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별사전시” 에 대한 검색결과 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전시과(田柴科)였다. 고려의 전시과는 일반 문무양반‧군인‧한인(閑人) 등에게 지급되는 일반 전시과, 무산계(武散階)에 지급되는 무산계 전시과, 승직‧지리업에 지급되는 과, 5품 이상의 고급관료들에게 지급되는 공음전시과(功蔭田柴科) 등이 있었다.
  • 별사노비(別賜奴婢)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또 공신 사패전민(賜牌田民)은 자손에게 상속이 가능하나, 일반적인 별사전민(別賜田民)에 대해서는 상속이 불가능하도록 규정되었다. [변천] 고려시대에는 과(科)에서 별사라는 용어가 쓰였다. 과는 승직(僧職)·지리업(地理業)에 지급되는 전...
    관련어별사전(別賜田), 별사전민(別賜田民), 상사(賞賜)
  • 토지제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마련해 주기 위하여 제정된 토지법이었다. 이것이 말하자면 일반전시과였다. 이와는 별도로 국가에 대한 직접적인 직‧역과 관계없이, 무산계(武散階)가 수여된 계층이나 승려‧지리사(地理師) 등 특정한 관념세계의 직무자에 대하여 지급하는 무산계전시과‧과(...

주제어사전(1)

  • / [경제·산업/경제]

    고려시대 승직·지리업자에게 지급되던 토지. 고려의 전시과는 일반 문무양반·군인·한인(閑人) 등에게 지급되는 일반 전시과, 무산계에 지급되는 무산계 전시과, 승직·지리업에 지급되는 과, 5품 이상의 고급관료들에게 지급되는 공음전시과 등이 있었다. 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