 관청에 소속된 종6품의 벼슬. 관서에 따라 1~6명의 가 있고, 360일 근무 후에 이직이 가능했다. 가운데 와서(瓦署)는 와서(瓦署)에 속하여 기와와 벽돌을 만드는 일을 하였다. 大輿前鍮榼內實...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러나 와 같은 무록관은 녹봉을 절약하고 공신이나 음관자제가 벼슬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기 위한 것이었기 때문에 정직녹관만큼 대우를 받지 못하였다. 특히 정직참상녹관은 3∼4년만 근무하여도 1급을 올려주었는데, 무록관은 6∼7년을 근무하여도 승급하지 못하는 경...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무록관(無祿官), 별좌(別坐), 참하관(參下官) 별검(別檢), 제거(提擧), 제검(提檢)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이근호 조선초기 대한제국 호조(戶曹),
    상위어무록관(無祿官), 별좌(別坐), 참하관(參下官) | 관련어별검(別檢), 제거(提擧), 제검(提檢)
  • TD_P2_O_0002 舟車 운송도구 車輪舸, 車船, 海鶻船, 八卦六花船, 戰車, 四輪, 風船, 舵樓, 轉軸, 神砂, 生牛皮, 火毬, 標槍, 鉤鉅, 套索, 踏車, 拍扜, 大桅, 巨石, 轆轤, 鶻翅翼, 五槽, 三枙, 八輪, 篷, 狼牙釘, 品字密釘, 統軍大...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0권 1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근대신어 : 권(權)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2762 권 바항 權 特權債權者優先權이有者니共同分排에加치아니고獨立야其優先權이有特別擔保物을破産財團으로브터야自己의債權에充을得이라此權利權이라稱니 특권채권자는 우선권이 있는 자니 공동분배에 더하지 아니하...
    출전法學通論[普昌學校] | 계통분류 [정치경제] 법경제현상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576)

  • 栗谷先生全書 卷之一 詩 上 120 書院友 01_090_082.jpg 書院友 煙鎖長川雨滿衣, 碧空吟斷送人歸。 明朝別恨知何許, 萬木參天一逕微。 書院友 ▶1569년(己巳, 선조 2, 34세) 7월경(상경직전?), 강릉 구산서원. * 資料考: 『外集...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난봉가(難捧歌)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1679 잡가 懷中 時行雜歌(시ᄒᆡᆼ잡가) 12035 1935년 洪鍾起 朝鮮流行歌謠出版社 洪鍾起 尹琦炳 三十錢 난봉가(難捧歌) [16] 아―에―에헤이야―에―에헤이야―어라마둥둥 내 사랑아 침침 칠야에 달이 야 좃치요 내...
    구분잡가 | 편저자洪鍾起
  • 난봉가(難捧歌)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7429 창가 모던유행 노돌江邊唱歌 22108 1936 洪鍾起 盛文堂書店 洪鍾起 尹琦炳 八十錢 난봉가(難捧歌) 〈#188〉 아―에―에헤이야―에―에헤이야―어라마 둥둥 내 사랑아 침침칠야에 달이 야 좃치요 내 속 달 셔...
    구분창가 | 편저자洪鍾起
  • 難捧歌(난봉가)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3942 잡가 노래가락 13073 1993년(昭和八年七月八日) 김덕수 難捧歌(난봉가) [11] 아∧에-에헤이야-에-에헤이야- 어라마둥둥 내 사랑아 침침칠야에 달이 야 죳치요 내 속 달 셔 무삼 소용이 잇나 아하아∧에∧에헤이야 얼...
    구분잡가 | 편저자김덕수
  • 난령가(難捧歌)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2273 잡가 대증보무쌍유행신구잡가(Ⅱ) 12042 1958 姜槿馨 永和出版社 姜槿馨 永新社 印刷部 난령가(難捧歌) [83] 아-에-에헤이야-에-에헤이야- 어라마 둥둥 내 사랑아 침침칠야에 달이 떠야 좋지요 내 속 달 떠서...
    구분잡가 | 편저자姜槿馨

구술자료(82)

  • 칠머리당 영등굿 송_영상001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
    제주도 기본굿 칠머리당 영등굿 송_영상001 종교‧철학 행사 현대 2018년 03월 30일 11분 48초 JJ_ME_02_FF_180330_001.mp4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
    지역제주도 | 구분기본굿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칠머리당 영등굿 송_영상002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
    제주도 기본굿 칠머리당 영등굿 송_영상002 종교‧철학 행사 현대 2018년 03월 30일 11분 47초 JJ_ME_02_FF_180330_002.mp4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
    지역제주도 | 구분기본굿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칠머리당 영등굿 송_영상003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
    제주도 기본굿 칠머리당 영등굿 송_영상003 종교‧철학 행사 현대 2018년 03월 30일 11분 47초 JJ_ME_02_FF_180330_003.mp4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
    지역제주도 | 구분기본굿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칠머리당 영등굿 송_영상004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
    제주도 기본굿 칠머리당 영등굿 송_영상004 종교‧철학 행사 현대 2018년 03월 30일 11분 47초 JJ_ME_02_FF_180330_004.mp4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
    지역제주도 | 구분기본굿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칠머리당 영등굿 송_영상005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
    제주도 기본굿 칠머리당 영등굿 송_영상005 종교‧철학 행사 현대 2018년 03월 30일 11분 48초 JJ_ME_02_FF_180330_005.mp4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
    지역제주도 | 구분기본굿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기초학문(1)

  • 자아관점, 불확실성, 소비자의 유품욕구: 한미 비교 문화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황윤용, 게재일 : 2008
    23896 황윤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마케팅학회 2008 자아관점, 불확실성, 소비자의 유품욕구: 한미 비교 문화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44)

  • 朝日燒酒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大甁 韓貨四十錢 小甁 韓貨二十錢 此燒酒本酒塲에셔今年에創釀거신其味가장快美고衛生上에第一有益品酒라西洋에셔製造(안)運價、關稅、雜稅等費를要故로品劣야도其價高貴되此朝日燒酒大韓國京城明洞朝日酒塲에셔釀造此等諸費를不要故로其品이優勝其價極廉오니四方 僉...
    게재일1900년 7월 2일 | 기사분류광고
  • 朝日燒酒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大甁 韓貨四十錢 小甁 韓貨二十錢 此燒酒本酒塲에셔今年에創釀거신其味가장快美고衛生上에第一有益品酒라西洋에셔製造(안)運價,關稅,雜稅等費要故로品劣야도其價高貴되此朝日燒酒大韓國京城明洞朝日酒塲에셔釀造此等諸費를不要故로其品이優勝其價極廉오니四方 僉...
    게재일1900년 7월 9일 | 기사분류광고
  • 朝日燒酒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大瓶 韓貨四十錢 小瓶 韓貨二十錢 此燒酒本酒塲에셔今年에創釀거신其味가장快美고衞生上에第一有益品酒라西洋에셔製造(안)運價,關稅,雜稅等費要故로品劣야도其價高貴되此朝日燒酒大韓國京城明洞朝日酒塲에셔釀造此等諸費不要故로其品이優勝其價極廉오니四方 僉...
    게재일1900년 7월 11일 | 기사분류광고
  • 朝日燒酒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大甁 韓貨四十錢 小甁 韓貨二十錢 此燒酒本酒塲에셔今年에創釀거신其味가장快美고衛生上에第一有益品酒라西洋에셔 製造(안)運價,關稅,雜稅等費를要故로品劣야도其價高貴되此朝日燒酒 大韓國京城明洞朝日酒塲에셔釀造此等諸費를不要故로其品이優勝其價極廉오니四方...
    게재일1900년 6월 20일 | 기사분류광고
  • 朝日燒酒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大甁 韓貨四十錢 小甁 韓貨二十錢 此燒酒本酒塲에셔今年에創釀거신其味가장快美고衛生上에第一有益品酒라西洋에셔 製造(안)運價,關稅,雜稅等費를要故로品劣야도其價高貴되此朝日燒酒 大韓國京城明洞朝日酒塲에셔釀造此等諸費를不要故로其品이優勝其價極廉오니四方...
    게재일1900년 6월 19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2)

  • 4월혁명의 완수를 위한 특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4월혁명의 완수를 위한 특언 4월혁명의 완수를 위한 특언 四月革命의 完遂를 위한 特言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한태수 | 사료철명교육평론
  • 산본지구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도요지 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 지게편들이 나와 일부 이 일대 세력층의 특별주문에 의해 생산품도 소량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1편이지만 갑발뚜껑편이 있어 이러한 특품에 사용된 것으로 믿어진다. 굽다리 형식은 대부분 대마디굽(죽절굽)으로 굽다리 외면의 상하를 비스듬히 깎아 가운데가 볼록...
    발행연도1990 | 발굴기관명지대학교 박물관/호암미술관/경기도 | 발굴지역경기도

주제어사전(44)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여러 관서의 정·종6품 관직. ≪경국대전≫에 의하면 호조·형조·소격서·교서관·도화서·전설사·전함사·전연사·사축서에 각각 2인, 상의원·군기시·내수사·빙고에 각각 1인, 예빈시·수성금화사·장원서·와서·사포서에 각각 3인, 조지서·활인서에 각각 4인, 귀후서에

  • 의암가무 / 義巖歌舞 [예술·체육/무용]

    1868년(고종5) 진주성 촉석루에서 연행되기 시작한 논개 제사용 노래와 춤. 정현석이 1867년(고종4) 진주목사로 부임하여 이듬해 의기사(義妓祠)를 중건하고, 그해 6월의 좋은 날을 택해서 ‘의암’를 유교식으로 거행했다. 제사에는 3인의 제관(祭官) 이하 필요

  • 송병선행빙고고신 / 宋秉璿行永庫告身 [정치·법제/법제·행정]

    1879년 12월 26일에 송병선을 조봉대부 행빙고로 임명하는 고신. 조봉 대부가 종4품의 품계인데 비해 종6품 의 낮은 관직에 임명하였기 때문에 관직명 앞에 품계가 높 은데 비해 관직이 낮음을 의미하는 '행(行)'자를 붙였다. 빙고는 조선시대 얼음을 저장하

  • 내빙고 / 內氷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실 전용의 얼음을 관리하던 관청. 창덕궁의 요금문(曜金門) 안에 있었다. 본래 종5품 아문이었으나 영조 때 종5품 별좌(別坐)가 감원됨으로써 종6품의 ()를 최고책임자로 하는 종6품 아문으로 되었다.

  • 사포서 / 司圃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실 소유의 원포와 채소재배 등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조선 궁궐의 밭과 채소경영을 관장. 관원으로는 제조 1인, 사포 1인, 2인, 별검 2인 등으로 구성되었는데, 뒤에 사포와 별검은 없애고 도 1인을 감하였다. 1704년(숙종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