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벽돌무덤”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
사전(27)
- 벽돌무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尹武炳, 百濟硏究 5, 忠南大學校百濟硏究所, 1974) 百濟古墳의 硏究(姜仁求, 韓國史論 3, 서울대학교국사학과, 1976) 평양 남사리 고분군 29호분 평양 남사리 고분군 중 벽돌무덤인 29호분 내...
- 벽돌무덤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벽돌[塼]을 이용하여 일정한 양식으로 축조한 무덤.정의벽돌[塼]을 이용하여 일정한 양식으로 축조한 무덤.[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byeokdol mudeom | MR표기pyŏktol mudŏ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부여저석리전곽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저석리 가장골에 있는 백제시대의 전곽분 유적. [개설] 1991년 주민 김화봉씨의 신고로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에서 이 일대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 모두 10기의 백...
- 돌방무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덤은 구조에 따라서 굴식 돌방무덤〔橫穴式 石室墳〕과 앞트기식 돌방무덤〔橫口式 石室墳〕으로 구분되는데, 앞트기식 돌방무덤은 굴식 돌방무덤의 영향에 의해 변형되어 출현한 것으로 판단된다. 돌방무덤은 중국에서 발전한 굴식 벽돌무덤〔橫穴式 塼築墳〕이 한반도에 유입되어...이칭별칭석실묘(石室墓)|석실분(石室墳)
- 무령왕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송산리고분군은 백제의 돌방무덤〔橫穴式石室墳〕이 주종을 이루는데, 이 고분군에는 당시 중국 양(梁)나라 지배계층 무덤의 형식을 그대로 모방하여 축조한 벽돌무덤〔塼築墳〕으로서 무령왕릉과 함께 제6호 벽돌무덤이 있다. 무령왕릉은 발굴조사 결과, 무덤 안에서 무덤의 주인공...이칭별칭송산리고분군 제7호분
주제어사전(3)
-
벽돌무덤 / A Tombs with bricks [역사/선사시대사]
벽돌〔塼〕을 이용하여 일정한 양식으로 축조한 무덤. 한반도에서 황해도와 평안남도를 중심으로 벽돌무덤이 확인된다. 이는 낙랑군의 강역이 이 지역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고고자료로 활용되었으나 반론도 있다. 낙랑에서 벽돌무덤은 먼저 유행하던 동혈합장(同穴合葬) 덧널무덤을 대
-
재령부덕리유적 / 載寧富德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土)가 거의 없어진 2기의 벽돌무덤[塼築墳]이 있다. 이 토광묘는 지하 2m 깊이에서 무덤의 바닥이 나타났는데, 양수장 건설을 위해 기초터파기작업을 할 때에 파괴되어 완전한 규모는 알 수 없었다. 유물들은 길이 2m, 너비 1m 정도의 범위에서 수습되었다. 수습된 유물
-
평양낙랑리팔십오호분 / 平壤樂浪里85號墳 [역사/선사시대사]
북한 평양특별시 낙랑구역 토성동에 있는 낙랑(樂浪)시기의 덧널무덤[木槨墳]. 대동강 남안의 낙랑구역 토성동 일대에는 낙랑군의 치소터[治址]로 추정되는 토성(土城)과 관련된 2,000여 기 이상의 덧널무덤과 벽돌무덤[塼築墳]등이 밀집 분포하고 있다. 낙랑리 제85호분도