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별군직” 에 대한 검색결과 20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8)

사전(6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오효성(吳孝誠)‧조양(趙壤)‧장애성(張愛聲)‧김지웅(金志雄)‧박기성(朴起星)‧장사민(張士敏) 등의 노고를 생각하여 효종 즉위 초에 설치한 국왕의 소수 정예 친위조직이다. 1656년(효종 7)에 감대청(感戴廳)이라고도 불리는 청(廳)을 설치하여 이들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56년(효종 7) ()의 집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내용] 은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으로 심양(瀋陽)에 볼모로 간 봉림대군(鳳林大君)이 당시 그를 배종(陪從)했던 8장사군관(八壯士軍...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효종(재위 1649-1659)이 병자호란 때 자신을 호위하고 선양(瀋陽)에 다녀온 박배원(朴培元, ?-?) 등 8명의 군관을 우대하고자 만든 관직.
    정의효종(재위 1649-1659)이 병자호란 때 자신을 호위하고 선양(瀋陽)에 다녀온 박배원(朴培元, ?-?) 등 8명의 군관을 우대하고자 만든 관직.[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byeolgunjik | MR표기pyŏlgunji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청(廳), 감대청(感戴廳), 효종(孝宗), 팔장사(八壯士) 정치군사·국방/편제 직역 조선후기 조선후기 서태원 1656년(효종 7) 1894년(고종 31) ...
    관련어별군직청(別軍職廳), 감대청(感戴廳), 효종(孝宗), 팔장사(八壯士)
  • 서계초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 청(廳)에서 왕명으로 여러 능(陵)들을 봉심(奉審)하여 그 적간(摘奸)한 사실의 서계(書啓)를 모은 책. [내용] 1책 9장. 필사본. 1873년(고종 10)에 청〔感戴廳〕에서는 왕명을 받아 각 능을 분...

고서·고문서(133)

  • 15726 B015726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純祖 33年 11月 6日_021 ○又以營建都監言啓曰, 本都監物力區劃中, 江華府戶東庫木一百同, 今當輸來, 而東庫係是帑庫, 留守本不句管, 在前如此之時, 中使或下去開閉, 自是已例, 今番則何以爲之? 敢啓。 傳曰...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6346 B036346 남해현령 南海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18年 1月 1日_028 ○又以禮曹言啓曰, 今此稱慶陳賀時, 諸道所封箋文中, 全羅兵使申奭熙, 以應封官兼, 各爲封進, 柒谷府使李載旭, 南海縣令田世鎭, 海南縣監金鴻求, 陽德縣監李允用, 雖非應封官, 俱...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892 B005892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5年 12月 16日_016 ○備忘記曰, 內在軍器江都別置條齎去及本府所在內軍物反庫次, 今二十一日, 申應周, 齎捧標信及物件下去, 卿其預爲知悉, 待到府日祗受, 與, 眼同入庫, 擧行形止, 聯名狀聞。 待竣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1052 B071052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1年 7月 18日_019 子孫, 皆令來待乎, 善復曰, 皆已待令矣, 上曰, 召入試藝可也, 以次試藝訖, 志恒曰, 皆無可合於之人矣, 蓋, 卽至近侍衛之任, 不可以八壯士子孫, 勿論可否, 苟然充數矣, 上曰,...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7783 B027783 교동부 喬桐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6年 3月 21日_016 ○傳于趙鼎鎭曰, 番次, 極爲苟簡, 喬桐府使申應周, 遞付京職, 其代今日政差出, 孫相龍放送。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 이번에 남구근과 션젼관과 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이번에 남구근과 션젼관과 구근과 뎐셔관 구근들을 다 명식 례로 원을 식히라신 쳐분이 게셔셔 다 례로 되엿 그즁에 구근은 윤창근이기로 대구군슈 셔하가되엿 윤씨 러지고 리병슈씨가 군직 구근이로라고 쥬션야 원이되엿지라 윤씨가 쳐에 다니...
    게재일1899년 2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연구과제(1)

  • 조선후기 무관직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정해은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9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7)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효종 때 설치한 국왕 친위조직.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으로 심양에 볼모로 간 봉림대군을 배종한 8장사 군관, 즉 박배원·신진익·오효성·조양·장애성·김지웅·박기성·장사민 등의 노고를 생각하여 효종 즉위 초에 설치한 국왕의 소수 정예 친위조직이다.

  • 청 / [정치·법제/법제·행정]

    1656년 의 집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은 효종 7년에 가서야 비로소 그 직청을 설치할 수 있었다. 이렇게 설치된 청의 업무 수행은 통솔자인 행수(行首) 또는 장무관(掌務官)인 구지구관(知瞉官)을 중심으로 운용되었다. 그

  • 감대청계첩 / 感戴廳契帖 [역사/조선시대사]

    데, 이 책은 이를 기념하여 만든 책첩(冊帖)이다.그 내용은 ① 어사(御射)주 01)의 성적표, ② 어사와 성덕을 찬양하는 글, ③ 수행한 () 신하인 전문현(田文顯)·정관채(鄭觀采)·한광제(韓光濟) 등 15인의 명단이 수록되어 있다. 『감대청고사(感戴廳故事

  • 감대청구폐절목 / 感戴廳救弊節目 [역사/근대사]

    1891년 행수 이봉의가 감대청의 폐단을 바로잡기 위하여 제정한 절목을 기록한 법제서. 1권 1책. 원사본. 왕명을 받들어 행수(行首) 이봉의(李鳳儀)가 기록하였다.조선 말기 감대청 소속 군사의 임명규정이 지켜지지 않자 이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해 그

  • 감대청절목 / 感戴廳節目 [역사/근대사]

    을 청구할 때 일정한 규정에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감대청의 소임은 왕의 시위(侍衛)나 궁중의 호위이며, 청(廳)이라고도 하였다.8장사란 박배원(朴培元)·장애성(張愛聲)·김지웅(金志雄)·신진익(申晉翼)·오효성(吳孝誠)·장사민(張士敏)·박기성(朴起星)·조양(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