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별시위” 에 대한 검색결과 3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8)

사전(11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19년(세종 1)의 200인에서 1458년(세조 4)에는 5,000인으로 늘어났으나 ≪경국대전≫에는 1,500인으로 감소, 조정되었다. 처음 는 국왕의 측근 시위병이기 때문에, 양반 자제 등의 지원자가 엄격한 취재시험(取才試驗)을 거쳐 들어오게 되어 있...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전기의 군제인 5위(五衛) 중 좌위(左衛)에 속한 중앙군의 한 병종(兵種).
    정의조선 전기의 군제인 5위(五衛) 중 좌위(左衛)에 속한 중앙군의 한 병종(兵種).[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Byeolsiwi | MR표기Pyŏlsiw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용양위(龍驤衛), 갑사(甲士), 내금위(內禁衛) 정치군사·국방/편제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윤훈표 1400년(태종 즉위) 5위(五衛) [정의] 조선시대...
    관련어용양위(龍驤衛), 갑사(甲士), 내금위(內禁衛)
  • 용양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와 대졸(隊卒)이었고, 또한 관할지역으로는 경동부(京東部)와 경상도 대구진관(大丘鎭管)의 군사가 중부(中部)에, 경주진관의 군사가 좌부에, 진주진관의 군사가 우부에, 김해진관의 군사가 전부에, 안동진관의 군사가 후부에 속하는 등 경성의 동부 및 경상도의...
    이칭별칭좌위
  • 박거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13(태종 13)∼1481(성종 12). 조선 전기의 무신. [내용] 본관은?밀양(密陽). 자는 중공(仲恭). 아버지는 증호조판서 경빈(景斌)이다. 1432년(세종 14) 문음으로 ()에 속하였다. 내금위(內禁衛)로...
    이칭별칭 중공(仲恭)| 평간(平簡)|밀산군(密山君)

고서·고문서(201)

  • 1489년 이훈(李勳) 차첩(差帖)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489년(성종20) 병조(兵曹)에서 성종의 구두명령에 의거하여 이훈(李勳)을 용양위(龍驤衛) 오번(五番) 우부(右部) ()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용양위는 조선초기 군사조직의 근간인 오위(五衛: 전•후•좌•우•중위) 가운데 하나로 좌위...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차첩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차첩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 1491년 이훈(李勳)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491년(성종22) 병조에서 국왕의 명령을 받아, () 소속 군병인 이훈(李勳)을 전력부위(展力副衛) 용양위(龍驤衛) 후부(後部) 부사용(副司勇)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용양위(龍驤衛)는 조선초기 군사조직의 근간인 오위(五衛) 가운데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 1544년 손광서(孫光曙)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44년(중종39) 충의위(忠義衛) 손광서(孫光曙)(?~1556)가 () 보공장군(保功將軍) 행(行) 사맹(司猛)오사형(吳士亨)으로부터 안강(安康) 동쪽에 위치한 밭을 사들이고 받은 토지 거래 계약서이다. 양반자...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경주 양동 경주손씨 서백당
  • 1494년 이훈(李勳)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494년(성종25) 병조(兵曹)에서 성종의 명에 따라 ()에 소속되어 있는 전력부위(展力副衛)이훈(李勳)에게 수의부위(修義副威) 행(行) 용양위(龍驤衛) 중부(中部) 부사용(副司勇)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용양위(龍驤衛)는 조선초기 군...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 內下番、甲士、品官, 直守。
    출처전거端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6)

  • 76 송군찬 평양특별시 황금리 35 민주청년사 평양특원회 평양특원회 문화과에서 대중적 문화를 넓이 전개하며 전 시민들에게 문화를 보급시키며 특히 1947년도 인민경제계획을 넘처 실시하기에 분투노력하는 근로대중에게 문화예술수준을...
    대표표제어민주청년_1947_0911_02_02 | 책임주필송군찬
  • 쁘·아·부듸낀 조선신문사 북조선인민위원회 북조선인민위원회 김일성 위원장은 식량배급의 미 잡곡 비률 변경에 관하여 18일 각 도 특원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지시하였다. 북조위지제 23호 1947년 4월 18일 북조선인민위원회 위원장...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7_0423_03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 8·15 해방 2주년 기념 행사계획을 결정하였다. △시 내각 인민학교 소년단 중에서 800명 소년단 특대을 조직할 것 △청소년 결의 대회 개최 △8·15 해방 2주년 기념 경축 웅변대회 개최 △8·15 해방 2주년 기념 경축 연합 학예회 개최
    대표표제어강원로동신문_1947_0815_01_02 | 날짜1947년 8월 15일 | 책임주필한성(韓星)
  • 초상화와 양국기를 선두로 하고 민청특대의 장한 행진이 뒤를 이었다. 이는 오날의 영광과 힘을 가지게 한 8.15를 고도로 상징한 것이었다. 대열들은 주석단에 경의를 표하며 의기충천의 기세로 고도의 규률로써 행진해나갔다. 희생대들은 김일성장군의 노래와 국가에 마...
    대표표제어황해로동신문_1947_0818_3 | 책임주필이영작
  • 장의 보고에 뒤이어 각단체대표자의 축사가 있었고 쏘련대표에게는 꽃다발과 경비대원에게 선물을 각각 증정하고 김일성장군과 쓰딸린대원수에게 보내는 멧세―지를 만장일치로 결정하고 다음시위행열을 시작하였는데 화려하게 차린 자동차를 선두로 가창대특대 각면리에서 출동한 농악대...
    대표표제어황해로동신문_1947_0819_3 | 책임주필이영작

주제어사전(7)

  • / [정치·법제/국방]

    ≪경국대전≫에는 1,500인으로 감소, 조정되었다. 의 근무는 친병 1,500인이 5번으로 나뉘어 300인이 6개월씩 교대 근무하되 실제 복무하는 전원에게 종4품∼종9품의 체아록을 지급하였다.

  • 권지 / 權知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과거합격자로서 성균관·승문원·교서관·훈련원· 등에 분관(分管)되어 임용 대기중인 견습 관원. 권지는 임시로 어떤 일을 관장함을 뜻하는 것으로, 조선 초기에는 과거와 상관없이 여러 관서에서 두고 있던 비정규직이었다. 뒤에는 과거합격자를 우선 임명하게 되

  • 연재 / 鍊才 [정치·법제/국방]

    군사들에게 무예의 능숙을 권장하기 위하여 평소에 단련한 것을 시험. 연재는 내금위··친군위·갑사 등의 특수병종과 정병·수군의 기간병종에도 시행하는 것으로 그 성적에 따라 승진과 파출이 결정되었다. 당초 수시로 행하여지던 연재는 세종대에 이르러 정기적으로 하번시

  • 기창 / 騎槍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병조에서 실시한 무과시험. 말을 몰면서 창을 사용하여 목표물을 찌르는 동작으로 평가하였다. 조선시대는 무과 및 내금위··친군위·갑사·대졸·팽배 등의 취재에 기창을 시험하였다. 시험내용은 말을 몰면서 번갈아가며 왼쪽과 오른쪽 겨드랑이에 창을 끼고서 차례

  • 무수전패 / 無受田牌 [경제·산업/경제]

    고려 말·조선 초 부경시위의 역은 담당하나 군전은 없이 녹봉만 지급된 군대. 무수전패는 녹봉만의 지급에 그치는 군대였다. 이후 무수전패는 열악한 대우와 정치 안정, 와 갑사 등의 설치로 인한 효용의 결여와 더불어 1427년(세종 9)까지는 귀속처가 불명한 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