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변중일” 에 대한 검색결과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75(선조 8)∼1660(현종 1). 조선 중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가순(可純), 호는 간재(簡齋). 성균생원 경장(慶長)의 아들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 선조가 의주로 몽진(...
    이칭별칭 가순(可純)| 간재(簡齋)
  • 간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상하 2권 1책. 목활자본. 1860년(철종 11) 후손 도신(道新)‧정기(正基)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한응(李漢膺)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돈우(李敦禹)의 발문이...

고서·고문서(5)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口不爲人道簡字 居無幾何 上念高麗表章美可觀 詔掌高麗書狀者 慎其選 無自屈 宰相謂公可 乃奉詔 於是公復以文學稱 或謂公是行也 有母老可辭 而公白相府曰 幸與高麗國王並通閨籍顧書狀官禮數如何 非不榮 斯賞格懋盖 前未有以朝臣職是行焉者 公乃復與刀筆吏遊 而錢榖得意少年 謂公昜與也 公出有使節...
    국가중국 | 서명경우생집 | 왕대기타  
  • 약속어음금(約束手形金)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五円五拾錢ニ訂正シタルモ被上訴人其他關係人之ヲ承認シタルモノナルカ故ニ右訂正ノ期日及ヒ金額ニ從ヒ手形上ノ效力アルモノナリト述ベ且本訴ハ爲替訴訟トシテ繫屬シタルガ之ヲ通常訴訟ニ引直ス旨申立テタル外事實上ノ主張ハ原判決ニ摘示スル處ト同一ナルニ依リ之ヲ引用ス被上訴人ノ抗部辨濟及ヒ示談整ヒタリトノ事實...
    재판기관통감부(統監府) 법무원(法務院) | 판결일자1909년 02월 15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약속어음금(約束手形金)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六百四十八圓トアリシヲ四百七拾五圓五拾錢ニ訂正シタルモ被上訴人其他關係人之ヲ承認シタルモノナルカ故ニ右訂正ノ期日及ヒ金額ニ從ヒ手形上ノ效力アルモノナリト述ベ且本訴ハ爲替訴訟トシテ繫屬シタルガ之ヲ通常訴訟ニ引直ス旨申立テタル外事實上ノ主張ハ原判決ニ摘示スル處ト同一ナルニ依リ之ヲ引用ス被上訴人ノ抗...
    재판기관통감부(統監府) 법무원(法務院) | 판결일자1909년 02월 15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고계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점에 있는 臨淵齋 裵三益(1534∼1588)을 제향한 道生書院이 그의 아들 琴易堂 裵龍吉(1556∼1609)의 道生書堂에서 비롯된 것임을 밝히는 등 서원 건립 경위와 그의 학문연원 및 경향을 소개한 記文. 忠孝旌閭後記 (4) 簡齋 (1575∼1660)의 旌閭閣...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575(선조 8)∼1660(현종 1). 조선 중기의 학자. 경장의 아들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 선조가 의주로 몽진하자 김성일이 초유사가 되어 의병을 모집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 때는 화왕성으로 달려가 박수춘·성안의·남사명·유복기·정사성 등과

  • 간재집 / 艮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0년에 간행한 시문집. 상하 2권 1책. 목활자본. 1860년(철종 11) 후손 도신(道新)·정기(正基)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한응(李漢膺)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돈우(李敦禹)의 발문이 있다. 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