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변계량”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6)
사전(149)
- 변계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藜室記述 春亭集 海東雜錄 변계량 필적(1369-1430) 1369(공민왕 18)-1430(세종 12). 조선 전기의 문신. 글씨는 ≪명가필보≫에 있다.이칭별칭 거경(巨卿)| 춘정(春亭)| 문숙(文肅)
- 변계량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문장왕국의 지인이다. 심아무개[심의]가 학사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청사 앞에서 발을 동동거리며 경박하고 조급하기 짝이 없는 인물로 나타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변계량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집현전에서 청년들을 지도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卞季良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3639 卞季良 인물 草溪, 進士 密陽 卞高迪 D_16_01_70 대동운부군옥 16권 1장 7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6권 1장 7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卞季良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7_D_0107 卞季良 남자 春亭, 辛禑, 太宗, 文肅 D_06_03_16 대동운부군옥 6권 3장 1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6권 3장 1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30)
- 춘정선생문집(春亭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춘정선생문집(春亭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춘정선생속집(春亭先生續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춘정선생집(春亭先生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거제도(巨濟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制使, 整飭水軍, 泊立巨濟島, 則島倭必有投降之志矣。 如此則邊警絶矣。’” 卞季良曰: “上王已令臣等議此事, 臣與三議政皆以爲: ‘彼雖無禮, 拘留其使, 似爲急迫。’ 上王曰: ‘留其使人, 令水軍分泊巨濟島 ...출처전거世宗實錄 | 지역분류경상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2)
- 축첩제도를 없앤 변계량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떡보와 칙사‘를 끝내고 별로 할 이야기가 없는 눈치여서, 밀양의 인물 중에 재미있는 전설을 가진 이는 없느냐고 물어서 듣게 된 것이다. 벌써 시간은 자정을 넘어 가고 있어서 피로한 기색이 역력했다. 다른 제보자도 없이 혼자서만 계속 이야기해 왔으므로 더욱 피로한...조사일시1981-01-12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상남면 | 제보자신현희
- 비문이 없는 거일리 변계량 무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감곡면 오향이(2)리 행군이마을에서 제보자 우홍명을 만났다. 우홍명은 오향리 토박이로 감곡면 주변의 다양한 이야기들을 알고 있었다. 마을에 전승되는 이야기를 물어보자 오향이(2)리 거일에 있는 큰 묘에 대한 이야기를 구연해 주었다.조사일시2010.07.01 | 조사장소우홍명 자택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향2리 행군이길168-3 | 제보자우홍명
기초학문(3)
- 卞季良 詩의 변모와 그 문학사적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유호진, 게재일 : 200306207 유호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시가학회 2003 卞季良 詩의 변모와 그 문학사적 의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조선전기 관료문인들의 불교적 내면의식에관한 연구 - 권근‧변계량‧김수온‧서거정‧성현의 시문(詩文)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윤섭, 게재일 : 201664525 김윤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6 조선전기 관료문인들의 불교적 내면의식에관한 연구 - 권근‧변계량‧김수온‧서거정‧성현의 시문(詩文)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유형논문 | 게재일2016
- 조선전기 관료문인들의 불교적 내면의식에 관한 연구 - 권근‧변계량‧김수온‧서거정‧성현의 시문(詩文)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윤섭, 게재일 : 201614697 김윤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6 조선전기 관료문인들의 불교적 내면의식에 관한 연구 - 권근‧변계량‧김수온‧서거정‧성현의 시문(詩文)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2)
- 기자묘(箕子廟)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기자묘(箕子廟)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서우(西友) 서우(西友)_2호 箕子廟 1907. 01. 01. 아동고사 40 122~125 편집부 대한제국 기자묘(箕子廟)에 대한 글 변계량, 비문, 기자묘, 기자, 홍범구주 ...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2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월간야담_1939_06_1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권두시 (한_월간야담_1939_06_10_005)에 해당하는원문 확인 필요. 시조 변계량, 김두성, 김성기, 김...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9
주제어사전(7)
-
변계량 / 卞季良 [종교·철학/유학]
1369(공민왕 18)∼1430(세종 12). 조선 전기의 문신. 주 증손, 할아버지는 원, 아버지는 옥란이다. 어머니는 조석의 딸이다. 이색·권근의 문인이다. 예문관응교, 수문전제학, 의정부참찬, 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춘정집≫ 3권 5책이 전한다.
-
화산별곡 / 華山別曲 [문학/고전시가]
1425년(세종 7)변계량(卞季良)이 지은 경기체가. 총 8장. 궁중에서 연악(宴樂)으로 쓰이던 송도가(頌禱歌)로서 악장문학에 속한다. 『악장가사』에 수록되어 있으며, 『세종실록』과 『증보문헌비고』에도 소개되어 있다. 『세종실록』에 의하면 1425년에 지은 것으로
-
대학연의 / 大學衍義 [종교·철학/유학]
의표·시정기방신장이 있으며, 권말에 권근·변계량·김빈의 발문이 있다.
-
구리태조건원릉신도비 / 九里太祖健元陵神道碑 [예술·체육/서예]
정승(左政丞) 성석린(成石璘)이 글씨를 썼으며 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 정구(鄭矩)가 전액(篆額)을 담당하였다. 비의 음기(陰記)는 예조좌참의(禮曹左參議) 변계량(卞季良)이 글을 지었고 역시 성석린이 글씨를 썼다. 총 높이 448㎝의 규모에 귀부이수(龜趺螭首) 양식을 갖
-
춘당유사 / 春堂遺事 [문학/한문학]
), 시 12수, 기적(記蹟), 제가척언(諸家摭言), 병암서원사적(屛嵓書院事蹟) 등이 수록되어 있다. 저자는 태조의 서형인 이원계(李元桂)의 사위이고 문사 변계량(卞季良)의 둘째 형으로서, 정도전(鄭道傳)과 함께 처형된 탓으로 시문이 거의 유실되었다. 「제가척언」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