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벽돌방무덤”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5)
- 벽돌방무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벽돌[塼]을 장방형으로 쌓아서 만든 무덤. [내용] ‘전실분(塼室墳)’이라고도 한다. 벽돌을 쌓아 네 벽을 만들고 벽면의 상부를 점차 안으로 기울게 해 궁륭(穹窿, dome) 또는 터널천장을 이루고 있다. 벽돌방무덤은 방의 수에 따라 여...
- 벽돌덧널무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말하는 앙천광(仰天壙)과 같은 형식인데 벽돌방무덤[塼室墳]과의 차이는 천장과 널길[羨道]이 없고 널방[玄室] 공간이 작아 널만 안장할 수 있는 구조의 무덤이라는 데 있다. 안장방법도 벽돌방무덤과는 달리 널길이 없으므로 널을 천장부위, 즉 위에서 아래로 안치하는...이칭별칭전곽분(塼槨墳)
- 장무이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황해도 봉산군 문정면 태봉리 (현재 북한의 구령리)에 있는 대방군태수(帶方郡太守) 장무이(張撫夷)의 벽돌방무덤[塼室墳]. [내용] 1911년과 1912년에 일본인 학자에 의해 조사되었다...
- 덧널무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계는 덧널의 북편에 부장덧널〔副葬槨〕이 딸린 덧널무덤이다. 이 구조는 이미 새로 도입되기 시작했던 횡장방형(橫長方形) 전실(前室)이 딸린 앞트기식 벽돌방무덤〔橫口式 塼室墳〕의 한 유형을 답습한 것으로 추정된다. 부장덧널 중에는 장방형 덧널에 같은 구덩식으로 붙인 것과...이칭별칭목곽묘|목곽봉토분|목곽분|나무곽 무덤
- 굴식고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장방형으로 변모하기 시작한다. 웅진기의 무령왕릉과 송산리 제6호분을 포함한 일부 대형분은 중국 남조(南朝)의 벽돌방무덤〔塼室墳〕을 채용하였다. 당시 전라남도와 경상남도 남해안의 일부 고분들은 일본 북큐슈〔北九州〕에서 유행했던 돌방 형태도 보여 그 때가 국제적인 문화교류...이칭별칭횡혈식고분(橫穴式古墳)
주제어사전(2)
-
벽돌방무덤 / [역사/선사시대사]
화남(華南)지방의 영향을 받은 벽돌방무덤이 축조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무령왕릉(武寧王陵)과 송산리 제6호분을 들 수 있다.
-
낙랑고분 / 樂浪古墳 [역사/선사시대사]
제로 구성된다. 평양 근교 토성리(土城里)에는 남북 10여 리, 동서 수십 리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1,300여 개의 낙랑고분이 산재해 있고, 황해도에도 무수히 분포되어 있다. 낙랑고분으로는 널무덤〔木棺墓〕와 덧널무덤〔木槨墓〕그리고 벽돌방무덤〔塼室墓〕이 가장 일반적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