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별선군관” 에 대한 검색결과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신체가 건강하면서 힘이 센 자로 선발되어 특별히 대전(大殿)을 호위(扈衛)하는 군관. [내용] 호위청(扈衛廳)에 있는 군관 400인은 서울에 거주하며 궁술에 능한 자로 각 영장(領將)이 책임을 지고 선발하여 충당한다. 유급...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무위소(武衛所), 무위도통사(武衛都統使) 정치군사·국방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고종 김종수 [정의] 조선 고종 때에 무위소(武衛所)에 소속된 군관. [내용] ...
    관련어무위소(武衛所), 무위도통사(武衛都統使)
  • 참모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모관을 두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같은 해 3월 4일 국왕의 특별명령에 따라 수문장 이제마(李濟馬)와 이동인(李東仁) 등이 참모관에 임명되었는데 이 때의 참모관은 국왕을 보좌하며 외교사무에 주로 종사하였다. 이동인이 일본통으로서 주로 일본과의 교...
  • 별기군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녀와 무위영 (武衛營 )에 재임하고 있었다. 윤웅렬은 하나부사의 수행원으로서 조선에 와 있던 일본 육군소위 호리모토 레이조(掘本禮造)와 신식군대 창설을 협의하였다. 신식군대 창설은 국왕으로부터 보병 1개 소대의 편성을 내락 받아 5군영으로부터 지원자...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교련병대(敎鍊兵隊)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관생도 140명과 병졸 300여 명으로 늘어났다. 교련병대 편성체제는 다음과 같다. [변천] 교련병대는 5군영의 지원자 중에서 신체 건강한 자 80명을 선발하고, 1881년 4월 12일부터 무위소(武衛所) ()인 윤웅렬(尹雄烈)과 김노완(金魯莞)...
    동의어별기군(別技軍) | 관련어남한산성(南漢山城), 신식 군대(新式軍隊), 훈련도감(訓鍊都監)

고서·고문서(2)

  • 추안급국안 : 대역부도(大逆不道) 죄인 안기영(安驥泳) 등 심문기록(1)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之言不可無闕內心腹擇龍虎營軍兵中可合者爲好 云矣○問汝今平問故如是抵賴乎○供闕內心腹政院 書吏朴鼎基扈衛軍官劉文景李然應南陽府使尹雄烈通津府使韓聖根而韓聖根則以守門 將伐倭事有宿約者也又鄭萬戶蔡東述也○問蔡東 述可爲闕內心腹乎○供闕內闕外俱爲心腹也都又有都 監朴之臣徐重太尹弘燮也○...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30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추안급국안 : 대역부도(大逆不道) 죄인 안기영(安驥泳) 등 심문기록(2)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達善李然應面質矣○問李然 應招內以爲往見汝則汝曰何其晩來云汝之苦待相議者 果何事也○供正月十五日踏橋時始爲人事而四五月間以 上來時一次來見而至於八月十六日路上暫逢 而已與渠有何苦待相議之事乎○問李然應往汝家時 汝曰何其晩來云李斗榮家八月十六日相會時李載先曰 安權蔡將來云則其時汝必來會所議者...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30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신체가 건강하면서 힘이 센 자로 선발되어 특별히 대전을 호위하는 군관. 호위청에 있는 군관 400인은 서울에 거주하며 궁술에 능한 자로 각 영장이 책임을 지고 선발하여 충당한다. 유급자의 정원은 95인으로 매월 1일에 궁술을 고사하여 유급자를 편입한다. 이

  • 참모관 / 參謀官 [역사/근대사]

    장 이제마와 이동인 등이 참모관에 임명되었는데, 이 때의 참모관은 국왕을 보좌하며 외교사무에 주로 종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