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별승자총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5)
- 별승자총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 화포장 희균(希均)이 남원도회소에서 71번째로 만든 별승자총통으로 무게는 5근 2냥이라는 내용이다. 이 별승자총통과 같이 제조된 별승자총통이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데 다만 제조번호가 그것은 115호이다. 이 별승자총통은 승자총통을 개발한 것으로, 즉...
- 차승자총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34㎝만 남아 있고, 나머지 부분은 파손되었음.)으로, 음각된 제작연대는 선조 8년(1575)이며, 당시 병사(兵使) 김지(金墀)가 처음 제작한 것으로 임진왜란 당시 많이 사용되었다. 승자총통 중에서 제일 큰 종류는 별승자총통으로 총의 길이가 76∼76.5㎝이며...연계항목차승자총통(次勝字銃筒)
- 소총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91년(선조 24) 제조된 유통식(有筒式) 휴대용 화기(火器). [내용] 보물 제856호. 이 총통은 선조 때 김지(金墀)장군이 승자총통(勝字銃筒)을 창제한 뒤 차승자총통‧별승자총통에 이어 발전된 것으로 이는 총신이 승자보다 길 뿐...
- 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丸)도 사용할 수 있고 성공률도 격목형총보다 높았다. 청동을 주조하여 만든 승자총통의 내부구조는 총의 입구에서부터 화약을 넣는 약통까지 내경이 같은 형태이다. 승자총통의 종류에는 승자총통‧차승자총통(次勝字銃筒)‧소승자총통(小勝字銃筒)‧별승자총통(別勝字銃筒) 등이...
- 무기(武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기에 따라 사전장총통·세총통·소총통·승자총통·쌍자승자총통·지자총통·차승자총통·천자총통·황자총통·현자총통·양내요동명현자총통·별승자총통·만력기묘명승자총통·중완구·당총통·대장군포 등이 있다. 총통은 장군전이라는 기둥같이 큰 대형 화살, 둥근 원형의 철, 돌덩이를 발사하는 형...하위어도검(刀劍), 궁시(弓矢), 창(槍) | 동의어병기(兵器), 기계(器械) | 관련어환도(環刀), 곤봉(棍棒), 등패(藤牌), 낭선(狼筅), 장창(長槍), 당파(鎲鈀), 쌍수도(雙手刀), 죽장창(竹長鎗), 기창(旗鎗), 월도(月刀), 협도(挾刀), 쌍검(雙劒), 편곤(鞭棍), 궁시(弓矢), 조총(鳥銃), 화포(火砲)
주제어사전(1)
-
별승자총통 / 別勝字銃筒 [과학기술/과학기술]
이며 한가운데에 선혈(線穴)이 뚫렸다. 이 별승자총통은 승자총통을 개발한 것이다. 경희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