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별신굿”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9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74)
사전(214)
- 별신굿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말하는 것이라는 설이다. 넷째는 벨‧벌‧별의 어원은 ‘밝다’라는 말에서 나온 것으로, 광명을 바라는 민족신앙인 ‘밝’‧‘’ 신앙에서 기인한다는 설이다. 네 가지 어원설은 모두 불확실하고 추정에 불과할 따름이다. 별신굿이 행해지는 시기는 부락을 단위로 진...
- 별신굿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풍요와 평안을 기원하는 굿.정의풍요와 평안을 기원하는 굿.[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byeolsin gut | MR표기pyŏlsin kut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고주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10∼1990. 무녀(巫女). [개설] 중요무형문화재 제82호 풍어제 중 남해안별신굿(제82-라호)의 기예능보유자. 보유 종목은 무녀이다. 경상남도 거제 출생. 아버지는 고정운, 어머니는 이팔월이며 남편은 정봉호로 모두 세습무(世襲巫...
- 영해별신굿놀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지역에 전승되는 별신굿놀이. [내용]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3호. 별신굿은 동해안지방에서 주로 행해지며 그 분포가 무척 다양하다. 영해별신굿도 그 가운데 하나이다. 별신굿은 동제(洞祭)내지 부락제(部落祭...연계항목영해별신굿놀이(寧海別神굿놀이)
- 동해안별신굿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다른 이름이 있다. 이 지역에는 마을마다 골매기당이라는 마을 수호신을 봉안한 당(堂)이 있다. 마을 주민들은 마을의 풍요와 다산(多産), 안녕과 번창을 기원하기 위하여 1년 혹은 2, 3년마다 한 차례씩 이 골매기신에 대한 제전을 거행한다. 이 별신굿은 내륙...연계항목동해안별신굿(東海岸別神굿)
고서·고문서(7)
- 남북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남북 김 여자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4 1 남북, 벽, 한한대사전최신홍자옥편, 충청북도지방의별신굿놀이, 선심, 사...대표표제어남북 | 성씨김
- 한국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9년, 무선공학, 충청북도, 지방, 별신굿놀이, 1961년, 남조선, 미국, 뉴로크학생, 천학박사, 나이, 자유, 희망, 리상, 실현, 방법, 사랑, 계획, 말씀, 성심, 원망, 학습, 요구, 세계가정요리, 속도, 회답, 1989년, 신씨대표표제어한국 | 성씨신
- 한국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 중국, 사랑, 행복, 생활, 89년, 충청북도, 지방, 별신굿노리, 편지, 하나님, 영광, 천국, 장사, 령적, 성령, 학습, 노력, 요구, 책, 과학기술재료, 만수무강, 축원, 회답, 신씨대표표제어한국 | 성씨신
- 1913년 안동군 남후면(南後面) 개곡동(皆谷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場洞(말루골) 등의 자연마을이 있다. 『영가지』기록에 의하면 고려말에 思復齋 權定 선생이 만년에 접거한 곳이라 하여 접실로 불려졌다고 한다. 접실은 安東 金氏와 密陽 朴氏의 동성 마을이다. 이 마을은 골마와 덕마로 나누는데 별신굿이나 동채싸움을 할 때는 골마와 덕마로...내용분류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현소장처안동시청
- 1913년 안동군 풍남면(豊南面) 하회동(河回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라서 하회마을에는 養眞堂, 忠孝堂을 비롯한 北村宅, 遠志精舍, 賓淵精舍, 柳時柱家屋, 南村宅, 主一齋, 河東古宅 등의 문화재가 보존되어 있다. 그 외에 민속놀이로 하회별신굿탈놀이와, 선유줄불놀이가 지금까지도 전승되어 오고 있다.내용분류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현소장처안동시청
구술자료(2,687)
- 기장별신굿 장단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장단 기장별신굿 장단 종교‧철학 행사 현대 기장별신굿 장단 DB.pdf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장단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후포별신굿 장단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장단 후포별신굿 장단 종교‧철학 행사 현대 후포별신굿 장단 DB.pdf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장단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거일별신굿 장단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장단 거일별신굿 장단 종교‧철학 행사 현대 거일별신굿 장단 DB.pdf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장단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문경 산북의 별신굿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설화 22]의 구연상황과 마찬가지로, 오전 10시 경에 석포 경로당에 도착하여 조사를 시작하는 참이다. 경로당의 마루에서는 할머니들이 모여서 이야기판을 벌이고, 방안에서는 할아버지들이 모여서 이야기판을 벌이게 되었다. 두 칸 방에 할아버지 7명이 둘러 앉았다. ...조사일시1982-07-24 | 조사장소경상북도 봉화군 소천면 | 제보자김귀식
- 부산 별신굿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부산 별신굿 현장녹음 예술·체육 작품 현대 I-106 3266 부산 현장녹음자료 1) 부산지방의 별신굿 中 손님굿을 녹음한 자료이다. 2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영수
기초학문(12)
- 남해안 별신굿 춤의 구조와 특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532036 한국연구재단 대한무용학회 2005 남해안 별신굿 춤의 구조와 특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시선과 형상 : 하회별신굿 탈놀이의 징후적 독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영배, 게재일 : 201006849 이영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10 시선과 형상 : 하회별신굿 탈놀이의 징후적 독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시선과 형상-하회별신굿 탈놀이의 징후적 독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59748 한국연구재단 이화인문과학원 2010 시선과 형상-하회별신굿 탈놀이의 징후적 독해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유형논문 | 게재일2010
- 동해안 마을어장의 변동과 별신굿의 사회적 기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471683 한국연구재단 도서문화연구원 2014 동해안 마을어장의 변동과 별신굿의 사회적 기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남해안 별신굿 춤의 구조와 특징_프리프린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엄옥자, 게재일 : 200512770 엄옥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무용학회 2005 남해안 별신굿 춤의 구조와 특징_프리프린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1)
- 선데이서울_1969_02_4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광고1 쥔 없는 몸 (26) 유호 24 한국의 놀이 (6)-은산별신굿, 백제의 애달픈 혼을 불러 13일 반영...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9
멀티미디어(53)
- 한국의 굿음악_ “남해안 별신굿”_9주차_1차시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플랫폼 | 서강대학교]8주차. 서울굿 음악 9주차. 한국의 굿음악_ “남해안 별신굿” 58주차 . 제주도 무속음악의 기초적 이해 이용식 교수, 김미영 교수, 손정진 교수, 반혜성 교수, 정은주 교수, 한진오 교수 이용식 교수 [소 속] 현) 전남대학교 교수 [최종학력] 박사 (Uni강좌제목음악과 몸짓으로 만나는 한국 무속 II | 강의자이용식 교수, 김미영 교수, 손정진 교수, 반혜성 교수, 정은주 교수, 한진오 교수 - 한국의 굿음악_ “남해안 별신굿”_9주차_2차시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플랫폼 | 서강대학교]8주차. 서울굿 음악 9주차. 한국의 굿음악_ “남해안 별신굿” 59주차 . 제주도 무속음악의 기초적 이해 이용식 교수, 김미영 교수, 손정진 교수, 반혜성 교수, 정은주 교수, 한진오 교수 이용식 교수 [소 속] 현) 전남대학교 교수 [최종학력] 박사 (Uni강좌제목음악과 몸짓으로 만나는 한국 무속 II | 강의자이용식 교수, 김미영 교수, 손정진 교수, 반혜성 교수, 정은주 교수, 한진오 교수 - 한국의 굿음악_ “남해안 별신굿”_9주차_3차시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플랫폼 | 서강대학교]8주차. 서울굿 음악 9주차. 한국의 굿음악_ “남해안 별신굿” 60주차 . 제주도 무속음악의 기초적 이해 이용식 교수, 김미영 교수, 손정진 교수, 반혜성 교수, 정은주 교수, 한진오 교수 이용식 교수 [소 속] 현) 전남대학교 교수 [최종학력] 박사 (Uni강좌제목음악과 몸짓으로 만나는 한국 무속 II | 강의자이용식 교수, 김미영 교수, 손정진 교수, 반혜성 교수, 정은주 교수, 한진오 교수 - 한국의 굿음악_ “남해안 별신굿”_9주차_4차시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플랫폼 | 서강대학교]8주차. 서울굿 음악 9주차. 한국의 굿음악_ “남해안 별신굿” 61주차 . 제주도 무속음악의 기초적 이해 이용식 교수, 김미영 교수, 손정진 교수, 반혜성 교수, 정은주 교수, 한진오 교수 이용식 교수 [소 속] 현) 전남대학교 교수 [최종학력] 박사 (Uni강좌제목음악과 몸짓으로 만나는 한국 무속 II | 강의자이용식 교수, 김미영 교수, 손정진 교수, 반혜성 교수, 정은주 교수, 한진오 교수 - 한국의 굿음악_ “남해안 별신굿”_9주차_5차시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플랫폼 | 서강대학교]8주차. 서울굿 음악 9주차. 한국의 굿음악_ “남해안 별신굿” 62주차 . 제주도 무속음악의 기초적 이해 이용식 교수, 김미영 교수, 손정진 교수, 반혜성 교수, 정은주 교수, 한진오 교수 이용식 교수 [소 속] 현) 전남대학교 교수 [최종학력] 박사 (Uni강좌제목음악과 몸짓으로 만나는 한국 무속 II | 강의자이용식 교수, 김미영 교수, 손정진 교수, 반혜성 교수, 정은주 교수, 한진오 교수
연구과제(1)
-
도서 연안 공동체 관계 문서의 수집과 DB 구축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오창현 | 목포대학교 | 2023 | 국내 | 전남
주제어사전(9)
-
별신굿 / 別神─ [종교·철학/민간신앙]
을 지닌다. 이제는 별신굿이라 하여 그 범위가 확대되었다. 별신굿은 복합적인 동제(洞祭)이다. 먼저 유교식으로 제관이 축문을 읽고 조용히 끝내면, 이어 사제가 무당으로 교체되어 굿 형식으로 흥겹게 진행된다. 경우에 따라서 여기에 마을의 농악대가 참가해서 농악대굿도 벌
-
남해안별신굿 / 南海岸別神─ [종교·철학/민간신앙]
남해안지역에 전승되는 마을굿. 중요무형문화재 제82호. 경상남도 통영시와 거제도를 중심으로 하여 한산도·사량도·갈도 등의 남해안지역에서 행하여지는 마을굿이다. 어민들의 풍어(豐漁)와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제의로, 보통 3년에 한번씩 굿을 벌인다. 별신굿의 ‘별신’은
-
동해안별신굿 / 東海岸別神─ [종교·철학/민간신앙]
多産), 안녕과 번창을 기원하기 위하여 1년 혹은 2, 3년마다 한 차례씩 이 골매기신에 대한 제전을 거행한다. 이 별신굿은 내륙지방의 동제(洞祭)와는 달리 이 지역의 세습무(世襲巫)들이 의식을 진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별신굿의 대상신은 골매기 서낭신으로서 마을을 수호
-
등노래굿 / [종교·철학/민간신앙]
동해안 지역의 별신굿과 강릉단오굿·오구굿 등에서 행해지는 제차의 하나. 대나무와 색종이를 사용하여 약 1.5m 크기로 만든 탑등(塔燈)을 무녀 여러 명이 번갈아 들고 돌리면서 「등노래」를 부르며 춤추는 굿이다. 강릉단오굿에서는 굿청에 달아놓았던 호개등을 떼어 내려 가
-
중잡이놀이 / [문학/구비문학]
동해안 지역 별신굿이나 서낭굿에서 시준굿 뒤에 행하는 굿놀이. 세습되는 무부(巫夫)인 양중들에 의해 연행된다. 먼저 무녀가 서사무가 「당금애기」를 부른 뒤, 중춤을 추어 시준[世尊]을 강림하게 한다. (중략) 마지막에는 상좌를 마을에 명복을 실어 오는 소라고 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