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별부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1)
- 별부사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의례 때 집사관의 일종. 의례를 행할 때 집사관이 많이 필요하여 의식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임시로 별도의 부사로 임명된 집사관을 말한다. 부사의 경우 사자를 도와 실질적으로 의례를 집행하는 역할을 하였기 때문에 별도의 부사를 필요로 하여 별부사를 임명한 것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6)
- 奉別天使兩大人四首【幷序】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인다. * 年代考: 중국으로 떠나면서 지은 시에 대한 차운이다. 『霽峯集』 권4, 皇華和稿에 「奉別正使大人」(『韓國文集叢刊』 a_042_110b)․「奉別副使大人王給事」(『韓國文集叢刊』 a_042_110c) 작품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 작품과 동시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第二十九章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好는 去聲이니 下同하다 治는 去聲이요 覇는 與伯同이니 長也라 先主曰 善하다 於是에 與亮情好日密한대 關羽 張飛 不悅이어늘 關은 姓也라 先主少與河東關羽와 𣵠郡張飛로 相友善하야 以羽飛爲別部司馬하야 分統部曲이라 先主與二人으로 寢則同牀하야 恩若兄弟요 而稠人廣坐호대 侍立終日하고...서명龍飛御天歌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유인궤의 임존성 공격과 사타상여, 흑치상지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攻之 常之拒戰敗之 遂復二百餘城 定方不能克 常之與別部沙吒相如據險 以應福信 至是 帝遣使招諭 乃詴仁軌降 仁軌以赤心待之 俾取任存自效 卽給鎧仗粮糒 仁師曰 野心難信 若授甲濟粟 是資寇也 仁軌曰 吾觀常之相如 二人忠而謀 可以因機立功 尙何疑哉 訖用其謀 取任存城 受信委妻子 奔高句麗 餘黨悉...권차『冊府元龜』 卷405 將帥部 識略4 | 연도663년 | 기사해제본 기사는 663년 유인궤가 흑치상지와 사타상여의 투항을 유도하고 임존성을 함락시킨 사실을 전한다.
- 歷史輯略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粮儲又多攻之三旬不下初濟人黑齒常之驍毅有謀略爲達率蘇定方之平濟也嘯合逋亡至任存城與受信同謀興復不旬日歸者三萬定方遣兵攻之常之拒戰敗之遂復二百餘城與別部沙吒相如據險以應福信至是仁軌遣人招諭常之乃降仁軌以赤心待之俾取任存城自効卽給鎧仗粮糒仁師疑之仁軌曰吾觀常之相如二人忠而有謀可以因機立功尙何疑哉遂用其謀...서명歷史輯略 | 자료명新羅 高句麗 百濟紀 駕洛 大加耶
- 大東曆史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日歸者三萬定方遣兵攻之常之拒戰敗之遂復二百餘城定方不能克常之與別部沙吒相如據險以應福信至是高宗遣使招諭乃詣仁軌降仁軌以赤心待之俾取任存■自效卽給仗■■孫仁師曰野心難信若授甲濟粟是資寇也仁軌曰吾觀密之相■二人忠而有謀可以因機立功尙何疑哉訖用其謀取任存城受■委妻子奔高句麗餘黨悉平常之入唐爲左領軍員外將軍...서명大東曆史 | 자료명三國紀 新羅 高句麗 百濟
신문·잡지(1)
- 함남로동신문_1949_1207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2줄 불명) 다 아는 바와 같이 대회에서는 아세아 및 대양주 제국 직맹의 자유를 옹호발전시키며 직맹단체들을 국제직련 산별부사업에 참가시키며 아세아 및 대양주 제국에 있어서의 국제직련 행동계획을 수립하는 문제의 아세아에 있어서 국제직련 련락국을 창설하는 문제 등 중요...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1207_04 | 책임주필강길모
주제어사전(1)
-
별부사 / 別副使 [정치·법제]
의례 때 집사관의 일종. 의례를 행할때 집사관이 많이 필요하여 의식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임시로 별도의 부사로 임명된 집사관을 말한다. 부사의 경우 사자를 도와 실질적으로 의례를 집행하는 역할을 하였기 때문에 별도의 부사를 필요로 하여 별부사를 임명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