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별감” 에 대한 검색결과 1,34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03)

사전(859)

  • 쇄권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는 각도에 쇄권이 파견되었는데, 이 역시 같은 목적을 띠고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중앙과 지방의 각 관아와 여러 도감(都監)에 소속된 관직. [내용] 고려시대 중앙과 지방의 각 관아의 은 1066년(문종 20) 이전에 비롯된 것으로 추측된다. 공상미(供上米)를 관장하는 개성의 좌‧우창과 용문(龍門)의 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조선시대의 지방에 파견된 관직. [내용] 1105년(예종 즉위년) 군사지휘를 위하여 참상관(參上官)을 동계행영(東界行營)에 제수한 것으로 미루어, 그 이전에 비롯된 것으로 추측된다. 이 시기 이후 고려시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세수간(洗手間)‧무수리간[水賜間]에서의 시중 등을 담당하였다. 정원은 성종대에는 대전 46인, 중궁전 18인, 세자궁 18인 등 모두 80인이었다. 1505년(연산군 11)에는 40인이 증가되어 120인, 1636년(인조 14)을 전후한 시기에는 다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유향소복립운동 등으로 다시 복설 되어 한말까지 변혁을 겪으면서 계승, 운영되었다. 유향소 소속 은 시기적으로나 지방별로 차이는 있었다. 그러나 대개 조선 전기는 좌수(座首)를 도와 지방 풍속의 조정과 향리(鄕吏)를 규찰하였다. 그리고 조선 후기에는 제도권 안...

고서·고문서(399)

  • () 문보(文報)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보장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보장 | 현소장처구례 오미 문화유씨 운조루
  • 강화권농(江華勸農)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
    14967 B014967 강화권농 江華勸農 정치행정 高麗史節要 卷之十六 高宗 十九年 六月 _ 崔瑀 使江華勸農申之甫 迎前王於紫燕島
    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十六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계미년 () 강(姜) 서목(書目)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서목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서목 | 현소장처진주 운문 진양하씨
  • 1824년 () 강(康) 산도(山圖)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1724년 () 임(林) 통문(通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거창 갈계 은진임씨

구술자료(5)

  • 좌수 맏 딸 애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장소경상북도 성주 | 제보자박삼선
  • 좌수 맏딸애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가사로서는 (좌수별감 맏딸애기)로 독립된 것이다. 명잣고 삼삼을 때의 노동요로 불려졌다. *
    조사일시1979-04-19 | 조사장소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옥성2동 | 제보자박삼선
  • 광령 현네 백정무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납읍 진?펭이와 여우’ 이야기가 끝나자 한참 웃음판이 벌어졌는데, 그 이야기가 광령리(光令里) 설촌 이전에 있었던 이야기라 하니, 광령리 설촌이 언제쯤인가 하는 데로 화제가 돌아갔다. 그래서 설촌한 성씨가 현씨라는 전설이 나오게 되고 그 현씨가 조상의 무덤을 잘못...
    조사일시1980-01-21 | 조사장소제주도 제주시 노형동 | 제보자양형회
  • 안동부사의 사위가 된 아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민요를 조사하고 있는 도중에도 계속 이야기를 시작하려고 하다가 민요 구연이 끝나자 자청해서 이야기를 시작했다. 이야기 서두에 청중이 말참견을 하자, “가만 있어봐.” 하고 제지시킨 뒤 이야기를 계속했다. 자신의 한학이 예천군 내에서는 알아준다는 사실에 긍지를 가지...
    조사일시1984-02-09 | 조사장소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 제보자남우영
  • 농악 고사요 (10) [ 고사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연이어 ‘별감 고사요’를 구송했다.*
    조사일시1984-04-08 | 조사장소전라남도 승주군 황전면 | 제보자김용인

신문·잡지(36)

  •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니 박원식이가 작일에 슐이 대취야 북셔 은나무골 고게익의 집에 가셔 돌입뎡야 칼을가지고 고씨에 쳐를 란타고 세간의 부뎡지속을 다 부슈고 안방에 들어가셔 금침을 다 텰파며 돈을 토다가 맛참 셔셔 순검 황씨가 지나다가 잡어셔 경무쳥에 보엿다더라
    게재일1899년 4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여쥬군슈 홍병덕씨와 탁지협판 리용익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여쥬군슈 홍병덕씨와 탁지협판 리용익씨 산릉도감 등을 챠하엿더라
    게재일1901년 4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正誤二則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젼일잡보즁 농상공부에셔 산회샤 인허를 한슈얏단 말은그샤원의말을거즉무근지셜이라고 남셔미동리근영씨집등이 을구타얏단말은 각궁쳥직이로 평복 홍근호씨등과 피상얏스나 초립과 홍의를 파상얏단말은 허언이라더라
    게재일1906년 5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下詢安否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황상폐하게압셔 무예을 의친왕뎐하 필동 신궁에 일 이식보샤 안부를 하슌압신다더라
    게재일1906년 7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홍릉쳔봉 치도감동은 부토목국쟝 윤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홍릉쳔봉 치도감동은 부토목국쟝 윤진젹 기 심의셕 영평군슈 홍윤 평양진위참령 리챵환 군부향관 김헌대씨로 쥬치고 산릉셕물을 강화셕으로 로오기로 강화부윤한린호씨로 동을 쥬차엿더라
    게재일1900년 9월 6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4)

  • 1. 4.19특전사면 및 특형에 관한 건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1. 4.19특전사면 및 특형에 관한 건 1. 4.19특전사면 및 특형에 관한 건 교육 문헌 현대 교육법령 심의자료 중등교육 학생...
    범주1교육법령 | 형식국회회의록 | 한글저자국가재건최고회의상임위원회 | 사료철명국회회의록
  • 2. 고등학교에대한시도특사실시결과보고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2. 고등학교에대한시도특사실시결과보고 2. 고등학교에대한시도특사실시결과보고 교육 문헌 현대 교육법령 심의자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범주1교육법령 | 형식국회회의록 | 한글저자14대교육위원회 | 사료철명국회회의록
  • 원 필요성 등에 대한 연구 보고함. 한국군의 후생 사업 방향과 장병 급여, 식량 제공 등의 인상 기준과 미국의 예산 지원 필요성을 보고함. 이러한 연구 보고서의 첨부 문서 목록표로써 복지사업의 역사, 특사 보고, 미8군 공보처 질문, 한국 대통령의 복지 사업 금지...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Ernest J. Kirkland, CWO, USA, KMAG
  • 75-1. 별첨 1―프랑스 영사관의 항의 서한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사관에 취한 조치와 경과 일본병사, 무장, 프랑스 영사관, 특시 프랑스어 2_CFD75-1.pdf (탈초)2_CFD75-1.pdf pdf 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프랑스 외무부 외교문서(편지) 1910년 7월...
    집필자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작성연도1910년 | 작성월일7월 29일 | 발신자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수신자이토, 대한제국 일본통감부 총감

주제어사전(38)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의 지방에 파견된 관직. 1105년(예종 즉위년) 군사지휘를 위하여 참상관(參上官)을 동계행영(東界行營)에 제수한 것으로 미루어, 그 이전에 비롯된 것으로 추측된다. 이후 고려시대에는 선지(宣旨)·왕지(王旨), 산성(山城),

  • 동산 / 東山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액정서에 소속된 대전. 대전은 왕의 시중과 호위를 담당하던 하례로서 42인이 지정되어 있었는데, 정조 때 그 중 2인으로 하여금 창덕궁 내의 건양현을 담당, 관리하게 하였다. 이들을 보통 ‘동산’이라 불렀다.

  • 무예 / 武藝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을 호위하는 일을 맡아보던 무관의 관서. 1630년(인조 8) 30인의 정원으로 설치하여 훈련도감에 예속되었으며, 훈국마·보군·별기군 중에서 인원을 차출하여 1802년(순조 2) 198인의 인원이 있었다. 남여무예청(藍輿武藝廳)이 19인, 구후무예청(九帿武

  • 방호 / 防護 [정치·법제/국방]

    고려 후기 왜와 몽고군, 그리고 합단의 침략때 이를 방어하기 위해 파견된 군대의 지휘관. 1227년(고종 14) 김해 방호 노단이 침구해오는 왜구의 배 2척을 잡아 30여 명을 베고 노획한 병장기를 바쳤다. 1236년 죽주 방호 송문주가 몽고병을 패주시켰으며

  • 복 /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궁중하례(宮中下隷)인 의 복식. 은 액정서(掖庭署) 소속으로 그 직책과 배속(配屬)에 따라 대전·중궁전·세자궁·세손궁의 구별이 있었다. 이들은 궁중의 크고 작은 행사에 동원되고, 임금의 행차 때는 어가를 시위하는 직분을 맡았으므로,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