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변무사” 에 대한 검색결과 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7)

사전(4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오해의 소지가 있어 문제가 야기되었을 때 이를 해명하고 그 정정을 요구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사행의 규모는 정례사신인 동지사(冬至使)와 같거나 때로는 더 크기도 하였다. 왕실의 종계(宗系)나 누명은 특히 국가의 체면에 관계된 일이어서 가 파견되는 일이 많았...
    이칭별칭변무주청사(辨誣奏請使)
  • 은언군(恩彦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은언군 은언군 恩彦君 천주교(天主敎), 은언군(恩彦君) 정치정치운영/정쟁·정론 사건 대한민국 조선후기 이근호 1850년(철종 1)~1851년(철종 2) 서울 상계군(常溪君),...
    관련어천주교(天主敎), 은언군(恩彦君)
  • 임상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 1796년(정조 20) 상업에 종사하기 시작하여, 이조판서 박종경(朴宗慶)의 정치적 권력을 배경삼아 우리나라 최초로 국경지방에서 인삼의 무역권을 독점하였다. 이때부터 천재적인 상업수완을 발휘하여 1821년(순조 21) (使)의 수행원으로...
    이칭별칭 경약(景若)| 가포(稼圃)
  • 안여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 1666년(현종 7)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0여 년이 지난 뒤 주서(注書)를 비롯하여 대간에 들어가 장령(掌令)ㆍ사간ㆍ집의(執義) 등을 거쳤고, 1677년(숙종 3)에는 (使)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온 바 있으며, 이...
    이칭별칭 주국(柱國)
  • 김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 1531년에 진사가 되고, 1539년(중종 34) 별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호당에 뽑혔다. 전라도ㆍ경상도의 관찰사 및 개성유수ㆍ대사헌을 지냈고, 예조참판에 이르렀다. 1563년 제학으로 있을 때 선계(璿系使)로 명나라에 가서 사...
    이칭별칭 응림(應霖)| 우암(寓菴)| 문단(文端)|화산군(花山君)

고서·고문서(23)

  • 朝鮮 군사 외교 抄票欽差經略遼東軍務兵部左侍郞兼都察院右僉都御史楊鎬爲"今差百戶于承恩,前去寬奠·鎭江·昌城等處,踏看邊外地形及橫江上水口路經徑,竝問昌城總兵處,査畵閣圖樣,驗此爲照, 朝鮮國王,另行咨會本官,不得因而生事. (須至票者."啓下備邊司,)"傳曰"此書狀,急...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광해군일기중초본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等書狀,已爲覆題云,極爲喜幸.此後更加善爲周旋,速爲結末,而天使出來事及皇上體候今已平復與否,十分詳密聞見,一一馳啓.而沙嶺近處,預爲詳探西㺚聲息,各別謹愼出來.更加戒飭一行員役,俾無疎虞之患事, 李廷龜等處詳細下諭. (而此有旨)令千秋使傳授(事,竝詳細下諭)."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광해군일기중초본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설정선생조천일기(雪汀先生朝天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일기는 설정(雪汀) 이흘(李屹, 1568~1630)이 1629년(인조 8)에 사은겸(謝恩兼使)로 7월 8일 서울을 떠나 평양에서 배를 타고 해로를 통해 명나라북경에 도착하여, 1630년 6월 8일 옥하관(玉河館)에서 병사(病死)하기까지의 일을 기록한 일기...
    내용분류개인-생활-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啓, 頗稱其擧職, 臣未之信矣。 上年使時, 各衙門所出銀貨, 譯輩, 皆以白絲來納, 不得已送于釜山, 以爲換買之地, 而在前或有公貨下送之時, 則訓導等, 同力次知, 必先準數上送, 公私事體之自有先後, 不得不爾也。 似聞今番出來銀貨, 多至十萬餘兩, 而本廳前後軍餉銀五千兩內, 只以四百...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使臣出來之時, 當有謝恩之擧矣。 使冬至使仍兼謝恩使, 上使當改差, 而又兼使, 則必以大臣差送, 何如? 上曰, 使臣出來後, 觀勢爲之, 可也。 大運曰, 缺所陳之事, 下廟堂議處, 而所謂大靜人天缺不可以此言, 率爾變通矣。 今旣面陳於榻前, 不缺意敢達。 上曰, 唯。 錫胄曰, 繼隆所達...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

  • 『御製嚴堤防裕昆錄』의 저술경위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건우, 게재일 : 2008
    06890 김건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2008 『御製嚴堤防裕昆錄』의 저술경위와 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2eb1a
    유형논문 | 게재일2008

주제어사전(9)

  • / 使 [정치·법제/외교]

    조선시대 왕실이나 국가의 중요사실이 중국에 잘못 알려질 경우 이를 해명 또는 정정하기 위하여 보내는 특별사절 또는 그 사신. 왕실이나 국가의 중요사실이 중국조정에 잘못 전해졌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어 문제가 야기되었을 때 이를 해명하고 그 정정을 요구하기 위해 파견되었

  • 모리 아리노리 / 森有禮 [정치·법제/외교]

    1847-1889. 일본 외교관. 주청 일본공사. 강화도조약과 관련하여 이홍장과 협상. 1870년 소에 임명되어 초대 미국공사가 되었다. 미국공사 외에도 외무대보를 역임하였다. 1875년 일본정부는 모리를 주청 일본공사에 임명하였다. 1879년에는 영국공사로

  • 국당배어 / 菊堂俳語 [문학/한문학]

    항목은 제목 없이 바로 서술되고 있다. 『국당배어』에는 선조∼인조연간의 이야기가 많이 실려 있으며, 특히 임진왜란·병자호란에 대한 기록이 많다. 이 기록들 중에서 역관 홍순언(洪純彦)에 관한 이야기는 주목할만하다. 홍순언은 종계(宗系使)를 따라 명나라에 가서

  • 농은유고 / 農隱遺稿 [종교·철학/유학]

    , 끝으로 형규의 발문을 싣고, 별집 2권에 권1은 「청송재변록(靑松齋辨錄)」 상, 권2는 「청송재변록」 하인데 기(記)로 구성되어 있다.

  • 이원익선생영정 / 李元翼先生影幀 [예술·체육/회화]

    1592년 임진왜란 때는 평안도 도순찰사로서 왕의 피난길을 선도하고 군사를 모아 적군과 싸웠으며, 1593년 평양탈환 때 공을 세우고 (使)로 명에 다녀오는 등 큰 활약을 하여 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에 책훈되고 완평부원군(完平府院君)에 봉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