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별고색”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7)
- 별고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나 차츰 조선 사회가 발전하고 복잡하여짐에 따라 이들의 역할이 세분화되게 되었다. 판적사‧회계사는 그대로 존속하였으나 이 시기에 이르면 경비사는 별례방(別例房)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새로이 7개의 호조 소속의 부서가 증설되었는데, 별고색은 그 가운데 하나이다....
- 판별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별례방(別例房)‧전례방(前例房)‧판별방‧별영색(別營色)‧별고색(別庫色) 등으로 분화된 것 중의 하나이다. 이는 조선 후기에 국가 재정규모가 확대되고 각종 사행에 의한 무역이 빈번하게 되자 이를 전담하기 위하여 설치된 부서였다. 판별방에는 전문직 계사(計士) 6인...
- 경비사(經費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도감의 군병 급료를 맡은 별영색(別營色), 공물 지출 사무를 담당한 별고색(別庫色), 연행사의 세폐에 관한 사무를 분장한 세폐색(歲幣色), 외국 사신 접대 물품 지출 사무를 맡은 응판색(應辦色), 금·은에 관한 업무를 담당한 은색(銀色) 등 역할별로 기구가 세분화되었다...관련어판적사(版籍司), 회계사(會計司), 급전사(給田司), 별례방(別例房)
- 판적사(版籍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시작하였다. 우선 훈련도감 병사들의 급료를 관리하기 위한 별영색(別營色)이 설치되었다. 1640년(인조 18)에는 각 관서의 부족한 물종과 중국·일본과의 무역가 등을 보관하거나 관리하는 별고색(別庫色)이 신설되었다. 그리고 규정에는 없지만 각사에서 추가로 지출해야 할...상위어호조(戶曹) | 하위어호구(戶口), 전토(田土), 전곡(錢穀), 식화(食貨) | 관련어회계사(會計司), 경비사(經費司), 급전사(給田司)
- 호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물종과 중국‧일본과의 별무(別貿) 물종의 무역가 등을 마련, 보관하는 별고(別庫)가 역시 용산에 설치되어 그 관리를 맡은 별고색(別庫色)이 두어졌다. 이 두 색의 신설은 위 3사 분장에 큰 변동을 가져오지 않았으나, 1694년(숙종 20)에 사섬시(司贍寺), 1...
주제어사전(1)
-
별고색 / 別庫色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호조에 소속된 한 부서. 1785년(정조 9) ≪대전통편≫의 편찬시에 새로이 증설된 속사이다. 호조에는 그 이전까지 판적사(版籍司)·회계사(會計사)·경비사(經費司) 등이 소속 부서로 있었으나 차츰 조선 사회가 발전하고 복잡하여짐에 따라 이들의 역할이 세분화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