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별례방” 에 대한 검색결과 3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3)

사전(1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궁궐내의 전각 신축‧보수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된 호조 소속의 관서. [내용] 종묘‧사직의 보수, 물품의 개비(改備), 국왕의 거처 및 각 궁궐‧묘(廟)‧능‧원(園)‧묘(墓) 등의 보수‧신축 등의 자재류와 왕의 행차 때의 의장문물...
  • 은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회가 발전하고 복잡하여짐에 따라 이들의 역할이 세분화되게 되었다. 판적사‧회계사는 그대로 존속하였으나 이 시기에 이르면 경비사는 ()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새로이 7개의 호조 소속의 부서가 증설되었는데, 은색은 그 가운데 하나이다. 주로 금과 은에...
  • 응판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회가 발전하고 복잡하여짐에 따라 이들의 역할이 세분화되게 되었다. 판적사‧회계사는 그대로 존속하였으나 이 시기에 이르면 경비사는 ()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새로이 7개의 호조 소속의 부서가 증설되었는데, 응판색은 그 가운데 하나이다. 주로 외국사신을...
  • 별고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나 차츰 조선 사회가 발전하고 복잡하여짐에 따라 이들의 역할이 세분화되게 되었다. 판적사‧회계사는 그대로 존속하였으나 이 시기에 이르면 경비사는 ()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새로이 7개의 호조 소속의 부서가 증설되었는데, 별고색은 그 가운데 하나이다....
  • 전례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츰 조선사회가 발전하고 복잡하여짐에 따라 이들의 역할이 세분화되게 되었다. 판적사‧회계사는 그대로 존속하였으나 이 시기에 이르면 경비사는 ()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새로이 7개의 호조 소속의 부서가 증설되었는데, 전례방은 그 가운데 하나이다.

고서·고문서(12)

  • 16997 B016997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萬機要覽 財用編四 戶曹各掌事例 附 算學 及湖西․海西田案․糓簿.○支調色, 兼前例房․․料祿色, 計士六員, 掌各司 工曹․尙衣院․內資寺․掌苑署․司畜署․校書館․典醫監, 會計及嶺南․關北田案․糓簿.○版別房計士六員, 掌本房...
    출처전거萬機要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0984 B040984 대구어 大口魚 경제산업 萬機要覽 財用編四 戶曹各掌事例 ... 魚一尾, 軍兵則每名明太一尾式加給.○酒三器所入米一升式, 米每斗曲末三升式, 合, 米五十石五斗八合五夕代錢二百一兩六錢四分, 太七石三斗二合五夕代錢十四兩四錢, 鹽四斗三升二合一夕代錢一兩一...
    출처전거萬機要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0985 B040985 대구어 大口魚 경제산업萬機要覽 財用編四 戶曹各掌事例 整以入, 該曹無一言往復該房者, 亦爲駭然, 當該堂上推考.○當宁丁卯, 戶曹判書徐榮輔啓, 以昨年瑞䓗臺時及今春幸行時, 禁․御軍兵並爲判下戶曹, 故往復政院, 而難於煩禀, 仍爲擧行矣, 此後或有判下...
    출처전거萬機要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0987 B040987 대구어 大口魚 경제산업 萬機要覽 財用編四 戶曹各掌事例 ... 大口魚三尾․鹽三斗.○內侍, 同, 各道則以該邑耗糓會减後狀聞, 四都, 同.○元歲饌外, 食物․衣資加送, 有命則議政內外, 食物米五石․太二石․猪肉五斤, 衣資綿紬五疋․木綿七疋, 崇品正卿...
    출처전거萬機要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7547 B057547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英祖 7年 3月 16日_025 無以責成, 事甚可憫, 版籍司久任外, 如版別等所帶之郞, 間間自辟而依刑曹金吾郞六朔前不得遷轉之例, 本曹新除郞官, 六朔前亦勿遷他職事, 定式分付, 何如? 上曰, 旣已定式, 今不可續續變...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2)

  • 提議後借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립휘문의슉에셔 각디방 학의 류슉소를 건츅기위야 그학교 부근에잇 젼호조 직방을 인허라고 학부에 쳥원야 학부에셔탁지부로조회 얏 탁지부에셔 장차 졍부회의에 졔츌야 가부를 경후에 허급다더라
    게재일1907년 5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宿舍請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감상관에 로건츅 휘문의슉에 원쳐에셔올나와 공부는학원들의 긔슉 쳐소가업셔 극히 곤란다야 그압헤잇는 젼호죠 직방을 학교에인허야 지유학는 학도로야금 긔슉이 편리케라고 학부에셔 탁지부로쳥구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9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궁궐내의 전각 신축·보수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된 호조 소속의 관서. 종묘·사직의 보수, 물품의 개비(改備), 국왕의 거처 및 각 궁궐·묘·능·원·묘 등의 보수·신축 등의 자재류와 왕의 행차 때의 의장문물의 조달, 일본과의 통신 및 중국사행의 정례적 구비물품

  • 응판색 / 應辦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호조에 소속된 한 부서. 1785년(정조 9) ≪대전통편≫의 편찬시에 새로이 증설된 속사이다. 판적사·회계사는 그대로 존속하였으나 이 시기에 이르면 경비사는 ()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새로이 7개의 호조 소속의 부서가 증설되었는데, 응판색은 그

  • 전례방 / 前例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호조에 소속된 한 부서. 1785년(정조 9) ≪대전통편≫의 편찬시에 새로이 증설된 속사이다. 판적사·회계사는 그대로 존속하였으나 이 시기에 이르면 경비사는 ()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새로이 7개의 호조 소속의 부서가 증설되었는데, 전례방은 그

  • 은색 / 銀色 [정치·법제/법제·행정]

    그대로 존속하였으나 이 시기에 이르면 경비사는 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새로이 7개의 호조 소속의 부서가 증설되었는데, 은색은 그 가운데 하나이다. 주로 금과 은에 관한 사무를 맡아서 처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