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별급문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26)
사전(16)
- 별급문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재산상속‧가족제도 연구에 자료가 된다. 『한국고문서연구(韓國古文書硏究)』(최승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별급문기 진사 모씨가 자기 아들의 효행과 과거 급제를 기리기 위해 토지를...
- 별급문기(別給文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별급문기 별급문기 別給文記 분재기(分財記) 별급질(別給秩), 윤광전(尹光琠) 정치행정/문서·행정용어 개념용어 고려~조선 고려~조선 문숙자 [정의] 재산 소유주가 자식을 비롯한 특정인에게 일...상위어분재기(分財記) | 관련어별급질(別給秩), 윤광전(尹光琠)
- 황정별급문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00년(연산군 6) 황정이 아들 사웅(士雄)에게 전답과 선조인 황희(黃喜)의 수택유물(手澤遺物)을 특별히 상속해 주는 문서. [개설] 별급문기는 조선시대 분재기(分財記)의 일종으로 재주(財主)가 일정한 토지나 노비 또는 조상전래의 가...
- 조정종손가소장문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조정의 종손가에 소장된 고문서와 전적. [내용] 10종 62점. 보물 제1004호. 1554년(명종 9)에 작성된 물단개(勿丹介)의 별급문기(別給文記) 등 분재기(分財記) 7건, 1601년(선조 34)에 발...연계항목조정종손가소장문적(趙靖宗孫家所藏文籍)
- 관서문기(官署文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알 수 있다. 그러나 현전하는 재산상속 문서 중 관서문기는 매우 드물다. 조선전기에 작성된 몇 건의 별급문기만 입안점련문기(立案粘蓮文記)의 형태로 존재하며, 대부분의 분재문기는 입안 절차를 거치지 않은 단독의 백문문기로 남아있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분재, 즉 재산...동의어세계문권(稅契文券) | 관련어백문문기(白文文記), 전계문기(傳繼文記)
고서·고문서(310)
- 별급문기(別給文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나주 회진 나주임씨 창계 후손가
- 1590년 별급문기(別給文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1541년 별급문기(別給文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계묘년 조부(祖父) 별급문기(別給文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광주 기곡 광주안씨 순암 종가
- 1703년 부(父) 별급문기(別給文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경주 양동 경주손씨 서백당
주제어사전(5)
-
별급문기 / 別給文記 [사회/가족]
조선시대 재산을 증여할 때 사용하던 문서양식. 특별한 사유로 재산(토지·노비)을 줄 때 작성되며, 별급할 때의 재주(財主)는 부(父)에 한정되지 않고, 조부·숙부·처부(妻父)나 기타 인척이 될 수 있으며, 별급의 사유는 과거급제, 생일, 혼인, 병의 치유, 득남, 경
-
황정별급문기 / 黃珽別給文記 [사회/가족]
조선전기 문신 황정이 아들 사웅(士雄)에게 전답과 수택유물을 상속한 문서. 별급문기는 조선시대 분재기(分財記)의 일종으로 재주(財主)가 일정한 토지나 노비 또는 조상전래의 가산이나 유품을 특정한 자녀나 친손·외손에게 지급하는 문서이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23호.
-
문기 / 文記 [정치·법제/법제·행정]
문서의 한 종류로 주로 개인의 재산이나 권리에 관계되는 문서. 이러한 문기는 우리나라에서만 사용되었다. 조선시대 문기는 대체로 재산관계, 자격의 획득 문제에 관한 것들로서 화회문기(和會文記)·분급문기(分給文記)·금급문기(衿給文記)·별급문기(別給文記)·허여문기(許與文
-
분재기 / 分財記 [사회/가족]
는 상속의 시기와 방법에 따라 화회문기·분급문기·별급문기·허여문기로 나누어진다.
-
허여문기 / 許與文記 [사회/가족]
전통시대에서 재산을 상속할 때 작성하는 문서.분재기. 허여문기는 분급문기(分給文記)·화회문기(和會文記)와 같이 정식의 재산상속문서는 아니며, 별급문기(別給文記)와 같이 특별한 사유로 허여하는 것도 아니므로, 허여한 뒤 그 재산을 둘러싸고 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