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별검” 에 대한 검색결과 3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2)

사전(14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정‧종8품 관직. [내용] 전설사(典設司)의 종8품, 빙고(氷庫)‧사포서(司圃署)의 정8품 또는 종8품의 벼슬인데 무록관(無祿官)이다. 전설사에 1인, 빙고에 2인, 사포서에 1인을 두었다. 『...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이이(李珥, 1536-1584)가 향약 규정을 만들어 각 마을에 마련한 직위의 하나.
    정의조선시대 이이(李珥, 1536-1584)가 향약 규정을 만들어 각 마을에 마련한 직위의 하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byeolgeom | MR표기pyŏlgŏ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무록관(無祿官), 별제(別提), 실직(實職), 음직(蔭職) 검교직(檢校職), 녹관(祿官), 만녕전(萬寧殿), 목릉(穆陵), 빙고(氷庫), 사옹원(司饔院), 사포서(司圃署), 상서원(尙瑞院), 시위(侍衛), 영직(影職)...
    상위어무록관(無祿官), 별제(別提), 실직(實職), 음직(蔭職) | 관련어검교직(檢校職), 녹관(祿官), 만녕전(萬寧殿), 목릉(穆陵), 빙고(氷庫), 사옹원(司饔院), 사포서(司圃署), 상서원(尙瑞院), 시위(侍衛), 영직(影職), 왕릉(王陵), 원릉(元陵), 음관(蔭官), 잡직(雜織), 장녕전(長寧殿), 전설사(典設司), 조경묘(肇慶廟), 첨설직(添設職), 행행(行幸)
  • 사제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위 공직자의 비리 또는 위법 혐의가 발견되었을 때 그 수사와 기소를 정권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정규검사가 아닌 독립된 변호사로 하여금 담당하게 하는 제도. [개설] 특사제도는 정규 수사의 주체인 검찰의 고위간부 또는 정규 검찰 수...
    이칭별칭특검|특검제도|특별검사제
  • 승사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종8품 문신의 품계명.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정하여져 그뒤『경국대전』에 그대로 수록되었다. 종8품에 해당하는 관직으로는 봉사‧전곡‧‧기사관‧부사용‧수문장 등이 있다. →...

고서·고문서(134)

  • 1862년 박기종(朴淇鍾) 차첩(差帖)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62년(철종13) 8월 18일에 이조(吏曹)에서 박기종(朴淇鍾)을 조경묘(肇慶廟) ()에 대신 임명하는 문서이다. 조경묘 은 전주이씨의 시조인 이한(李翰)의 위패를 모시는 곳으로 전주에 있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차첩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차첩 | 현소장처무안박씨 박기종가
  • 1862년 박기종(朴淇鍾) 차첩(差帖)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62년(철종13) 1월 4일에 이조(吏曹)에서 조경묘(肇慶廟) ()윤자화(尹滋華)를 승진시키고 박기종(朴淇鍾)을 조경묘 에 대신 임명하는 문서이다. 조경묘 은 전주이씨의 시조인 이한(李翰)의 위패를 모시는 곳으로 전주에 있으며, 이때 윤자화는 참상관...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차첩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차첩 | 현소장처무안박씨 박기종가
  • 1683년 김택삼(金宅三)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83년3월에 이조(吏曹)에서 왕명을 받아 전설사(典設司)으로 있던 김택삼(金宅三)을 상의원주부(尙衣院主簿)에 임명하는 고신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부안 우동 김형복
  • 1652년 윤인미(尹仁美) 차첩(差帖)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652년(孝宗3) 7월에 이조에서 임금의 명을 받들어 윤인미를 전설사 에 임명하는 내용으로 발급한 문서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차첩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차첩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850년 오경리(吳慶履) 차첩(差帖)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50년(철종1)7월 28일에 이조에서 통사랑권지승문원부정자오경리를 원릉으로 임명한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차첩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차첩 | 현소장처광주 해주오씨 오철환

기초학문(9)

  • 치매선사로서 K-MMSE의 타당도 연구: 종합적인 신경심리학적 평가와의 비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오은아, 게재일 : 2010
    40096 오은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치매학회 2010 치매선사로서 K-MMSE의 타당도 연구: 종합적인 신경심리학적 평가와의 비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수학 학습장애 위험학생 조기선사 개발: 교육과정중심측정 원리를 반영한 수감각검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애화, 게재일 : 2006
    37798 김애화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특수교육학회 2006 수학 학습장애 위험학생 조기선사 개발: 교육과정중심측정 원리를 반영한 수감각검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아동용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 선사: 3-12세 정상 발달 아동의 수행 특성 평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재옥, 게재일 : 2018
    20551 김재옥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아동용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 선사: 3-12세 정상 발달 아동의 수행 특성 평가 https://www.krm.or.kr/krmts/search/
    유형논문 | 게재일2018
  • 아동용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 선사 제작을 위한 학령전기 아동 대상 예비조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양선, 게재일 : 2016
    21092 김양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치료학회 2016 아동용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 선사 제작을 위한 학령전기 아동 대상 예비조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
    유형논문 | 게재일2016
  • 혈관성 인지장애 선사로서 Korean-Montreal Cognitive Assessment(K-MoCA)의 신뢰도, 타당도 및 규준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재설, 게재일 : 2009
    29759 박재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임상심리학회 2009 혈관성 인지장애 선사로서 Korean-Montreal Cognitive Assessment(K-MoCA)의 신뢰도, 타당도 및 규준 연구 https:
    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14)

  • 太極殿官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궁부 관졔를 뎡야 태극뎐에 일인과 참봉일인을 더 셜시엿더라
    게재일1902년 9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수출검사월보_1966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관리와 그 문제점 최재근 24 1965년도 공산품류실적 및 1966년도 월사실적 29 년도별 상품별 원인별 지역별 크레임 발생상황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6
  • 혁명입법에는 혁명정신이 구현되어야한다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법은 부정선거관련자처벌법・부정축재특별처리법・반민주행위자에 대한 공민권제한법 및 특별재판소와 특찰부조직법 등 네 개의 단행법률로 구성되어 있다고 설명하며, 여기에서는 뒤의 두 개 법률에 관해 논의하고자 한다고 밝힘. 먼저 특별재판소 · 특찰부의 구성과, 혁명재판에...
    대표표제어혁명입법에는 혁명정신이 구현되어야한다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동아일보사 | 출처동아일보 | 키워드혁명입법, 혁명정신, 반민주행위자, 공민권제한법, 법사위
  • 습격포위하고 한시간 반에 걸쳐 내부를 수색하는 한편 때마침 출근중인 동본부직원을 비롯하여 소위 특별재판관 특찰관 등에 이르기까지 각기 신체를 조사하는 한편 동본부를 수비하던 특별경찰대원 수명을 구속하였다. 그리고 서울시 경찰국은 소위 특찰부장인 권승렬의 권총을...
    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9_0610_03 | 책임주필렴상준
  • 국회의원에 대한 공권제한은 엄정히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만 아니라 일반인에 대한 공민권제한을 맡은 시ㆍ도 심사위원회와 부정선거관련자의 처벌을 담당한 특찰부 및 특별재판소의 업무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엄정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함. 여러 잡음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국회심사위원회의 소신대로 엄정한 조사를 통한 공...
    대표표제어국회의원에 대한 공권제한은 엄정히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동아일보사 | 출처동아일보 | 키워드국회의원, 공권제한, 국회심사위원회, 특별재판소, 반민주행위

기타자료(3)

  • 북한및기타의사치과의사한의사에대한국가시험응시자격특정시험령제정의건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북한및기타의사치과의사한의사에대한국가시험응시자격특정시험령제정의건 북한및기타의사치과의사한의사에대한국가시험응시자격특정시험령제정의건 교육 문헌 평생교육 학력인정
    범주1평생교육 | 형식문서 | 사료철명국무회의상정안건철
  • .Панюшкин) 동지에게. 시티코프(Штыков) 동지의 요청과 그의 동의에 따라, 공업‧농업‧교통 부문 전문가 및 교사로 북조선에 파견하기 위해 우리가 선발한 소련국적 한인들의 명단을 제출합니다. 이들 모두는 국가보안부의 특사를 통과하였으며, 당조직의 긍정적...
    키워드소련국적 한인 명단, 파견 | 대표주제어소련국적 한인 파견
  • 영광 학정리∙함평 용산리 유적-영광 학정리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기타 대천고분군 1. 1호석실분 2. 2호석실분 3. 3호석실분 4. 4호석실분 5.기타 연천유적 / Ⅳ.고찰 1.유적토 1)강변유적 2) 대천고분군 3)연천유적 2.유구토 1)주거지 2)도랑유구 3)석실분 4)석곽분 / Ⅴ.맺음말 이번에 발굴조사가 이루어...
    발행연도2000 | 발굴기관목포대학교박물관/익산지방국토관리청 | 발굴지역전라남도

연구과제(1)

  • 한국학 토대자료 디지털화 및 공유체계 구축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김병선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20)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종8품 관직. 전설사(典設司)의 종8품, 빙고(氷庫)·사포서(司圃署)의 정8품 또는 종8품의 벼슬인데 무록관(無祿官)이다. 전설사에 1인, 빙고에 2인, 사포서에 1인을 두었다. 빙고(氷庫)와 사포서(司圃署)의 정8품직으로 무록관이다.

  • 김재일 휘릉 해유문서 / 金載一 徽陵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김재일 휘릉 해유문서. 1791년(정조 15) 6월 일에 후임관이 호조로 첩정을 보내고, 동년 월 일에 호조에서 이조로 이관한 문서이다. 김재일(金載一)은 1788년(정조 12) 12월 21일에 본직을 제수받고 동월 30일에 홍전문(紅箭門)에서 숙배한 뒤에 도임하

  • 권목 / 權穆 [종교·철학/유학]

    1614년(광해군 6)∼1663년(현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가산군수 권경남, 아버지는 통덕랑 권종길, 어머니는 양주목사 정약의 딸이다. 1649년 빙고이 되었다. 그 뒤 호조좌랑, 함흥판관, 호조정랑을 역임하였다.

  • 승사랑 / 承仕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8품 문신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정하여져 그뒤 ≪경국대전≫에 그대로 수록되었다. 종8품 관직으로는 봉사·전곡··기사관·부사용·수문장 등이 있다.

  • 신좌모 / 申佐模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99∼1877). 원릉·성균관전적·병조정랑·종부시정 등을 역임하였고, 춘추관편수관이 되어 실록편찬에도 참여하였다. 은퇴한 뒤에는 향리에 화수헌을 짓고 종친과 후진들을 교육, 많은 학자를 배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