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별기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1)
사전(58)
- 별기군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위해 조선에 온 일본 대리공사 하나부사 요시모토(花房義質)의 권유로 조선의 군관들이 인천에 정박 중인 일본군함을 살펴보기도 하였다. 별기군이 창설될 당시 공식 명칭은 ‘교련병대’였다. 원래 ‘별기군’이란 조선후기 5군영의 하나인 훈련도감에 소속되어 있던 특수훈련군을...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별기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지 말고 선발하라고 하였다. 이에 군무사에서는 별군관(別軍官) 윤웅렬(尹雄烈)을 중심으로 오군문(五軍門)으로부터 신체가 강건한 지원자 80여 명을 특별히 선발하여 무위영(武衛營)에 소속시켰다. 이를 별기대(別技隊) 또는 별기군이라 했다. 또 일본인 교관에 의해...이칭별칭왜별기|별기대
- 별기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881년에 설치된 신식 군대.정의1881년에 설치된 신식 군대.[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Byeolgigun | MR표기Pyŏlgigu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별기군(別技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별기군 별기군 別技軍 무예별감(武藝別監) 교련병대(敎鍊兵隊) 정치군사·국방/편제 집단 기구 조선 조선 노영구 훈련도감(訓鍊都監) [정의] 조선후기 훈련도감에 속한 정예 군병.동의어무예별감(武藝別監) | 관련어교련병대(敎鍊兵隊)
- 별기군(別技軍)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3790 제도 별기군(別技軍) 별기군 別技軍 1881년에 설치된 근대적 신식 군대. 1876년 강화도조약을 체결한 뒤 조선은 부국강병을 위해 교사를 초빙하여 신식 군사연습을 실시할 계획을 세웠다. 일본은 조선 정부의 이와 같은 계...유형분류제도
고서·고문서(3)
- 임오군란 직후 서울의 청일 군대 주둔에 관한 건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임오군란, 청군파견, 일본군파견, 하나부사 요시모토(花房義質), 청일대립, 텐진, 서울, 신보(申报), 신문, 청국신문, 흥선대원군, 척사파, 개화파, 민태호, 민겸호, 조영조약, 조미조약, 조청관계, 개항, 어윤중, 별기군, 일본공사관, 이조연, 김보현, 호리모토...대표표제어임오군란 직후 서울의 청일 군대 주둔에 관한 건 | 발신자Brandt | 수신자Bismarck | 발신지베이징 | 수신지베를린
- 7 第七統統首金鶴奉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年貳拾伍丙子今加現率婿兵營別旗軍徐海仲年參拾柒乙丑 今加現丁酉戶口准 第四戶府案付兵營差備軍千善弘年伍拾肆丁未本晋州父正兵淡沙里祖正兵宗 業曾祖正兵應樞不喩千元外祖驛吏李德夫本慶州妻李召史年肆拾參戊午本 慶州父正兵成訓祖正兵山龍不喩末叱男曾祖正兵世好外祖正兵林春節本醴州 率子束伍保日差年拾辛卯率...연도_면이름1720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九新里
- 주역대전 : 兌卦_효사-상효-소상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時之失, 所以經无吉文, 以其道未光故也. 『주역정의』에서 말하였다:비록 조급하게 구하는 흉함에서는 벗어나지만, 또한 알맞은 때를 놓친 잘못이 있으니, 경문(經文)에 ‘길(吉)’이라는 글자가 없는 까닭은 도(道)가 아직 빛나지 못하기 때문이다. ○ 馮氏曰, 小人欺蔽其君...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주제어사전(5)
-
별기군 / 別技軍 [역사/근대사]
1881년에 설치된 신식 군대. 강병책의 일환으로 오군문(五軍門)으로부터 신체가 강건한 지원자 80여 명을 특별히 선발하여 무위영에 소속시켰다. 이를 별기대(別技隊) 또는 별기군이라 하였고, 일본인 교관에 의해 훈련된다 하여 왜별기(倭別技)라고도 하였다. 이것은 우리
-
윤웅렬 / 尹雄烈 [정치·법제/정치]
대한제국의 무관 (1840∼1911). 별기군 창설 주도. 함경도병마절도사 등을 거쳐, 별기군의 좌부령관을 지냈고, 갑신정변 때 내각의 형조판서를 지냈으며, 김홍집 내각의 경무사를 지냈다. 이후 의정부찬정·법부대신·고등재판소재판장·군부대신 등을 역임했다. 국권상실 이
-
민영익 / 閔泳翊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문신·개화사상가·예술인(1860-1914). 1877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관직에 나갔다. 1882년 7월 별기군 교련소 당상으로 임오군란을 맞아 민씨 척족세력의 거물로 몰려 가옥이 파괴당하였다. 1894년 선혜청당상으로 고종폐위 음모사건에 연루
-
곡호대 / 曲號隊 [예술·체육/국악]
1881년 이후 군대의 행진과 군례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조직된 취주악대. 중앙을 비롯한 각 지방의 대대단위의 부대에 두었다. 서양식 군대 훈련방법의 채용으로 인한 별기군 창설 이후 일본의 고대(鼓隊) 혹은 고적대(鼓笛隊)를 모방하여 만든 것이다. 본격적 서양식 군악
-
무예별감 / 武藝別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을 호위하는 일을 맡아보던 무관의 관서. 1630년(인조 8) 30인의 정원으로 설치하여 훈련도감에 예속되었으며, 훈국마·보군·별기군 중에서 인원을 차출하여 1802년(순조 2) 198인의 인원이 있었다. 남여무예청(藍輿武藝廳)이 19인, 구후무예청(九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